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0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

아두이노에서 IR LED 제어에 대해서는 이전 글에서 이미 다룬 적이 있습니다.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0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1

ESP8266의 경우라면 어떨까요? 아두이노의 경우 핀 번호에 "~" 물결무늬가 있는 것은 PWM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Digital Pin을 의미한다고 다음의 글에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두이노 기초 강좌 6 - analog 값 읽기, 쓰기
; http://www.hardcopyworld.com/ngine/aduino/index.php/archives/1040

아두이노가 가진 Digital 핀 중 PWM 기능을 가진 핀들이 이미 정의되어 있습니다. 아두이노 보드에 있는 각각의 핀 아래에는 핀 번호가 적혀있는데 PWM 기능을 가진 핀은 앞에 (~) 물결 마크가 붙어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3, 5, 6, 9, 10, 11번 핀이 PWM 핀이죠. (UNO 보드 기준이며, 보드 종류에 따라 PWM 핀이 틀려집니다)

...

정리를 하면… analogRead() 함수를 사용해서 단계적인 값을 읽을 때는 아날로그 핀들을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아날로그 핀을 통해 단계적인 0V~5V 사이의 값을 출력할 수는 없습니다. 이런 작업은 PWM 핀으로 지정된 digital 핀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이 때 analogWrite()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가지고 있는 LiLon Node Mcu v3(ESP8266)에는,

[그림 출처: https://www.instructables.com/id/Getting-Started-With-ESP8266LiLon-NodeMCU-V3Flashi/]
node_mcu_ir_led_1.png

보다시피, "~" 표시가 하나도 없습니다. 다행히 검색해 보면,

ESP8266 Arduino Core 
; http://esp8266.github.io/Arduino/versions/2.0.0/doc/reference.html

(정확히 LiLon Node Mcu에 대한 문서는 아니지만) 0 ~ 16번 핀까지 모두 PWM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실제 동작하는지 여부는... 그냥 해보면 알 수 있지 않겠습니까? ^^




테스트를 위해 우선 IR 제어 라이브러리를 구해야 하는데요, 아두이노에서는 "shirriff"라는 사람이 만든 "IRRemote"를 사용했지만,

z3t0/Arduino-IRremote 
; https://github.com/z3t0/Arduino-IRremote

ESP8266의 경우에는 별도로 "Sebastien Warin, Mark Szabo, Ken Shirriff, David Conran" 사람들이 만든 "IRremoteESP8266"을 사용해야 합니다.

markszabo/IRremoteESP8266 
; https://github.com/markszabo/IRremoteESP8266

사용법도 살짝 다른데, 우선 "Include Library"로 인해 추가되는 헤더가 다음과 같이 제법 많습니다.

#include <ir_Argo.h>
#include <ir_Coolix.h>
#include <ir_Daikin.h>
#include <ir_Fujitsu.h>
#include <ir_Gree.h>
#include <ir_Haier.h>
#include <ir_Kelvinator.h>
#include <ir_LG.h>
#include <ir_Magiquest.h>
#include <ir_Midea.h>
#include <ir_Mitsubishi.h>
#include <ir_NEC.h>
#include <ir_Panasonic.h>
#include <ir_Samsung.h>
#include <ir_Toshiba.h>
#include <ir_Trotec.h>
#include <IRrecv.h>
#include <IRremoteESP8266.h>
#include <IRsend.h>
#include <IRtimer.h>
#include <IRutils.h>

초기화 시, PWM Output으로 사용할 Pin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제 경우에는 (보드에서는 D2라고 표기된) GPIO 4번을 선택해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const int _khz = 38;
uint16_t _signal[] = { 3550, 1750, 600, 40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500, 600, 450, 600, 400, 650, 400, 550 };

const uint16_t _kIrLed = 4; 
IRsend _irsend(_kIrLed);

그다음, setup에서 begin 함수를 호출하고,

void setup()
{
  _irsend.begin();
}

이후 신호의 종류에 따라 send... 류의 함수를 호출하면 됩니다. 제 경우에는 sendRaw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호출했습니다.

void loop()
{
    if (...[조건을 만족하면]...)
    {   
        // IR 신호 송신
        int signalLen = sizeof(_signal) / sizeof(uint16_t);
        _irsend.sendRaw(_signal, signalLen, _khz);
    }
}

남은 것은 이제 IR LED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인데요, 일단 회로 배치는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node_mcu_ir_led_2.png

node_mcu_ir_led_3.png

위의 회로에서 특이한 것은 회로에 공급할 전원을 NodeMCU의 VU 핀에서 얻었다는 점입니다. 아두이노의 경우 3.3V와 5V 전원 핀이 명시적으로 있는 반면 NodeMCU의 경우에는 (보드에는 3V3이라고 표기된) 3.3V 핀이 있지만 5V 핀은 없습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NodeMCU - Vin pin as 5V output?
; https://arduino.stackexchange.com/questions/51873/nodemcu-vin-pin-as-5v-output

NodeMCU는 (보드에 5V 전원을 공급하는) USB 단자와 VIN 핀이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VIN 핀과 GND 핀의 전압을 재보면 약 2.1V가 나옵니다. 반면 VU 핀과 GND 핀을 재면 약 4.89V가 나오므로 그것을 연결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잘 동작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회로도를 담은 fzz 파일입니다.)




참고로, IR에 대한 다음의 글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IR 적외선 무선통신 기초회로 및 로봇 원격 제어하기 실습
; https://robobob.co.kr/64

위의 예제에 사용한 IR LED의 규격이 "정격 1.36V, 최대 1.7V, 피크주파수 940nm, 화각+/-20도"라고 하는데 그냥 눈에 익혀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3정성태10/28/20245149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4633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4901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4621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4914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4459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4973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5218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4985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5248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4860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4621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4801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5550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4845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5671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4952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5269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5492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5196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4883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5160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5066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5337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6114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5396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