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아래의 글에 새롭게 정리했으니 참고하세요.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658
기존 WSL 1 방식에서는 localhost 네트워크를 호스트와 공유해 사용했으므로 호스트 측에서 VM을 접근 가능했다면 WSL 1 인스턴스에서도 동일하게 접근이 됩니다. 하지만 해당 인스턴스를 WSL 2로 바꾸게 되면 네트워크 공간이 Hyper-V에 특별하게 생성된 (internal network 유형인) "WSL" 스위치로 별도 분리되기 때문에,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47
이후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에 설치한 다른 VM 간의 통신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wsl 인스턴스 상황이 아래와 같을 때,
C:\Windows\System32>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20.04 Running 2
Ubuntu Running 1
docker-desktop-data Stopped 2
"Ubuntu-20.04" 인스턴스는 WSL 2 버전이므로 현재 호스트에 설치한 VM(예를 들어, IP가 192.168.100.50)에 대해 ping을 하면 이렇게 막히지만,
$ ping 192.168.100.50 -c 1
PING 192.168.100.50 (192.168.100.50) 56(84) bytes of data.
--- 192.168.100.50 ping statistics ---
1 packets transmitted, 0 received, 100% packet loss, time 0ms
WSL 1에 해당하는 Ubuntu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ping이 잘 됩니다.
$ ping 192.168.100.50 -c 1
PING 192.168.100.50 (192.168.100.50)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192.168.100.50: icmp_seq=1 ttl=128 time=0.604 ms
--- 192.168.100.50 ping statistics ---
1 packets transmitted, 1 received, 0% packet loss, time 0ms
rtt min/avg/max/mdev = 0.604/0.604/0.604/0.000 ms
그런데 재미있는 건,
지난 글에 소개한 호스트 측의 포트 포워딩으로도 WSL 2 -> VM으로의 통신 설정을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192.168.100.50 VM에 대해 호스트 측에 포트 포워딩 설정을 했지만,
C:\temp> 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listenport=18010 listenaddress=0.0.0.0 connectport=8010 connectaddress=192.168.100.50
C:\temp> 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v4tov4
Listen on ipv4: Connect to ipv4:
Address Port Address Port
--------------- ---------- --------------- ----------
0.0.0.0 18010 192.168.100.50 8010
/*
삭제 방법)
netsh interface portproxy delete v4tov4 listenport=18010 listenaddress=0.0.0.0
*/
WSL 2 인스턴스에서 curl을 이용해 서비스 접속을 시도해도 time-out만 발생합니다.
// WSL 2 인스턴스가 속한 "WSL" 네트워크의 호스트 측 주소가 172.20.100.1이라고 가정했을 때
$ curl -I http://172.20.100.1:18010/test.txt
curl: (28) Failed to connect to 172.20.100.1 port 18010: Connection timed out
포기해야 하나 싶었는데... 다음의 글을 발견했습니다. ^^
After converting to WSL2 no longer able to route traffic to other VSwitches on the same host. #4288
; https://github.com/microsoft/WSL/issues/4288
답글에 보면, Hyper-V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서로 포워딩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이러한 포워딩이 전부 비활성 상태지만,
PS C:\Windows\System32> Get-NetIPInterface | select ifIndex,InterfaceAlias,AddressFamily,ConnectionState,Forwarding | Sort-Object -Property IfIndex | Format-Table
ifIndex InterfaceAlias AddressFamily ConnectionState Forwarding
------- -------------- ------------- --------------- ----------
12 Local Area Connection IPv6 Disconnected Disabled
12 Local Area Connection IPv4 Disconnected Disabled
18 vEthernet (HyperVInternal) IPv6 Connected Disabled
18 vEthernet (HyperVInternal) IPv4 Connected Disabled
40 vEthernet (Default Switch) IPv6 Connected Disabled
40 vEthernet (Default Switch) IPv4 Connected Disabled
56 vEthernet (WSL) IPv6 Connected Disabled
56 vEthernet (WSL) IPv4 Connected Disabled
WSL 2가 속한 "vEthernet (WSL)"과 통신을 원하는 VM이 속한 스위치(위의 예제에서는 "vEthernet (HyperVInternal)")에 대해 Forwarding을 활성화시켰더니,
PS C:\Windows\System32> Set-NetIPInterface -ifindex 18 -Forwarding Enabled
PS C:\Windows\System32> Set-NetIPInterface -ifindex 56 -Forwarding Enabled
PS C:\Windows\System32> Get-NetIPInterface | select ifIndex,InterfaceAlias,AddressFamily,ConnectionState,Forwarding | Sort-Object -Property IfIndex | Format-Table
ifIndex InterfaceAlias AddressFamily ConnectionState Forwarding
------- -------------- ------------- --------------- ----------
12 Local Area Connection IPv6 Disconnected Disabled
12 Local Area Connection IPv4 Disconnected Disabled
18 vEthernet (HyperVInternal) IPv6 Connected Enabled
18 vEthernet (HyperVInternal) IPv4 Connected Enabled
40 vEthernet (Default Switch) IPv6 Connected Disabled
40 vEthernet (Default Switch) IPv4 Connected Disabled
56 vEthernet (WSL) IPv6 Connected Enabled
56 vEthernet (WSL) IPv4 Connected Enabled
ping 메시지가 약간 달라지긴 했지만,
$ ping 192.168.100.50 -c 1
PING 192.168.100.50 (192.168.100.50) 56(84) bytes of data.
From 172.20.100.1: icmp_seq=1 Redirect Network(New nexthop: 192.168.100.50)
--- 192.168.100.50 ping statistics ---
1 packets transmitted, 0 received, 100% packet loss, time 0ms
그래도 결과적으로는 실패를 하고 있습니다.
음... ^^; 그러다 "
After converting to WSL2 no longer able to route traffic to other VSwitches on the same host. #4288" 글을 다시 한번 읽어봤는데요, 왠지 "Default Switch"가 언급되는 것이 좀 걸립니다. 혹시나 싶어, 제가 실습한 환경의 VM도 테스트를 위해 (제가 만들어 두었던) "vEthernet (HyperVInternal)"에서 (Hyper-V 설치 시 기본 생성된) "vEthernet (Default Switch)"로 옮긴 후 다시 Forwarding 설정을 했더니... ^^ 잘 됩니다.
뭔가 일반적인 VM Switch와 Hyper-V가 만든 "Default Switch" 간에 차이가 있다는 건데,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고 ^^ 나중에 기회 되면 다시 Default Switch 이외의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봐야겠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