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Visual Studio의 CMake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g++로 설정되어 있는데요. 이를 clang++로 바꾸는 방법을 검색해 보면 CMakefile.txt에서 다음과 같이 CMAKE_CXX_COMPILER 변수를 설정하면 된다고 합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CorProfiler)

set (SRC_FILES ClassFactory.cpp CorProfiler.cpp dllmain.cpp ILRewriter.cpp)

set (ENV{BuildOS} Linux)
set (ENV{BuildArch} x64)
set (ENV{BuildType} Debug)
set (ENV{Output} CorProfiler.so)

SET (CMAKE_C_COMPILER=/usr/bin/clang)
SET (CMAKE_CXX_COMPILER=/usr/bin/clang++)

SET ( CMAKE_CXX_FLAGS_DEBUG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SET ( CMAKE_CXX_FLAGS_RELEASE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INCLUDE_DIRECTORIES ( ./cor/src/pal/inc/rt ./cor/src/pal/prebuilt/inc ./cor/src/pal/inc ./cor/src/inc )

add_library( CorProfiler.so SHARED ${SRC_FILES} )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Visual Studio의 경우 바뀌지 않습니다. 대신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리눅스 환경으로 접근하기 위해 별도 관리하는 CMakeSettings.json에 해당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동작을 합니다.

{
  "configurations": [
    {
      "name": "Linux-Debug",
      "generator": "Unix Makefiles",
      "configurationType": "Debug",
      "build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build\\${name}",
      "install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install\\${name}",
      "cmakeExecutable": "/usr/local/bin/cmake",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 ".vs", ".git", "x64", "Debug" ],
      "cmakeCommandArgs": "",
      "buildCommandArgs": "",
      "ctestCommandArgs": "",
      "inheritEnvironments": [ "linux_x64" ],
      "remoteMachineName": "409410665;192.168.100.50 (username=usr23, port=22, authentication=Password)",
      "remoteCMakeListsRoot": "/var/tmp/src/${workspaceHash}/${name}",
      "remoteBuildRoot": "/var/tmp/build/${workspaceHash}/build/${name}",
      "remoteInstallRoot": "/var/tmp/build/${workspaceHash}/install/${name}",
      "remoteCopySources": true,
      "rsyncCommandArgs": "-t --delete --delete-excluded",
      "remoteCopyBuildOutput": false,
      "remoteCopySourcesMethod": "rsync",
      "variables": [
        {
          "name": "CMAKE_CXX_COMPILER",
          "value": "/usr/bin/clang++",
          "type": "FILEPATH"
        }
      ]
    }
  ]
}




참고로, 빌드 시 경고가 다음과 같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Warning the current #pragma pack aligment value is modified in the included file [-Wpragma-pack]

의미인즉, 현재 "-Wpragma-pack" 옵션이 적용된 상태에서는 저걸 경고로 취급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런 식의 경고 메시지를 없애고 싶다면 그냥 단순히 앞에 "no-"만 붙여주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SET ( CMAKE_CXX_FLAGS_DEBUG " -Wno-pragma-pack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SET ( CMAKE_CXX_FLAGS_RELEASE " -Wno-pragma-pack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72정성태8/21/201724731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161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0600.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1404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0973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5072.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4855.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3114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3982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19460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18202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0766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18859.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18128.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18891.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19124.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0565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3157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19475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19724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18410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17051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0661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18452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11248정성태7/12/201724898오류 유형: 409. pip install pefile - 'cp949' codec can't decode byte 0xe2 in position 208687: illegal multibyte sequence
11247정성태7/12/201719228오류 유형: 408. SqlConnection 객체 생성 시 무한 대기 문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