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7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04

.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 https://www.sysnet.pe.kr/2/0/1815

.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 https://www.sysnet.pe.kr/2/0/12244

.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
; https://www.sysnet.pe.kr/2/0/12255

.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
; https://www.sysnet.pe.kr/2/0/12292

.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
; https://www.sysnet.pe.kr/2/0/12296

.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299

.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
; https://www.sysnet.pe.kr/2/0/12300

.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
; https://www.sysnet.pe.kr/2/0/12302

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303

.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 https://www.sysnet.pe.kr/2/0/12474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ETW(코드네임 Crimson)로,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04

당연히 CLR에서도 관련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간단한 소스 코드를 다음의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데,

Grab ETW Session, Providers and Events
; http://labs.criteo.com/2018/07/grab-etw-session-providers-and-events/

가만 보면 예전에 윈도우 시스템 측의 ETW 제공자를 다루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72

단지, "Grab ETW Session, Providers and Events" 글에서의 예제와 차이점이라면 EnableProvider에 전달한 인자 정도만 다르다고 보면 됩니다.

// register handlers for events on the session source
// more on this later...

// decide which provider to listen to with filters if needed
userSession.EnableProvider(
    ClrTraceEventParser.ProviderGuid,
    TraceEventLevel.Verbose,
    (ulong)(
    ClrTraceEventParser.Keywords.Contention |  // thread contention timing
    ClrTraceEventParser.Keywords.Threading |   // threadpool events
    ClrTraceEventParser.Keywords.Exception |   // get the first chance exceptions
    ClrTraceEventParser.Keywords.GCHeapAndTypeNames | 
    ClrTraceEventParser.Keywords.Type | // for finalizer and exceptions type names
    ClrTraceEventParser.Keywords.GC     // garbage collector details
    )
);

그나저나, CLR ETW 제공자(Microsoft-Windows-DotNETRuntime)가 지원하는 이벤트 종류를 보면 "Exception"이 있는데... 그렇다면 혹시 이것을 이용해 procdump로,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965

소개했던 역할을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 실제로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면,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rEventSourceMonitor.Run();
        }
    }

    // Install-Package Microsoft.Diagnostics.Tracing.TraceEvent -Version 2.0.56
    class ClrEventSourceMonitor
    {
        static TextWriter Out = Console.Out;

        public static int Run()
        {
            // Today you have to be Admin to turn on ETW events (anyone can write ETW events).   
            if (!(TraceEventSession.IsElevated() ?? false))
            {
                Out.WriteLine("To turn on ETW events you need to be Administrator, please run from an Admin process.");
                Debugger.Break();
                return -1;
            }

            var sessionName = "SimpleMontitorSession";
            using (var session = new TraceEventSession(sessionName))
            {
                Console.CancelKeyPress += delegate (object sender, ConsoleCancelEventArgs e) { session.Dispose(); };

                var firstEventTimeMSec = new Dictionary<int, double>();

                session.Source.Clr.ExceptionStart += delegate (ExceptionTraceData data)
                {
                    Process process = null;

                    try
                    {
                        process = Process.GetProcessById(data.ProcessID);
                        string processName = process.ProcessName;

                        /* 원하지 않는 프로세스는 필터링 
                        if (processName == "devenv")
                        {
                            return;
                        }
                        */
                    } 
                    catch
                    {
                        return;
                    }

                    Console.WriteLine($"({data.ProcessID}:{data.TimeStamp}): {data.EventName} --> {data.ExceptionType} : {data.ExceptionMessage}");
                };

                // ClrTraceEventParser.ProviderGuid == {e13c0d23-ccbc-4e12-931b-d9cc2eee27e4}
                // ClrTraceEventParser.ProviderName == "Microsoft-Windows-DotNETRuntime"

                var restarted = session.EnableProvider(
                    ClrTraceEventParser.ProviderGuid, TraceEventLevel.Verbose,
                    (ulong)(ClrTraceEventParser.Keywords.Exception));

                if (restarted)      // Generally you don't bother with this warning, but for the demo we do. 
                    Out.WriteLine("The session {0} was already active, it has been restarted.", sessionName);

                Out.WriteLine("**** Start listening for events");

                session.Source.Process();
                Out.WriteLine();
                Out.WriteLine("Stopping the collection of events.");
            }
            return 0;
        }
    }
}
/*
C:\Windows\System32>logman query providers | findstr "Microsoft-Windows-DotNETRuntime"
Microsoft-Windows-DotNETRuntime          {E13C0D23-CCBC-4E12-931B-D9CC2EEE27E4}
Microsoft-Windows-DotNETRuntimeRundown   {A669021C-C450-4609-A035-5AF59AF4DF18}
*/

닷넷 프로세스 내에서 발생하는 (try/catch로 먹어버렸어도) 모든 예외를 출력해 줍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첨언하자면, ETW의 특성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닷넷 4.0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출력이 잘 나오지만,

(12640:2020-06-24 오후 4:29:43): Exception/Start --> System.ApplicationException : TEST

3.5 이하의 응용 프로그램은 예외가 발생했다는 것을 감지만 하고 ExceptionType, ExceptionMessage에 대한 정보는 구할 수 없습니다.

(6516:2020-06-24 오후 4:27:02): Exception/Start -->  :

마지막으로, 실시간으로 이벤트가 전달되지 않고 약간의 시간 차가 생깁니다. 무언가 realtime으로 이벤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옵션이 있을 것 같은데 딱히 TraceEventSession에서 관련 설정을 찾을 수가 없군요. (혹시 방법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7-09 11시00분
GLAD is available (GLAD: GC Latency Analysis and Diagnostics.)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556-2/

microsoft/perfview
; https://github.com/microsoft/perfview/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08정성태2/8/201921883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11807정성태1/29/201919790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6정성태1/29/201919483디버깅 기술: 122.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 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1805정성태1/28/201921558.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 [4]파일 다운로드1
11804정성태1/24/201919435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803정성태1/10/201918325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11802정성태1/7/201920063.NET Framework: 805. 두 개의 윈도우를 각각 실행하는 방법(Windows Forms, WPF)파일 다운로드1
11801정성태1/1/201921411개발 환경 구성: 427. Netsh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3]
11800정성태12/28/201820458오류 유형: 509. WCF 호출 오류 메시지 - System.ServiceModel.CommunicationException: Internal Server Error
11799정성태12/19/201822180.NET Framework: 804. WPF(또는 WinForm)에서 UWP UI 구성 요소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798정성태12/19/201821030개발 환경 구성: 426. vcpkg - "Building vcpkg.exe failed. Please ensure you have installed Visual Studio with the Desktop C++ workload and the Windows SDK for Desktop C++"
11797정성태12/19/201817040개발 환경 구성: 425. vcpkg - CMake Error: Problem with archive_write_header(): Can't create '' 빌드 오류
11796정성태12/19/201817243개발 환경 구성: 424. vcpkg - "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 오류를 무시하는 방법
11795정성태12/19/201820594Windows: 154. PowerShell - Zone 별로 DNS 레코드 유형 정보 조회 [1]
11794정성태12/16/201816661오류 유형: 508. Get-AzureWebsite : Request to a downlevel service failed.
11793정성태12/16/201819230개발 환경 구성: 423.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1]
11792정성태12/11/201819019Graphics: 34.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1) - Per-Pixel 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1791정성태12/11/201819047VS.NET IDE: 130. C/C++ 프로젝트의 시작 프로그램으로 .NET Core EXE를 지정하는 경우 닷넷 디버깅이 안 되는 문제 [1]
11790정성태12/11/201817543오류 유형: 507. Could not save daemon configuration to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 Access to the path 'C:\ProgramData\Docker\config' is denied.
11789정성태12/10/201831149Windows: 153. C# - USB 장치의 연결 및 해제 알림을 위한 WM_DEVICECHANGE 메시지 처리 [2]파일 다운로드2
11788정성태12/4/201817406오류 유형: 506. SqlClient - Value was either too large or too small for an Int32.Couldn't store <2151292191> in ... Column
11787정성태11/29/201821549Graphics: 33.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9), (10) - OBJ File Format, Loading 3D Models파일 다운로드1
11786정성태11/29/201818495오류 유형: 505. OpenGL.NET 예제 실행 시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 발생
11785정성태11/21/201820875디버깅 기술: 120. windbg 분석 사례 - ODP.NET 사용 시 Finalizer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으로 인한 비정상 종료
11784정성태11/18/201820091Graphics: 32.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7), (8) - Matrices and Uniform Variables, Model, View & Projection Matrices파일 다운로드1
11783정성태11/18/201818230오류 유형: 504.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가 설치된 컴퓨터 간의 ping IP 주소 풀이 오류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