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608

.NET Framework: 727. ASP.NET의 HttpContext.Current 구현에 대응하는 ASP.NET Core의 IHttpContextAccessor/HttpContextAccessor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440

.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 https://www.sysnet.pe.kr/2/0/12467

.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0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전에 CallContext를 설명하면서,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608

덧글로 잠시 소개를 했는데요,

Implicit Async Context ("AsyncLocal")
; https://blog.stephencleary.com/2013/04/implicit-async-context-asynclocal.html

위의 글에서는 AsyncLocal 타입을 사용하지 않고 (.NET Core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순수 CallContext만을 이용해 await 호출 간의 문맥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드를 여기다 그대로 옮겨 볼까요? ^^ 근래의 현실적인 기준으로 볼 때, (.NET Core/5에서 다중 AppDomain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MarshalByRefObject 처리를 없애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Install-Package System.Collections.Immutable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Immutable;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using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

public static partial class MyStack
{
    private static readonly string name = Guid.NewGuid().ToString("N");

    private static ImmutableStack<string> CurrentContext
    {
        get
        {
            var ret = CallContext.LogicalGetData(name) as ImmutableStack<string>;
            return ret == null ? ImmutableStack.Create<string>() : ret;
        }

        set
        {
            CallContext.LogicalSetData(name, value);
        }
    }

    public static IDisposable Push([CallerMemberName] string context = "")
    {
        CurrentContext = CurrentContext.Push(context);
        return new PopWhenDisposed();
    }

    private static void Pop()
    {
        CurrentContext = CurrentContext.Pop();
    }

    private sealed class PopWhenDisposed : IDisposable
    {
        private bool disposed;

        public void Dispose()
        {
            if (disposed)
                return;
            Pop();
            disposed = true;
        }
    }

    public static string CurrentStack
    {
        get
        {
            return string.Join(" ", CurrentContext.Reverse());
        }
    }
}

이를 활용한 예제 코드는 변경 없이 원 글의 코드를 그대로 옮겨 봅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MyStack.Push("Main"))
        {
            Task.WhenAll(SomeWork("1"), SomeWork("2")).Wait();
        }

        Console.ReadKey();
    }

    static async Task SomeWork(string stackName)
    {
        using (MyStack.Push(stackName))
        {
            Log("<SomeWork>");
            await MoreWork("A");
            await MoreWork("B");
            Log("</SomeWork>");
        }
    }

    static async Task MoreWork(string stackName)
    {
        using (MyStack.Push(stackName))
        {
            Log("<MoreWork>");
            await Task.Delay(10);
            Log("</MoreWork>");
        }
    }

    static void Log(string message)
    {
        Console.WriteLine(MyStack.CurrentStack + ": " + message);
    }
}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Main 1: <SomeWork>
Main 1 A: <MoreWork>
Main 2: <SomeWork>
Main 2 A: <MoreWork>
Main 2 A: </MoreWork>
Main 1 A: </MoreWork>
Main 2 B: <MoreWork>
Main 1 B: <MoreWork>
Main 2 B: </MoreWork>
Main 2: </SomeWork>
Main 1 B: </MoreWork>
Main 1: </SomeWork>




그런데, 사실 해당 기능을 너무 어렵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입니다. 왜냐하면, CallContext는 스레드를 넘어가면서 shallow copy가 되는데, 달리 말하면 메서드에 인자를 넘기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굳이 Push/IDisposable/Pop을 사용할 필요 없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바꿔도 무방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

public static partial class MyStack
{
    private static readonly string idTitle = Guid.NewGuid().ToString("N");

    private static string CurrentTitle
    {
        get
        {
            object objValue = CallContext.LogicalGetData(idTitle);
            if (objValue == null)
            {
                return "";
            }

            return objValue as string;
        }

        set
        {
            CallContext.LogicalSetData(idTitle, value);
        }
    }

    public static void Push(string title)
    {
        CurrentTitle = CurrentTitle + " " + title;
    }

    public static string CurrentStack
    {
        get
        {
            return CurrentTitle;
        }
    }
}

또한 사용 측 코드도 using을 빼고 단순히 Push 메서드만 호출해 주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ack.Push("Main");
        Task.WhenAll(SomeWork("1"), SomeWork("2")).Wait();

        Console.ReadKey();
    }

    static async Task SomeWork(string stackName)
    {
        MyStack.Push(stackName);
        Log("<SomeWork>");
        await MoreWork("A");
        await MoreWork("B");
        Log("</SomeWork>");
    }

    static async Task MoreWork(string stackName)
    {
        MyStack.Push(stackName);
        Log("<MoreWork>");
        await Task.Delay(10);
        Log("</MoreWork>");
    }

    static void Log(string message)
    {
        Console.WriteLine(MyStack.CurrentStack + ": " + message);
    }
}

당연히 실행 결과는 이전과 다름없이 잘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이것을 AsyncLocal을 이용해 똑같이 동작하도록 코딩을 하면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 .NET Framework 4.6 이상, .NET Core/5에서도 사용 가능

using System.Threading;

public static partial class MyStack
{
    private static AsyncLocal<string> CurrentTitle = new AsyncLocal<string>();

    public static void Push(string title)
    {
        CurrentTitle.Value = CurrentTitle.Value + " " + title;
    }

    public static string CurrentStack
    {
        get
        {
            return CurrentTitle.Value;
        }
    }
}

AsyncLocal이 CallContext에 대한 단순한 래퍼에 불과하기 때문에 우리가 기대한 동작이 나오는 건데요, 결과만 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단지, CallContext 타입이 .NET Framework에서만 허용되고 .NET Core/5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향후에는 AsyncLocal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7-16 09시06분
ExecutionContext의 또 다른 활용 사례

Exploring the async/await State Machine – Stack Traces and Refactoring Pitfalls
; https://vkontech.com/exploring-the-async-await-state-machine-stack-traces-and-refactoring-pitfalls/
정성태
2021-10-18 01시39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81정성태7/4/201821314Math: 34. GeoGebra 기하 (11) - 3대 작도 불능 문제의 하나인 임의 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80정성태7/4/201818071Math: 33. GeoGebra 기하 (10) - 직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9정성태7/4/201817194Math: 32. GeoGebra 기하 (9) - 임의의 선분을 한 변으로 갖는 정삼각형파일 다운로드1
11578정성태7/3/201817347Math: 31. GeoGebra 기하 (8) - 호(Arc)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7정성태7/3/201817275Math: 30. GeoGebra 기하 (7) - 각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6정성태7/3/201819447Math: 29. GeoGebra 기하 (6) - 대수의 4칙 연산파일 다운로드1
11575정성태7/2/201819865Math: 28. GeoGebra 기하 (5) - 선분을 n 등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4정성태7/2/201818328Math: 27. GeoGebra 기하 (4) - 선분을 n 배 늘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3정성태7/2/201817710Math: 26. GeoGebra 기하 (3) - 평행선
11572정성태7/1/201817075.NET Framework: 783. C#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코드를 컴파일해 테스트하는 방법
11571정성태7/1/201818507.NET Framework: 782. C# - JIRA에 등록된 Project의 Version 항목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0정성태7/1/201818652Math: 25. GeoGebra 기하 (2) - 임의의 선분과 특정 점을 지나는 수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69정성태7/1/201817861Math: 24. GeoGebra 기하 (1) - 수직 이등분선파일 다운로드1
11568정성태7/1/201830106Math: 23. GeoGebra 기하 - 컴퍼스와 자를 이용한 작도 프로그램 [1]
11567정성태6/28/201819367.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파일 다운로드1
11566정성태6/28/201825081.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21944.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20355.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19218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18700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30064.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21333.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28469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22072.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21615.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8496.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