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473

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475

.NET Framework: 863.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
; https://www.sysnet.pe.kr/2/0/12028

.NET Framework: 1056.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 (2)
; https://www.sysnet.pe.kr/2/0/12626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

지난 글에서 Thread.Suspend 호출 시 Resume까지의 시간 동안 메모리 할당이 발생하면 ha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47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475

그러니까, 관건은 GC가 발생하는 동안에는 Thread.Suspend를 호출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혹시 GC.WaitForFullGCApproach / GC.WaitForFullGCComplete을 이용해 GC가 임박했을 때 Thread.Suspend를 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How to receive a full GC notification with .NET 4.0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albulank/how-to-receive-a-full-gc-notification-with-net-4-0

GC.RegisterForFullGCNotification(Int32, Int32)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gc.registerforfullgcnotification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GC가 구동하려고 할 때 GC.WaitForFullGCApproach ~ GC.WaitForFullGCComplete 호출 구간에는 Thread.Suspend를 하지 못하도록 변경을 해봤습니다.

static volatile bool _safeStackTrace;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C.RegisterForFullGCNotification(10, 10);

    _safeStackTrace = true;

    Thread thWaitForFullGC = new Thread(GCNotifyProc);
    thWaitForFullGC.IsBackground = true;
    thWaitForFullGC.Start();

    Program pg = new Program();
    pg.Start();
    Console.ReadLine();
}

static private void GCNotifyProc()
{
    while (true)
    {
        var gcApproachStatus = GC.WaitForFullGCApproach(); 
        if (gcApproachStatus == GCNotificationStatus.Succeeded)
        {
            _safeStackTrace = false;
            GC.Collect();
        }
        else
        {
            return;
        }

        var gcCompleteStatus = GC.WaitForFullGCComplete();
        if (gcCompleteStatus == GCNotificationStatus.Succeeded)
        {
            _safeStackTrace = true;
        }
        else
        {
            return;
        }
    }
}

private static string GetCallStack(Thread t)
{
    string result = "";
    try
    {

        // ...[생략]...
        if (_safeStackTrace == true)
        {
            trace = new System.Diagnostics.StackTrace(t, false);
            result = trace.ToString();
        }

        // ...[생략]...

    } catch { }

    return result;
}

하지만, 실제로 해보면 얼마 못 가서 ^^; 멈춥니다. 왜냐하면 GC.WaitForFullGCApproach 이후 _safeStackTrace = false를 설정하기 전, 다른 스레드가 이미 "new System.Diagnostics.StackTrace(t, false)" 코드로 진입해 힙 할당을 초래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이런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경합 문제는 RegisterForFullGCNotification의 threshold 값을 10보다 높게 잡아 여유를 주거나, 테스트 자체의 부하를 조금 낮추면 확률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시도를 하기가 좀 무의미한 면이 있는데요, 사실 별로 현실성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GC.WaitForFullGCApproach, GC.WaitForFullGCComplete 메서드가 동작하도록 하려면 반드시 "Concurrent GC" 모드를 꺼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app.config 파일에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시켜야만 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tartup>

    <runtime>
        <gcServer enabled="true"/>
        <gcConcurrent enabled="false"/>
    </runtime>
</configuration>

독립 프로그램을 만드는 경우라면 저것도 방법일 수 있겠지만, 라이브러리 개발자들에게는 전혀 현실성이 없는 요구 사항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테스트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83정성태11/18/201818224오류 유형: 504.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가 설치된 컴퓨터 간의 ping IP 주소 풀이 오류
11782정성태11/18/201817392Windows: 152.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
11781정성태11/17/201820751개발 환경 구성: 422. SFML.NET 라이브러리 설정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80정성태11/17/201821744오류 유형: 503. vcpkg install bzip2 빌드 에러 - "Error: Building package bzip2:x86-windows failed with: BUILD_FAILED"
11779정성태11/17/201822642개발 환경 구성: 421. vcpkg 업데이트 [1]
11778정성태11/14/201820003.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
11777정성태11/13/201820445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18459.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20305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18704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18398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20331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19385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11770정성태11/5/201827681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파일 다운로드1
11769정성태11/5/201818655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
11768정성태11/2/201819145.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11767정성태11/1/201820082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66정성태10/31/201822107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11765정성태10/26/201819042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
11764정성태10/26/201823897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
11763정성태10/25/201820945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
11762정성태10/25/201821365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61정성태10/25/201821300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6738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18325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20629.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