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7개 있습니다.)
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https://www.sysnet.pe.kr/2/0/942

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
; https://www.sysnet.pe.kr/2/0/1027

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 https://www.sysnet.pe.kr/2/0/1231

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32

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 https://www.sysnet.pe.kr/2/0/1242

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1764

.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2132

.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
; https://www.sysnet.pe.kr/2/0/12143

.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44

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 https://www.sysnet.pe.kr/2/0/12148

.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50

.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151

.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52

.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
; https://www.sysnet.pe.kr/2/0/12153

.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65

.NET Framework: 968. C# 9.0의 Function pointer를 이용한 함수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0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예전에 한번 소개해 드렸던,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마이크로소프트의 Detours가 소리 소문 없이 MIT 라이선스로 풀려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Microsoft/Detours
; https://github.com/Microsoft/Detours

Can Detours be used in commercial applications?
Detours is licensed under the MIT license, which allows commercial use.

그동안, Detours 라이브러리가 무료 버전에서는 x86 만 지원하고 x64를 위해서는 유료인 Pro 버전을 구매해야만 했던 탓에 어쩔 수 없이 다른 후킹 라이브러리를 살펴봐야 했는데요,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 https://www.sysnet.pe.kr/2/0/1242

이젠 그럴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




github에 공개된 Detours는 4.0.1 버전이지만 실은 기존 3.0 버전의 343 빌드와 동일한 것이라고 합니다. 즉, 라이선스의 개정으로 인해 버전을 올린 것일 뿐 공개로 인한 제약 사항은 없는 것입니다.

자, 그럼 ^^ 무료가 된 Detours를 빌드해 볼까요?

윈도우 "시작" 메뉴에서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17" 명령행을 열고,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github의 소스 코드를 복제합니다.

c:\temp> git clone https://github.com/Microsoft/Detours.git

다운로드한 폴더로 이동해 nmake를 실행하면 빌드까지 모두 완료가 됩니다.

c:\temp> cd Detours
c:\temp\Detours> nmake

생성된 바이너리는 기본적으로 x86을 대상으로 합니다.

c:\temp\Detours> tree
Folder PATH listing for volume New Volume
Volume serial number is CC52-B5DD
C:.
├───bin.X86
├───include
├───lib.X86
├───samples
│   ├───comeasy
│   │   └───obj.X86
│   ├───commem
│   │   └───obj.X86
│   ├───cping
│   │   └───obj.X86
│   ├───disas
│   │   └───obj.X86
...[생략]...
│   ├───tracessl
│   │   └───obj.X86
│   ├───tracetcp
│   │   └───obj.X86
│   ├───tryman
│   │   └───obj.X86
│   └───withdll
│       └───obj.X86
└───src
    └───obj.X86

물론 x64 버전도 빌드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환경 변수를 설정한 후 nmake를 실행하면 됩니다.

c:\temp\Detours> SET DETOURS_TARGET_PROCESSOR=X64
c:\temp\Detours> nmake

현재 x64의 경우에는 detours 라이브러리 자체는 빌드되지만, samples 프로젝트를 빌드 도중 iping 예제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iping_d.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iping_ProxyFileInfo
..\..\bin.X64\cping.exe : fatal error LNK1120: 1 unresolved externals
NMAKE : fatal error U1077: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VC\Tools\MSVC\14.15.26726\bin\HostX86\x86\cl.EXE"' : return code '0x2'
Stop.
NMAKE : fatal error U1077: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VC\Tools\MSVC\14.15.26726\bin\HostX86\x86\nmake.exe"' : return code '0x2'
Stop.
NMAKE : fatal error U1077: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VC\Tools\MSVC\14.15.26726\bin\HostX86\x86\nmake.exe"' : return code '0x2'
Stop.

예제 프로젝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상관없으니 그냥 둬도 무방합니다.




테스트를 해볼까요? ^^

예전 글(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에서 실습했던 내용을 그대로 해보겠습니다.

우선 x86 먼저 해보면,

c:\temp\Detours\bin.X86> sleep5
sleep5.exe: Starting.
sleep5.exe: Done sleeping.

보는 바와 같이 변경이 안 된 상태에서 setdll을 실행해 detour 시킨 후,

c:\temp\Detours\bin.X86> setdll /d:simple32.dll sleep5.exe
Adding simple32.dll to binary files.
  sleep5.exe:
    simple32.dll
    KERNEL32.dll -> KERNEL32.dll

다시 실행하면 결과가 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temp\Detours\bin.X86> sleep5
simple32.dll: Starting.
simple32.dll: Detoured SleepEx().
sleep5.exe: Starting.
sleep5.exe: Done sleeping.
simple32.dll: Removed SleepEx() (result=0), slept 5000 ticks.

당연히 x64도 동일하게 할 수 있습니다.

c:\temp\Detours\bin.X64> sleep5
sleep5.exe: Starting.
sleep5.exe: Done sleeping.

c:\temp\Detours\bin.X64> setdll /d:simple64.dll sleep5.exe
Adding simple64.dll to binary files.
  sleep5.exe:
    simple64.dll
    KERNEL32.dll -> KERNEL32.dll

c:\temp\Detours\bin.X64> sleep5
simple32.dll: Starting.
simple32.dll: Detoured SleepEx().
sleep5.exe: Starting.
sleep5.exe: Done sleeping.
simple32.dll: Removed SleepEx() (result=0), slept 5000 ticks.

$9,999 유료 버전이었던 만큼, 안정성 측면에서는 이만한 라이브러리가 없을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6/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6-10 09시27분
[cnsghk12] 디버그 모드로 빌드 가능한가요? 위 결과는 릴리즈 버전이겠죠?
[guest]
2020-06-10 10시10분
@cnsghk12 당연히 가능하지 않을까요? 어차피 IAT 후킹이기 때문에 디버그 빌드라고 달라질 것이 없습니다.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63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25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86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09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77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28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47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48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74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50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56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83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01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3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66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19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692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80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2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06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05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491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81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63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1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34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