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도서: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8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도서: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기존에 출판되었던,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11257753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19427525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48156128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Product/Goods/73031673

시작하세요! C# 8.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Product/Goods/82590356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의 9.0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위키북스 -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s://wikibook.co.kr/cs90/

Yes24 -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Product/Goods/97314203

이번에도 책의 두께 문제로 초판에서 발행했던 3부의 내용과 추가로 부록 전체를 PDF 파일로 공개합니다.

공개된 3부 및 부록 - PDF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9_free.pdf

책에서 혹시 이해가 안되거나 궁금하신 부분이 있는 경우 다음의 게시판을 활용해 질문을 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오타나 문장이 이상한 부분이 있는 것도 게시판을 통해 알려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질문 답변 게시판
; https://www.sysnet.pe.kr/3/0

책에 있는 예제는 github에 공개했습니다.

.NET Framework 용 소스코드
; https://github.com/stjeong/cs9_netfx_sample

* 소스코드를 비주얼 스튜디오 2019에서 열은 후, 테스트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 메뉴로 지정하면 됩니다.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 메뉴에 대해서는 책의 295페이지에 있는 "Note" 내용에서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처음 CSharp9NetFx.sln 솔루션을 로드 후 빌드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NuGet 패키지 구성 시간이 걸려 그런 것이므로 1~2분 정도 후에 다시 빌드하면 됩니다.

6장에서 만드는 SQL 데이터베이스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9_book_db_file.zip

참고로, .NET Core 프로젝트로 변환된 예제 코드도 제공합니다.

.NET Core 용 소스코드
; https://github.com/stjeong/cs9_netcore_sample

* .NET Framework의 BCL을 사용하는 일부 예제 코드는 .NET Core 프로젝트로 마이그레이션되지 않았습니다.
* .NET 3.1과 5로 맞춰져 있으므로 빌드하기 위해서는 .NET 3.1 SDK와 .NET 5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압축을 풀면 나오는 "CSharp9NetFx.sln" / "CSharp9Core.sln" 파일을 비주얼 스튜디오 2019에서 열면 다음과 같이 솔루션 탐색기(Solution Explorer)에서 장(Chapter) 별로 나누어져 있어 찾기 편하도록 구성했습니다.

sample_code8_sln.png

소스 코드 프로젝트 중에서 11장까지는 책에서 "예제" 제목이 달린 소스 코드마다 완전히 실행 가능한 C#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예제" 제목이 달리지 않은 소스코드도 모두 "부가코드-[번호].txt"라는 파일에 담아 두었습니다. 각각의 txt 파일도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컴파일이 되는 하나의 독립적인 예제입니다. 반면 12장 ~ 17장은 "예제" 제목이 달린 프로젝트가 해당 절에 포함된 소스 코드와 일치합니다.

이번에도 책에 포함된 모든 그림 파일을 다음의 경로에 공개해 두었습니다.

책에 포함된 그림
; https://www.sysnet.pe.kr/book/cs9_img.zip

캡쳐된 그림 이외에 다이어그램을 그리기 위해 사용한 PPT 파일도 아래에 공개했습니다. (일부 다이어그램은 출판사 측에서 인쇄를 위해 재편집을 했기 때문에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다이어그램 원본 PPT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9_diagram.pptx

(혹시 이 파일에 실린 다이어그램을 좀 더 멋지게 그리셨다면 제 책에 실을 수 있도록 공유 부탁드립니다. ^^)

마지막으로, 공개된 PDF의 3부 내용에 대해서는 책의 서문에 쓴 내용을 공지합니다.

이 중에서 3부의 내용은 좀 더 부가 설명이 필요하다. 필자가 쓴 책은 C# 5.0을 대상으로 처음 쓰여졌으며 3부의 내용은 원래 그 책에 포함돼 있던 내용이다. 하지만 C# 6.0을 포함한 개정판이 나오면서 책의 분량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해 3부의 내용을 제외시켜 무료 PDF 문서로 공개했고 이번 C# 8.0 책에서도 포함하지 않았다. 종이책으로 꾸준히 출판한 1부, 2부와는 달리 3부의 내용은 C# 5.0 책이 쓰여졌던 시점 이후로 업데이트되지 않았기 때문에 3부의 내용 중 일부는 개발 환경의 변화로 달라졌을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린다.


정리하면, 3부의 내용 중 모바일 부분은 거의 실습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도 다음의 사이트에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으니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OfficePresenter 소스코드
; https://github.com/stjeong/OfficePresenter
(다운로드 방법: 위 링크의 우측 하단에 "Download ZIP"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정오표]



* 1부 정오표 *
위치 변경 전 변경 후
4.5.1.4 인터페이스 (207 페이지)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절 전체를 https://www.sysnet.pe.kr/2/0/12787 글로 교체 (참고: https://www.sysnet.pe.kr/2/0/12788)
5.1.3.1 연산 범위 확인: checked, unchecked (280 페이지, 첫 번재 줄) 이런 식으로 데이터가 상한값을 넘어 하한값으로 돌아가는 것을 오버플로(overflow)라 하고, 반대의 현상을 언더플로(underflow)라고 한다. 이런 식으로 데이터가 상한값을 넘어 하한값으로, 반대로 하한값에서 상한값으로 넘는 것을 오버플로(overflow)라고 한다. 닷넷 런타임에서 오버플로는 정수 타입에 한해 발생한다.
5.1.3.1 연산 범위 확인: checked, unchecked (280 페이지, Note 내용) 엄밀하게 정의를 하면, 정수에서의 상한 및 하한을 넘어서는 모든 결과를 오버플로라고 하며 언더플로는 특별히 부동 소수점 연산에서 0에 가깝지만 정밀도의 한계로 표현할 수 없을 때 아예 0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특별히 부동 소수점 연산에서 0에 가깝지만 정밀도의 한계로 표현할 수 없을 때 아예 0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을 언더플로(underflow)라고 한다. 닷넷에서는 언더플로에 대한 예외 처리는 제공하지 않는다.
5.1.3.1 연산 범위 확인: checked, unchecked (280 페이지, Note 내용 하단) 그런데 오버플로와 언더플로가 과연 개발자가 의도한 동작일까? .. 이 때문에 개발자는 연산식에서 오버플로나 언더플로가 발생한 경우 ... 그런데 오버플로가 과연 개발자가 의도한 동작일까? .. 이 때문에 개발자는 연산식에서 오버플로가 발생한 경우 ...
5.1.3.1 연산 범위 확인: checked, unchecked (281 페이지, Note 내용) "산술 연산 오버플로/언더플로 확인(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산술 연산 오버플로 확인(Check for arithmetic overflow)"
5.1.3.1 연산 범위 확인: checked, unchecked (281 페이지, Note 내용 하단) 반대로 특정 영역의 산술 연산에 대해서는 오버플로나 언더플로가 ... 반대로 특정 영역의 산술 연산에 대해서는 오버플로가 ...

(참고: https://www.sysnet.pe.kr/2/0/11629)
5.2.6.3 전용 어셈블리, 전역 어셈블리 (328 페이지) 그림 5.20의 FSharp.Core 어셈블리를 보자. 그림 5.22의 FSharp.Core 어셈블리를 보자.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68)
5.3.5 사용자 정의 예외 타입 (344 페이지) 그림 5.22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 정의 예외는 System.Exception을 부모로 두는 것을 권장한다. 그림 5.24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 정의 예외는 System.Exception을 부모로 두는 것을 권장한다.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68)
6.1.1 System.DateTime (381 페이지) DateTime.UtcNow는 지금 현재의 그리니치 천문대의 시간을 반환하므로 DateTime.UtcNow는 그리니치 천문대가 위치한 곳의 협정 세계시를 반환하므로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69)
6.6.1 System.Threading.Thraed: 예제 6.21 (445 페이지) CountPrimeNumbers 메서드 내의 for 문:
for (int i = 2; i < primeCandidate; i++)
for (int i = 2; i <= primeCandidate; i++)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49)


* 2부 정오표 *
위치 변경 전 변경 후
11.2 랑다 식을 이용한 메서드, 속성 및 인덱서 정의 11.2절의 내용 전체에 걸쳐 "람다 식"을 "표현식"으로 수정" (참고: https://www.sysnet.pe.kr/2/0/11515#15173)
11.12 재정의된 메서드의 선택 정확도를 향상 (735 페이지) 하지만 C# 6.0 컴파일러에서는 "int? result"를 정의한 하지만 C# 6.0 컴파일러에서는 "int? arg"를 정의한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79)
16.7.2 속성 패턴 (852 페이지) case var r when r.Equals((0,0)) 코드 삭제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80)
17.3.2절의 내용을 모두 삭제합니다. (참고: https://www.sysnet.pe.kr/3/0/5542)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2-08 12시07분
[kiu2475] 첫 직장에서 닷넷 처음배울때 봤던 책 중에서 6.0 버전책이
실무에서 도움 제일 많이 됐었는데, 벌써 9.0버전까지 나왔네요
축하드립니다 ㅎㅎ
[guest]
2021-02-08 05시50분
@kiu2475 감사합니다. 지금은 어떤 일을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가끔씩 https://www.sysnet.pe.kr/2/0 게시판에 들러 구경하고 가세요. ^^
정성태
2021-02-09 08시37분
[뀰이] 책 출판일이 2월18일로 되어있는데 주문하면 지금 오는 건가요?
[guest]
2021-02-10 07시14분
@뀰이 왜 "지금"이라는 표현을 쓰신 건지 모르겠지만, 주문 쪽에 표기된 "2월 22일 발송 예정"이 실제 배송 날짜가 맞을 것 같습니다.
정성태
2021-02-16 11시57분
[[손님]] [--] 컥! 아직 시작하세요 C# 7.3도 다 못봤는데 --
[guest]
2021-02-17 08시48분
천천히 보세요. ^^ 문법은 알면 좋지만 몰라도 프로그래밍 실력을 크게 좌우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성태
2022-07-27 12시58분
[ㅇㅇㅇ] 그림 압축파일이 다운이 안돼네요...
[guest]
2022-07-27 09시00분
다운로드는 되는데, 브라우저 보안에 걸린 것입니다. Ctrl + J 키를 누르면 "cs9_img.zip can't be downloaded securely"라는 메시지와 함께 다운로드하지 못한 파일 항목이 보일 것입니다. 그 항목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면 우측에 "..."라는 버튼이 생기고, 그걸 누르면 나오는 "Keep" 메뉴를 선택하면 저장됩니다.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2정성태1/29/200518231.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829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616.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4149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7754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7449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3170.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304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447.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912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847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222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475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532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772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649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269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557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469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665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492.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946.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819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7173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20004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7087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