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 https://www.sysnet.pe.kr/2/0/910

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 https://www.sysnet.pe.kr/2/0/915

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
; https://www.sysnet.pe.kr/2/0/918

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 https://www.sysnet.pe.kr/2/0/1335

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9

Windows: 174.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47

개발 환경 구성: 517. Hyper-V Internal 네트워크에 NAT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제공
; https://www.sysnet.pe.kr/2/0/12352

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4

개발 환경 구성: 656. Internal Network 유형의 스위치로 공유한 Hyper-V의 VM과 호스트가 통신이 안 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199

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30

개발 환경 구성: 665.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56

개발 환경 구성: 670.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0

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 https://www.sysnet.pe.kr/2/0/13647

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658




Hyper-V Internal 네트워크에 NAT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제공

Hyper-V의 Internal network 유형은,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 https://www.sysnet.pe.kr/2/0/910#internal

VM끼리의 통신과, VM - Host 간의 통신은 제공하지만 인터넷으로의 연결은 안 됩니다. 이런 제약은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를 Internal에 제공해 해결할 수 있지만,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 https://www.sysnet.pe.kr/2/0/915

개인적으로는, 그냥 VM에 External과 Internal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보통, External은 동적 IP로, Internal은 정적 IP로 설정해 둡니다.)




예전에 "Windows Virtual PC"를 사용하신 분은, Hyper-V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NAT" 유형의 네트워크를 기억하실 텐데요,

Windows Virtual PC 의 네트워크 유형 (1)
; https://www.sysnet.pe.kr/2/0/906#nat

아쉽게도 이런 유형을 Hyper-V에서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명시적"으로만 제공하지 않았을 뿐 원한다면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데요,

Set up a NAT network
; https://learn.microsoft.com/en-us/virtualization/hyper-v-on-windows/user-guide/setup-nat-network

Hyper-V NAT w/ Linux VM
; https://medium.com/@mdavis332/hyper-v-nat-w-linux-vm-1d245be6ded1

예를 들어, 기존에 "HyperVInternal"이라는 Internal 유형의 네트워크가 있을 때,

internet_with_internal_and_nat_0.png

호스트와 VM의 네트워크 설정이 각각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호스트 측
C:\temp> ipconfig

...[생략]...

Ethernet adapter vEthernet (HyperVInternal):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Link-local IPv6 Address . . . . . : fe80::e1cb:997b:a4a6:d7aa%61
   Autoconfiguration IPv4 Address. . : 169.254.215.170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0.0
   Default Gateway . . . . . . . . . :

//////////////////// VM 측
C:\temp> ipconfig

...[생략]...

Ethernet adapter Ethernet: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kornet
   Link-local IPv6 Address . . . . . : fe80::c564:42e0:8fb3:3d66%8
   Autoconfiguration IPv4 Address. . : 169.254.61.102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0.0
   Default Gateway . . . . . . . . . :

그럼, 이 네트워크 영역을 NAT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PS C:\temp> New-NetNat -Name "NATNetwork" -In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 169.254.0.0/16

Name                             : NATNetwork
Ex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 :
In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 : 169.254.0.0/16
IcmpQueryTimeout                 : 30
TcpEstablishedConnectionTimeout  : 1800
TcpTransientConnectionTimeout    : 120
TcpFilteringBehavior             : AddressDependentFiltering
UdpFilteringBehavior             : AddressDependentFiltering
UdpIdleSessionTimeout            : 120
UdpInboundRefresh                : False
Store                            : Local
Active                           : True

그런 다음, VM 측의 Default Gateway를 다음과 같이 호스트 측의 "vEthernet (HyperVInternal)" IP로 설정합니다.

internet_with_internal_and_nat_2.png

(위의 그림에서는, 고정 IP 할당 없이 default gateway를 설정하느라 "Advanced..." 기능을 통해 복잡하게 했지만, 고정 IP를 할당한다면 그냥 인터넷 속성 창에서 IP와 함께 Default gateway를 직접 지정해도 됩니다.)

이렇게 NAT으로 연결해 주면, 이제 VM의 Internal 네트워크는 호스트 측의 NAT 기능을 이용해 인터넷 영역으로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일단 한 번 이렇게 설정해 두면, 이후의 VM들은 Default Gateway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Internal 유형으로 Internet 연결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Set up a NAT network" 글에서 다루는 PowerShell 명령어를 이번 기회에 익혀 보겠습니다. ^^

우선, Hyper-V의 가상 스위치를 관리 콘솔을 이용하지 않고도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New-VMSwitch -SwitchName "HyperVInternal" -SwitchType Internal

그런 다음, 호스트 측의 (ipconfig을 이용해 알 수 있지만) vEthernet에 할당된 IP를 알아낼 수도 있고,

PS C:\Windows\System32> Get-NetIPAddress -InterfaceAlias "vEthernet (HyperVInternal)"

IPAddress         : fe80::e1cb:997b:a4a6:d7aa%61
InterfaceIndex    : 61
InterfaceAlias    : vEthernet (HyperVInternal)
AddressFamily     : IPv6
Type              : Unicast
PrefixLength      : 64
PrefixOrigin      : WellKnown
SuffixOrigin      : Link
AddressState      : Preferred
Vali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Preferre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SkipAsSource      : False
PolicyStore       : ActiveStore

IPAddress         : 169.254.215.170
InterfaceIndex    : 61
InterfaceAlias    : vEthernet (HyperVInternal)
AddressFamily     : IPv4
Type              : Unicast
PrefixLength      : 16
PrefixOrigin      : WellKnown
SuffixOrigin      : Link
AddressState      : Preferred
Vali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Preferre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SkipAsSource      : False
PolicyStore       : ActiveStore

혹은 강제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New-NetIPAddress -IPAddress 192.168.100.1 -PrefixLength 24 -InterfaceAlias "vEthernet (HyperVInternal)"

IPAddress         : 192.168.100.1
InterfaceIndex    : 65
InterfaceAlias    : vEthernet (NatTest)
AddressFamily     : IPv4
Type              : Unicast
PrefixLength      : 24
PrefixOrigin      : Manual
SuffixOrigin      : Manual
AddressState      : Tentative
Vali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Preferre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SkipAsSource      : False
PolicyStore       : ActiveStore

IPAddress         : 192.168.100.1
InterfaceIndex    : 65
InterfaceAlias    : vEthernet (NatTest)
AddressFamily     : IPv4
Type              : Unicast
PrefixLength      : 24
PrefixOrigin      : Manual
SuffixOrigin      : Manual
AddressState      : Invalid
Vali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PreferredLifetime : Infinite ([TimeSpan]::MaxValue)
SkipAsSource      : False
PolicyStore       : PersistentStore

/*
또는, netsh을 이용해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vEthernet (HyperVInternal)" static 192.168.100.1 255.255.255.0
*/

만약, 위와 같이 가상 스위치에 연결된 호스트 측의 어댑터 IP를 "192.168.100.1"로 지정한 Internal 네트워크에 대해 NAT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면 New-NetNat 명령어를 다음과 같은 옵션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PS C:\Windows\System32> New-NetNat -Name "NATNetwork" -In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 192.168.100.0/24

Name                             : NATNetwork
Ex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 :
In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 : 192.168.100.0/24
IcmpQueryTimeout                 : 30
TcpEstablishedConnectionTimeout  : 1800
TcpTransientConnectionTimeout    : 120
TcpFilteringBehavior             : AddressDependentFiltering
UdpFilteringBehavior             : AddressDependentFiltering
UdpIdleSessionTimeout            : 120
UdpInboundRefresh                : False
Store                            : Local
Active                           : True

하지만 해당 LAN 어댑터가 DHCP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므로, VM은 여전히 "169.254.x.x" 등의 IP로 기본 설정되며 따라서 위와 같이 IP를 바꾼 경우에는 VM 측의 IP도 "192.168.100.x" 대역으로 직접 설정해야 합니다.

internet_with_internal_and_nat_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4정성태1/23/201421447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584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740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385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3968.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13.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492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080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26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16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82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791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4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0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10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46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596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61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245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73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476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447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17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255.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17.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2301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