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예를 들어 볼까요? 다음과 같이 자동 속성 코드와 await 호출을 포함한 async 메서드를 정의한 경우,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Net.Http;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MyType
    {
        public string Name { get; set; }

        public async Task<string> Test()
        {
            HttpClient hc = new HttpClient();
            string text = await hc.GetStringAsync("http://www.naver.com");

            Console.WriteLine(text);

            return text;
        }
    }
}

dnSpy나 심지어 Visaul Studio에서조차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 >, $ 기호들이 난무하는, 실제로 C#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 생성된 코드를 거의 여과 없이 보여주는 역어셈블 결과를 보여줍니다. (참고로, Visual Studio는 <, >, $ 기호를 밑줄과 16바이트 코드 값으로 대체합니다.)

// 자동 속성의 사용으로 생성된 코드

[CompilerGenerated]
[DebuggerBrowsable(DebuggerBrowsableState.Never)]
private string <Name>k__BackingField;

public string Name
{
    [CompilerGenerated]
    get
    {
        return this.<Name>k__BackingField;
    }
    [CompilerGenerated]
    set
    {
        this.<Name>k__BackingField = value;
    }
}

// async / await 호출

[CompilerGenerated]
private sealed class <Test>d__5 : IAsyncStateMachine
{
    public <Test>d__5()
    {
    }

    void IAsyncStateMachine.MoveNext()
    {
        int num = this.<>1__state;
        string result;
        try
        {
            TaskAwaiter<string> awaiter;
            if (num != 0)
            {
                this.<hc>5__1 = new HttpClient();
                awaiter = this.<hc>5__1.GetStringAsync("http://www.naver.com").GetAwaiter();
                if (!awaiter.IsCompleted)
                {
                    this.<>1__state = 0;
                    this.<>u__1 = awaiter;
                    MyType.<Test>d__5 <Test>d__ = this;
                    this.<>t__builder.AwaitUnsafeOnCompleted<TaskAwaiter<string>, MyType.<Test>d__5>(ref awaiter, ref <Test>d__);
                    return;
                }
            }
            else
            {
                awaiter = this.<>u__1;
                this.<>u__1 = default(TaskAwaiter<string>);
                this.<>1__state = -1;
            }
            this.<>s__3 = awaiter.GetResult();
            this.<text>5__2 = this.<>s__3;
            this.<>s__3 = null;
            Console.WriteLine(this.<text>5__2);
            result = this.<text>5__2;
        }
        catch (Exception exception)
        {
            this.<>1__state = -2;
            this.<hc>5__1 = null;
            this.<text>5__2 = null;
            this.<>t__builder.SetException(exception);
            return;
        }
        this.<>1__state = -2;
        this.<hc>5__1 = null;
        this.<text>5__2 = null;
        this.<>t__builder.SetResult(result);
    }

    [DebuggerHidden]
    void IAsyncStateMachine.SetStateMachine(IAsyncStateMachine stateMachine)
    {
    }

    public int <>1__state;

    public AsyncTaskMethodBuilder<string> <>t__builder;

    public MyType <>4__this;

    private HttpClient <hc>5__1;

    private string <text>5__2;

    private string <>s__3;

    private TaskAwaiter<string> <>u__1;
}

그런데, dotPeek는 다음과 같이 역어셈블 소스 코드를 보여줍니다.

// Decompiled with JetBrains decompiler
// Type: ClassLibrary1.MyType
// Assembly: ClassLibrary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 MVID: 7E062C69-58F5-42B3-854B-AEBF43A89AE4
// Assembly location: C:\temp\ClassLibrary1.dll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Net.Http;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MyType
  {
    public string Name { get; set; }

    public async Task<string> Test()
    {
      HttpClient hc = new HttpClient();
      string text = await hc.GetStringAsync("http://www.naver.com");
      Console.WriteLine(text);
      string str = text;
      hc = (HttpClient) null;
      text = (string) null;
      return str;
    }
  }
}

대단합니다. 무료 도구인데 이렇게까지 신경 써서 구현해줬으니.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57정성태8/18/201819910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파일 다운로드3
11656정성태8/16/201815687사물인터넷: 29.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5정성태8/16/201817949사물인터넷: 28. 저항과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4정성태8/15/201819208사물인터넷: 27. 병렬 회로의 저항, 전압 및 전류파일 다운로드1
11653정성태8/14/201820047사물인터넷: 26. 입력 전압에 따른 LED의 전압/저항 변화 [1]파일 다운로드1
11652정성태8/14/201817473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1정성태8/14/201822606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파일 다운로드3
11650정성태8/14/201817007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파일 다운로드1
11649정성태8/12/201819331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48정성태8/12/201820756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0888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6919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19125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44정성태8/6/201822031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11643정성태8/6/201821642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파일 다운로드1
11642정성태8/3/201820463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
11641정성태8/3/201825985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1640정성태8/3/201822143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9정성태8/2/201819732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
11638정성태8/2/201818124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7정성태8/1/201822524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6정성태8/1/201829922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635정성태8/1/201818641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11634정성태8/1/201821592.NET Framework: 790. .NET Thread 상태가 Cooperative일 때 GC hang 현상 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3정성태7/29/201825519Graphics: 15. Unity - shader의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를 수작업으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11632정성태7/28/201827839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