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949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7개 있습니다.)
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https://www.sysnet.pe.kr/2/0/942

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
; https://www.sysnet.pe.kr/2/0/1027

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 https://www.sysnet.pe.kr/2/0/1231

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32

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 https://www.sysnet.pe.kr/2/0/1242

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1764

.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2132

.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
; https://www.sysnet.pe.kr/2/0/12143

.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44

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 https://www.sysnet.pe.kr/2/0/12148

.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50

.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151

.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52

.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
; https://www.sysnet.pe.kr/2/0/12153

.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65

.NET Framework: 968. C# 9.0의 Function pointer를 이용한 함수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09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지난번에 "Trampoline API Hooking" 방식을 알아봤는데요.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 https://www.sysnet.pe.kr/2/0/1231

이 방법의 단점은, 아쉽게도 x64 지원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래 저래 뜯어고치면 되겠지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실력이 안된다면 ^^ 차선책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선택될 수 있는 첫 번째가 그 누구도 아닌 '마이크로소프트' 스스로 개발한 후킹 라이브러리가 있으니, 바로 "Detours"가 그것입니다.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음... 그런데, 역시 단점이 없지 않습니다. 32비트/64비트 모두 지원하긴 하지만, 무료 버전은 32비트만 지원하고 64비트까지 지원하려면 반드시 유료 버전을 구매해야 합니다.

저 같은 평범한 개발자가 $9,999를 지불하기에는 좀 그러하니, 다음으로 생각해 볼 것이 무료 중에 제법 안정적인 라이브러리가 없나 찾아보게 됩니다.
다행히, 이번 달(2012-02)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잡지에서 소개된 "EasyHook"이 괜찮은 후보가 될 것 같습니다.

EasyHook - The reinvention of Windows API Hooking
; http://easyhook.codeplex.com/
; https://github.com/EasyHook/EasyHook/

LGPL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상용에도 쓸 수 있고 DLL로 링크해서 사용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다 만약 버그가 있다면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해 버그를 수정한 후 원 저작자에게 알리면 버그 패치된 버전이 나올 것이고, 다시 그 DLL을 링크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웨어'에 기사를 쓴 '권용휘' 님은 "Powered by EasyHook" 로고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했는데... 약간 오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원 저작자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는데요.

I don't remember if this is covered by the LGPL but I would appreciate some kind of "Powered By" Banner/Icon/Notice. You will find an example at the bottom of this page.


그래줬으면 감사하다는 것이지, 강제 사항은 아닙니다. 사실, 이걸 강제 사항으로 넣으면 또 이상할 수도 있는데요. 가령 예를 들어서, UI가 없는 Library 개발자라면 쓰지 말라는 것이나 다름없으니까요. 게다가 이렇게 라이브러리를 공개한 경우 '감시' 수단이 현실적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Q&A에서 원 저작자는,

Licensing question 
; http://easyhook.codeplex.com/discussions/236073

you just directly link with the c files it seems fine to me. But it is still a breach with the LGPL but I wouldn't mind in this particular case, as long as the product you are creating is not something like EasyHook.


소스 코드를 가져다 쓰는 것 조차도, EasyHook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면 자신은 괜찮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물론, 공식 문서화된 답변은 아니므로 이런 내용에 기대어 오버 해석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어쨌든, "Powered by" 로고에 대해서는 제가 질문을 올려놨는데 어떤 답이 오는지 한번 지켜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About "Powered By" logo. 
; http://easyhook.codeplex.com/discussions/330548




그건 그렇고, 이제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봐야겠지요. ^^

오늘 날짜 기준으로 안정화된 버전이라고 알려진 2.6을 다운로드/압축을 풀어놓고 자신의 C/C++ 프로젝트에서 EasyHook32.dll(또는 EasyHook64.dll)을 링크한 후, 기본 소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32Wrapper.h"

#include "..\Libraries\easyhook.h"

#if defined(_AMD64_)
#pragma comment(lib, "..\\Libraries\\EasyHook64.lib")
#else
#pragma comment(lib, "..\\Libraries\\EasyHook32.lib")
#endif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Hook(void)
{
    ...    
}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Unhook(void)
{
    ...
}

그럼, 지난번에 했던 CoGetClassObject 후킹을 EasyHook 버전으로 한번 바꿔볼까요? ^^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잡지에 실린 기사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어서 쉽게 다음과 같이 포팅을 할 수 있었습니다.

DWORD ACLEntries_CoGetClassObject[1] = { (DWORD)-1 }; 
HOOK_TRACE_INFO g_h_CoGetClassObject= {NULL}; 

HRESULT WINAPI New_CoGetClassObject(REFCLSID rclsid, DWORD dwClsContext, COSERVERINFO *pServerInfo, REFIID riid, LPVOID *ppv)
{
    if (CanBeActivated(rclsid) == FALSE)
    {
       return REGDB_E_CLASSNOTREG;
    }

    return CoGetClassObject(rclsid, dwClsContext, pServerInfo, riid, ppv);
}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Hook(void)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Ole32.dll");

    FARPROC farProc = ::GetProcAddress(hModule, "CoGetClassObject");
    if (farProc == NULL)
    {
        return;
    }

    LhInstallHook(farProc, New_CoGetClassObject,
        NULL, &g_h_CoGetClassObject);
    LhSetExclusiveACL(ACLEntries_CoGetClassObject, 1, &g_h_CoGetClassObject);
}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Unhook(void)
{
    LhUninstallAllHooks();
}

이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소스 코드가 훨씬 더 간결해졌다는 점을 들 수 있겠고, 무엇보다도 x64/x86 모두 동작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잘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쓰는 것은 너무너무 행복한 일입니다. ^^)

이번에도 역시, 첨부한 소스 코드는 "닷넷"에서 C/C++ DLL 함수를 불러서 처리하게 했고 다음과 같이 Hook/Unhook 버튼을 두어 실행 시에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easyhook_1.png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3-26 11시29분
라이선스에 대해 다음과 같은 덧글이 달렸군요. ^^

From: spazzarama

If there is no UI within the project at all then perhaps some credit within the readme / documentation of your application.
The LGPL states that you should "give prominent notice" that the library (EasyHook) is used within your application. Where you choose to put this is up to you I guess.
정성태
2016-05-12 01시30분
정성태
2020-06-01 10시31분
파이썬으로 만들어졌고 javascript로 onEnter/onLeave 핸들러를 작성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FridaTrace++ - quick & dirty API monitor
; http://www.hexacorn.com/blog/2020/05/31/fridatrace-quick-dirty-api-monitor/
정성태
2020-08-11 05시26분
[Lyn] https://github.com/microsoft/Detours

MS가 64bit까지 다 풀어버렷네요... 세월이 많이 지났구나
[guest]
2020-08-11 08시41분
@Lyn 님 연관 글에서 "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로 github 공개를 소개했습니다. ^^
정성태
2020-08-12 12시49분
[Lyn] @정성태 연관글을 못보고 지나쳤네요 ㅎㅎ
[guest]
2023-01-27 08시34분
Squalr/Squalr - Squalr Memory Editor - Game Hacking Tool Written in C#
; https://github.com/Squalr/Squalr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11정성태1/12/202020483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12110정성태1/11/202019813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16567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17400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8570.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9625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134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323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435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792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9027.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528.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369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108.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173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860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569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292.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8869.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661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9953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057.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8982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7958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412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0920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