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0

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1

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33

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개발 환경 구성: 727. Visual C++ - 리눅스 프로젝트를 위한 빌드 서버의 msbuild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737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지난번에 CMake를 활용해 so/out 프로젝트 예시를 들었는데요,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33

이번에는 CMake가 아니라, 그냥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지원되는 리눅스 프로젝트 템플릿으로 so/out을 구성해봤습니다. 이를 위해 우선 리눅스 템플릿의 Console App을 이용해 2개의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Console App - app1
Console App - sayhello

리눅스 프로젝트 템플릿의 경우 다음과 같은 설명의 Console App만 있고,

Console App
Run code in a Linux terminal. Prints "hello" by default.

라이브러리가 없는데 상관없습니다. 그냥 콘솔로 만든 후 라이브러리(so)로 빌드할 프로젝트는 속성 창에서 다음의 경로에 해당하는 값을 바꾸면 됩니다.

["General"의 "Project Defaults"]
            
Configuration Type - Dynamic Library (.so)

저것만 설정하고 Apply 버튼을 누르면 General 설정 부분이 so 파일에 맞게 바뀝니다. 그다음 2개 모두 Remote Build Machine 설정을 한 후, so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이 export 함수 하나를 준비하고,

// main2.h
#pragma once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unistd.h>

extern "C"
{
    void test();
}

// main2.cpp
#include <cstdio>
#include "main.h"

void test()
{
    char buff[FILENAME_MAX];
    getcwd(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2: %s\n", buff);
}

실행 파일을 만들 프로젝트는 이 함수를 사용하는 코드를 준비합니다.

#include <cstdio>
#include "../sayhello/main.h"  // 한 솔루션에 .so 프로젝트가 있으므로 상대 경로를 이용해 헤더 참조

int main()
{
    printf("hello from app1!\n");
    test();
    return 0;
}

이 상태에서 빌드하면 당연히 "test" 함수를 링크할 수 없다고 오류가 뜹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app1, Configuration: Debug x64 ------
1>Validating sources
1>Copying sources remotely to '192.168.0.21'
1>Validating architecture
1>Starting remote build
1>Compiling sources:
1>main.cpp
1>Linking objects
1>E:\multi\app1\obj\x64\Debug\main.o : error : In function `main':
1>E:\multi\app1\main.cpp(7): error : undefined reference to `test'
1>collect2 : error : ld returned 1 exit status
1>Done building project "app1.vcxproj" -- FAILED.
========== Rebuild All: 0 succeeded, 1 failed, 0 skipped ==========

왜냐하면 2개의 프로젝트는 하나의 솔루션에 등록된 것일 뿐 "app1" 프로젝트가 "sayhello" so 프로젝트에 대한 존재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ayhello" 라이브러리에 대한 참조를 추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app1"의 프로젝트 속성에서 다음과 같이 sayhello.so에 대한 경로를 알려줍니다. (리눅스 공유 프로젝트의 경우 출력 파일 명에 "lib" 접두사가 붙습니다. 원한다면 "Target Name" 설정을 변경해 제거할 수 있고.)

["Linker" / "Input"의 "Additional Dependencies"]

$(RemoteRootDir)/sayhello/bin/$(Platform)/$(Configuration)/libsayhello.so;%(AdditionalDependencies)

이렇게만 하면 빌드가 잘 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빌드 후 libsayhello.so 파일의 위치입니다. 해당 파일이 app1.out과 같은 디렉터리에 복사해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app1.out은 libsayhello.so 파일을 반드시 프로젝트 속성에서 설정했던,

$(RemoteRootDir)/sayhello/bin/$(Platform)/$(Configuration)

경로에서 찾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확인을 ldd 도구로 할 수 있습니다.

$ ldd app1.out
        linux-vdso.so.1 (0x00007ffce39c3000)
        /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libsayhello.so (0x00007f252af3e000)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252abb5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252a7c4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252a426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252b342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252a20e000)

리눅스의 경우 동일한 폴더에 있는 so 파일을 로드하려면 특별한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설정했던 ["Linker" / "Input"의 "Additional Dependencies"] 설정을 삭제하고 새롭게 다음과 같은 옵션을 명시합니다.

["Linker" / "General"의 "Additional Library Directories"]
/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 (주의사항: "~/projects/sayhello/bin/x64/Debug"라고 설정하면 안 됩니다.)

["Linker" / "Input"의 "Library Dependencies"]
sayhello

["Linker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
-Wl,-rpath,'$ORIGIN' 

그러면 g++ 빌드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되고,

g++ -o "/home/usr32/projects/app1/../app1/bin/x64/Debug/app1.out" -Wl,--no-undefined -Wl,-L/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 -Wl,-z,relro -Wl,-z,now -Wl,-z,noexecstack -Wl,-rpath,'$ORIGIN' /home/usr32/projects/app1/../app1/obj/x64/Debug/main.o -lsayhello


app1.out의 libsayhello.so 의존성을 확인하면 app1과 동일한 폴더로 잡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ldd app1.out
        linux-vdso.so.1 (0x00007ffde8cfd000)
        libsayhello.so => /home/usr32/projects/app1/bin/x64/Debug/./libsayhello.so (0x00007f6b16a0e000)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6b16685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6b16294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6b15ef6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6b16e12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6b15cde000)

이렇게 하면 빌드는 잘 되지만 실행 시 app1.out과 동일한 폴더에 so 파일이 없으므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so 파일 복사를 해야 하는데 수작업으로 매번 하면 불편하니 "Build Events / Remote Post-Build Event"를 이용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추가해 줍니다.

cp /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libsayhello.so /home/usr32/projects/app1/bin/x64/Debug/libsayhello.so

끝입니다. 이제부터는 ^^ Visual Studio의 F5 디버깅 환경을 누리기만 하면 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렇게 구성한 so, out 프로젝트를 담고 있습니다.)




참고로, 링커 옵션에 보면 결국 "-lsayhello"와 -Wl,-L/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 옵션을 주는 것과 같은데요. 재미있는 것은 이 옵션을 동일하게 "Additional Options"로 몰아서 주면,

["Linker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

-Wl,-rpath,'$ORIGIN' -Wl,-L/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 -lsayhello

분명히 g++ 명령은 다음과 같이 수행이 되지만,

g++ -o "/home/usr32/projects/app1/../app1/bin/x64/Debug/app1.out" -Wl,--no-undefined -Wl,-z,relro -Wl,-z,now -Wl,-z,noexecstack -Wl,-rpath,'$ORIGIN' -Wl,-L/home/usr32/projects/sayhello/bin/x64/Debug -lsayhello /home/usr32/projects/app1/../app1/obj/x64/Debug/main.o


이상하게도 linker 오류가 발생합니다.

/home/usr32/projects/app1/../app1/obj/x64/Debug/main.o: In function `main':
/home/usr32/projects/app1/main.cpp:7: undefined reference to `test'
collect2: error: ld returned 1 exit status

반면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Linker"의 "General"과 "Input" 영역을 통해 설정하면 g++시에 옵션의 위치가 바뀌면서 빌드가 잘 됩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 의존을 설정할 때는 "Additional Options"를 통해 직접 설정하는 방식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2019-05-22 추가: g++의 옵션은 순서에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가령 -l 옵션의 경우 main.o 보다 먼저 나와서는 안 됩니다.)




마지막으로, "Linker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에 줬던 "-Wl,-rpath,'$ORIGIN'" 설정을 빼도 빌드는 잘 됩니다. 그런데, 실제로 실행하면 so 파일이 app1.out과 동일한 폴더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 /home/usr32/projects/app1/bin/x64/Debug/app1.out
/home/usr32/projects/app1/bin/x64/Debug/app1.out: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sayhello.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dd로 확인하면 이때의 so 파일 경로가 "not found"로 이상하게 나옵니다.

$ ldd ~/projects/app1/bin/x64/Debug/app1.out
        linux-vdso.so.1 (0x00007ffcb06e4000)
        libsayhello.so => not found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2127e4f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2127a5e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21276c0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21283da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21274a8000)

회사에 리눅스 C/C++ 개발자로부터 "-Wl,-rpath,'$ORIGIN'" 옵션 설정을 듣기 전까지 한참 헤맸다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2/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9-11 07시51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82정성태7/5/201824623.NET Framework: 784. C# - 제네릭 인자를 가진 타입을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581정성태7/4/201821338Math: 34. GeoGebra 기하 (11) - 3대 작도 불능 문제의 하나인 임의 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80정성태7/4/201818094Math: 33. GeoGebra 기하 (10) - 직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9정성태7/4/201817209Math: 32. GeoGebra 기하 (9) - 임의의 선분을 한 변으로 갖는 정삼각형파일 다운로드1
11578정성태7/3/201817365Math: 31. GeoGebra 기하 (8) - 호(Arc)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7정성태7/3/201817290Math: 30. GeoGebra 기하 (7) - 각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6정성태7/3/201819465Math: 29. GeoGebra 기하 (6) - 대수의 4칙 연산파일 다운로드1
11575정성태7/2/201819898Math: 28. GeoGebra 기하 (5) - 선분을 n 등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4정성태7/2/201818360Math: 27. GeoGebra 기하 (4) - 선분을 n 배 늘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3정성태7/2/201817735Math: 26. GeoGebra 기하 (3) - 평행선
11572정성태7/1/201817094.NET Framework: 783. C#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코드를 컴파일해 테스트하는 방법
11571정성태7/1/201818535.NET Framework: 782. C# - JIRA에 등록된 Project의 Version 항목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0정성태7/1/201818685Math: 25. GeoGebra 기하 (2) - 임의의 선분과 특정 점을 지나는 수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69정성태7/1/201817884Math: 24. GeoGebra 기하 (1) - 수직 이등분선파일 다운로드1
11568정성태7/1/201830122Math: 23. GeoGebra 기하 - 컴퍼스와 자를 이용한 작도 프로그램 [1]
11567정성태6/28/201819404.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파일 다운로드1
11566정성태6/28/201825109.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21961.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20391.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19240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18718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30088.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21360.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28523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22092.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21630.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