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94

.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607

.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657

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710

.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12

.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 https://www.sysnet.pe.kr/2/0/11710

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
; https://www.sysnet.pe.kr/2/0/11724

Windows: 176.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369

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94

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 https://www.sysnet.pe.kr/2/0/13798

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799

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
; https://www.sysnet.pe.kr/2/0/13813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우리에게는 "레이몬드 첸의 윈도우 개발 282 스토리"라는 책의 저자로 알려진 Raymond Chen이 이번에는 한글날에 맞춰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에 대한 뒷이야기를 남겼습니다.

A consequence of being the first to adopt a standard is that you may end up being the only one to adopt it: The sad story of Korean jamo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01009-00/?p=104351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 문자를 맥과 윈도우에서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의 경우, 가령 '각'이라는 문자를 '각'을 나타내는 0xAC01 2바이트로 나타냅니다.

[윈도우]
 - U+AC01 '각'

반면 맥의 경우에는 '각'이라는 문자를 각각의 초성, 중성, 종성을 따로 분리해 표현을 하지만, 화면에 보여줄 때는 '각'이라고 합쳐서 보여줍니다.

[맥]
 - U+1100 'ᄀ'
 - U+1161 'ᅡ'
 - U+11A8 'ᆨ'

즉, 윈도우의 경우에는 '각'을 표현하기 위해 2바이트가 필요한 반면, 맥의 경우에는 6바이트가 필요(현실적으로는 UTF-8 인코딩을 하므로 윈도우는 3바이트, 맥은 9바이트)합니다. 이것을 유니코드의 정규화 관점에서 보면, 윈도우는 "NFC"를 따르고 맥의 경우에는 "NFD"를 따른다고 설명합니다.

문제는, ICU(Internationl Components for Unicode)도, iOS도, Android도 모두 U+1100, U+1161, U+11A8을 하나의 글자로 합쳐서 보여주는데, 왜 윈도우만 그것을 곧이곧대로 'ᄀ ᅡᆨ'으로 보여주냐는 것입니다. Raymond Chend은 이에 대해 '가장 먼저 표준을 도입하는 선발 주자로써 겪게 되는 아픔'의 한 사례라고 합니다. 실제로, 윈도우는 당시 한국의 산업 표준인 "KS X 1026"에 따라 NFC 방식이 되었다고 합니다.

Korean standard KS X 1026
; http://unicode.org/L2/L2008/08225-n3422.pdf

위의 문서에 "4. KS x 1026-1"을 보면,

  1. Modern Hangul Syllable Blocks - Only code positions of Wanseong (Precomposed) Hangul Syllable block (UAC00 ~ D7A3)
  2. Old Hangul Syllable Blocks - Only code positions of Johab Hangul Jamo block (U11xx)
  3. Two or more code positions of simple letters cannot be concatenated to represent a complex letter.
  4. A Wanseong Syllable block (UAC00 ~ UD7A3) and Johab Hangul letter(s) (U11xx) cannot be concatenated to represent another Hangul Syllable block. Ÿ Implementation algorithms for separating, searching, sorting and normalizing Hangul text syllables.

(3번과 4번은 차치하고) 현대 한글은 "Hangul Syllables"에 해당하는 AC00 ~ D7A3 범위의 완성형 코드를 쓰되, 옛한글(Old Hangul Syllable Blocks)은 "Hangul Jamo"에 해당하는 1100 ~ 11FF 범위의 조합형 코드로 쓴다고 언급이 됩니다. 즉, 일반적인 한글에 해당하는 '각'은 'ᄀ', 'ᅡ', 'ᆨ'로 따로 보관하지 않고 '각(U+AC01)'이라는 2바이트 완성형 한글을 쓰고, 옛 한글 - 예를 들어 '가ᇫ'이라는 글자는 맥에서처럼 "U+1100 U+1161 U+11EB"의 조합형으로 나타내라는 것입니다.

위키백과 문서를 보면 이에 대해 더 쉬운 설명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KS X 1026-1
; https://ko.wikipedia.org/wiki/KS_X_1026-1

위의 문서에 "금지된 조합"을 보면,

1) 조합형 한글 낱자 여러 개를 이용하여 겹낱자를 표현하지 않는다.
    예: ᄖ U+1116 (O),  U+1102 U+1107 (X)

2) 현대 한글 완성자는 반드시 한글 글자 마디(Hangul Syllables, U+AC00~U+D7AF) 영역의 문자로 표현해야 하며, 조합형 한글 낱자로 표현하지 않는다.
    예: 한 U+D55C (O), ᄒ ᅡ ᆫ U+1112 U+1161 U+11AB (X)

3) 옛한글 완성자를 표현할 때 한글 글자 마디 영역의 문자와 조합형 한글 낱자를 섞지 않는다.
    예: 가ᇫ U+1100 U+1161 U+11EB (O), 가ㅿ U+AC00 U+11EB (X)

두 번째 항목이 실제로 많이 볼 수 있는 맥의 표현으로 분명히 "KS X 1026-1" 표준 문서에는 그렇게 하지 말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설명과 함께, Raymond Chen은 윈도우가 잘못된 이유를 물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운영체제들의 잘못된 이유를 물어야 한다고 합니다. 즉, 아무도 지키지 않는 표준을 구현한 운영체제들 속에 단 하나의 표준을 구현한 운영체제가 잘못된 것처럼 보이게 된 것입니다.

어쨌든 결국, 이런 상황으로 인해 윈도우가 따르는 공식적인 표준인 NFC 방식과, 그 외의 운영체제들이 따르는 사실상의 표준인 NFD 방식으로 나뉘게 되었다고.




저 스스로가 개발자이다 보니, 사실 개인적인 관점에서 보면 만약 한글을 구현해야 했다면 NFD 방식을 따랐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 그것이 더 구현이 쉽습니다. 완성형 한글 속에서 옛 한글은 조합형으로 표현해야 하는 "KS X 1026-1" 표준보다는 무조건 조합형으로 구현하는 NFD 방식이 확실히 구현상 쉽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나저나, 여기서 글을 맺으면 좀 아쉽고 Raymond Chen의 글에 달린 덧글에 보면 반박글이 재미있습니다. 즉, 맥과 같은 운영체제들이 구현한 방식이 표준이 아니라고 하는데 사실 유니코드 표준에 NFD 방식의 구현이 "UAX #29" 문서로 명확하게 나와 있다는 것입니다.

Unicode® Standard Annex #29
; http://unicode.org/reports/tr29/#Grapheme_Cluster_Boundaries

(혹시... 저 현란한 문서 좀 정리해 주실 분 계실까요? ^^)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의문인 것이, 해당 문서의 초판 작성자가 "Authors Mark Davis (mark.davis@us.ibm.com)"으로 나오는데, 과연 저 문서를 작성할 때 한글 관련 부분에 대해 한국 측의 의견을 얼마나 잘 반영했느냐입니다. 혹시 이에 대한 이력을 아시는 한글 관련 전문가가 계시다면 덧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1/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0-14 04시44분
'샾' 등 한글 표현 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정보시스템 한글 처리 가이드라인
; http://m.korea.kr/expertWeb/resources/files/data/document_file/2010/공공%20정보시스템%20한글%20처리%20가이드라인.pdf

"
유니코드에서 한글 표현의 경우 KS X 1026-1으로 표준화되어 있고, 기술표준원 산하 문자코드위원회에서 이를 권고하고 있다
"
정성태
2021-10-20 08시46분
정성태
2022-09-29 04시17분
제 글로 인해 이런 논쟁이 발생했군요. (아마도!)

맥의 한글 파일명 분리에 대한 오해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595712

심지어, "'가장 먼저 표준을 도입하는 선발 주자로써 겪게 되는 아픔'의 한 사례"라고 제가 의역한 문장까지 그대로 자신의 문장인 것처럼 사용하는 덧글도 보이고.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23정성태4/20/201130103.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1]
1022정성태4/19/201125642디버깅 기술: 38. .NET Disassembly 창에서의 F11(Step-into) 키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21정성태4/18/201127983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020정성태4/18/201128612오류 유형: 117. Failed to find runtime DLL (mscorwks.dll), 0x80004005
1019정성태4/17/201129252디버깅 기술: 36.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1]파일 다운로드1
1018정성태4/16/201132903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1017정성태4/14/201127698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파일 다운로드1
1016정성태4/13/201143738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2]
1015정성태4/9/201129108.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1014정성태4/7/2011106531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
1013정성태4/7/201124314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
1012정성태4/6/201133044.NET Framework: 208.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1]
1011정성태3/31/201135439오류 유형: 114. 인증서 갱신 오류 - The request contains no certificate template information.
1010정성태3/30/201126193개발 환경 구성: 113.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4]
1009정성태3/29/201138576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4]
1008정성태3/27/201130925.NET Framework: 207.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2]
1007정성태3/16/201131763개발 환경 구성: 111. Excel - XML 파일 연동 [5]파일 다운로드1
1006정성태3/15/201125531.NET Framework: 206. XML/XSD - 외래키처럼 참조 제한 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05정성태3/11/201135340개발 환경 구성: 110.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2]
1004정성태3/3/201124545개발 환경 구성: 109. SharePoint Health Analyzer 디스크 부족 경고 제어
1003정성태3/3/201125525오류 유형: 113. SQL Server - DB Attach 시 Parameter name: nColIndex 오류 발생
1002정성태3/2/201123903Team Foundation Server: 44. TFS 설치 후, Team Portal의 Dashboard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1001정성태3/2/201127992Team Foundation Server: 43. TFS 2010 + SharePoint 2010 설치
1000정성태3/1/201132956오류 유형: 112. Remote FX RDP 연결 시 오류 유형 2가지 [5]
999정성태2/28/201146504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196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