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ImageCodecInfo 사용 시 System.Drawing.Image와 System.Drawing.Bitmap에 따른 Save 성능 차이

Bitmap을 이용해 JPG 파일로 저장하는 코드를 좀 더 범용적으로 사용하려고 Image로 바꿨더니 성능이 낮아졌습니다. 이상하군요, 정말 그런지 다음과 같은 코드로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Drawing;
using System.Drawing.Imaging;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mage img = Bitmap.FromFile("C:\\temp\\SingAgain_No_48.png");
        Bitmap bmp = new Bitmap(img);

        ImageCodecInfo? jpgEncoder = GetEncoder(ImageFormat.Jpeg);

        System.Drawing.Imaging.Encoder myEncoder = System.Drawing.Imaging.Encoder.Quality;
        EncoderParameters myEncoderParameters = new EncoderParameters(1);
        EncoderParameter myEncoderParameter = new EncoderParameter(myEncoder, 80L);
        myEncoderParameters.Param[0] = myEncoderParameter;

        Action<int, string, Action<object, ImageCodecInfo?, EncoderParameters>, object, ImageCodecInfo?, EncoderParameters> action =
            (loopCount, title, work, arg0, arg1, arg2) =>
        {

            for (int i = 0; i < loopCount; i++)
            {
                Stopwatch st = new Stopwatch();
                st.Start();
                work(arg0, arg1, arg2);
                st.Stop();

                if (loopCount != 1)
                {
                    Console.WriteLine(title + " : " + st.ElapsedMilliseconds);
                }
            }
        };

        action(1, "Bitmap", UseBitmap, bmp, jpgEncoder, myEncoderParameters);
        action(5, "Bitmap", UseBitmap, bmp, jpgEncoder, myEncoderParameters);

        action(1, "Image", UseImage, img, jpgEncoder, myEncoderParameters);
        action(5, "Image", UseImage, img, jpgEncoder, myEncoderParameters);
    }

    static void UseBitmap(object bitmapObj, ImageCodecInfo? encoder, EncoderParameters encoderParameter)
    {
        Bitmap? bitmap = bitmapObj as Bitmap;
        MemoryStream jpgStream = new MemoryStream();
        bitmap?.Save(jpgStream, encoder, encoderParameter);
    }

    static void UseImage(object imgObj, ImageCodecInfo? encoder, EncoderParameters encoderParameter)
    {
        Image? img = imgObj as Image;
        MemoryStream jpgStream = new MemoryStream();
        img?.Save(jpgStream, encoder, encoderParameter);
    }

    private static ImageCodecInfo? GetEncoder(ImageFormat format)
    {
        ImageCodecInfo[] codecs = ImageCodecInfo.GetImageEncoders();
        foreach (ImageCodecInfo codec in codecs)
        {
            if (codec.FormatID == format.Guid)
            {
                return codec;
            }
        }

        return null;
    }
}

출력 결과를 보면,

// .NET Framework 4.8 + x64 Release + 이미지 1922 x 1082
Bitmap : 12
Bitmap : 12
Bitmap : 12
Bitmap : 12
Bitmap : 12
Image : 36
Image : 35
Image : 34
Image : 34
Image : 34

// .NET 7 + x64 Release + 이미지 1922 x 1082
Bitmap : 10
Bitmap : 11
Bitmap : 10
Bitmap : 10
Bitmap : 10
Image : 44
Image : 43
Image : 42
Image : 42
Image : 42

Bitmap으로 변환했을 때 3배 이상 빠릅니다. 재미있는 것은, Image를 사용하는 코드를 Bitmap으로 다시 변환하도록 작업만 해도,

static void UseImage(object imgObj, ImageCodecInfo? encoder, EncoderParameters encoderParameter)
{
    Image? img = imgObj as Image;
    Bitmap? bitmap = new Bitmap(img);
    MemoryStream jpgStream = new MemoryStream();
    bitmap?.Save(jpgStream, encoder, encoderParameter);
}

속도가 빨라집니다.

// .NET Framework 4.8 + x64 Release + 이미지 1922 x 1082
Bitmap : 22
Bitmap : 23
Bitmap : 22
Bitmap : 23
Bitmap : 23
Image : 35
Image : 35
Image : 34
Image : 34
Image : 35

// .NET 7 + x64 Release + 이미지 1922 x 1082
Bitmap : 20
Bitmap : 20
Bitmap : 19
Bitmap : 19
Bitmap : 19
Image : 42
Image : 42
Image : 42
Image : 44
Image : 42

즉, 단순히 Image에서 Bitmap으로 변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쨌든, 위의 경우를 따졌을 때 Image를 그냥 사용하기보다는 Bitmap으로 바꾼 후 포맷 처리를 하는 것이 성능상 도움이 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02정성태9/26/201820222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6106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6081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24046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5019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21779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4648.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30584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24135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5911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6905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23025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6447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5408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20100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24178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23005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11685정성태9/6/201822856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84정성태9/6/201825607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1683정성태9/5/201823639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11682정성태9/5/201822557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5060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6967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5219.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23534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20883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