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

WM_SETTINGCHANGE 메시지는,

WM_SETTINGCHANGE messag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msg/wm-settingchange

시스템의 환경 설정이 바뀌었을 때 발생하는 메시지입니다. 이 메시지를 닷넷에서, 가령 Windows Forms에서는 일반 윈도우 메시지와 같은 방식으로 다루면 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받아 처리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const uint WM_SETTINGCHANGE = 0x001a;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otected override unsafe void WndProc(ref Message m)
        {
            if (m.Msg == WM_SETTINGCHANGE && m.LParam != IntPtr.Zero)
            {
                char* ptr = (char*)m.LParam.ToPointer();
                string text = new string(ptr);
                MessageBox.Show("WM_SETTINGCHANGE: " + text);
            }

            base.WndProc(ref m);
        }
    }
}

물론, 원한다면 우리도 WM_SETTINGCHANGE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가령, 시스템 전역 환경 변수를 레지스트리에 설정한 후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 중에 (예를 들어 위에서 구현했던 WinForm 예제처럼) 그 변화에 대해 관심이 있는 프로세스에 알리고 싶다면 WM_SETTINGCHANGE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WM_SETTINGCHANGE message" 문서에 그 방법이 간단하게 소개돼 있는데요,

To effect a change in the environment variables for the system or the user, broadcast this message with lParam set to the string "Environment".


이와 관련한 예제 코드는 stackoverflow에도 나와 있습니다.

Setting global environment variables programmatically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8928002/setting-global-environment-variables-programmatically

이것을 C#으로 옮기면 다음과 같이 코딩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1
{
    [Flags]
    enum SendMessageTimeoutFlags : uint
    {
        SMTO_NORMAL = 0x0,
        SMTO_BLOCK = 0x1,
        SMTO_ABORTIFHUNG = 0x2,
        SMTO_NOTIMEOUTIFNOTHUNG = 0x8,
        SMTO_ERRORONEXIT = 0x20
    }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user32.dll", SetLastError = true, CharSet = CharSet.Auto)]
        public static extern IntPtr SendMessageTimeout(
            IntPtr hWnd, uint Msg, UIntPtr wParam, IntPtr lParam,
            SendMessageTimeoutFlags fuFlags, uint uTimeout, out UIntPtr lpdwResult);

        const uint WM_SETTINGCHANGE = 0x001a;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IntPtr result = new UIntPtr();

            IntPtr hwndBroadcast = new IntPtr(0xffff);

            SendMessageTimeout(hwndBroadcast, WM_SETTINGCHANGE, UIntPtr.Zero, IntPtr.Zero,
                SendMessageTimeoutFlags.SMTO_NORMAL, 1000, out result);
        }
    }
}

따라서, 처음 소개한 WinForm 예제를 실행 후 위의 SendMessageTimeout 코드를 실행하면 WinForm 예제에서 WM_SETTINGCHANGE 메시지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02정성태9/26/201820233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6132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6085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24068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5078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21835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4674.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30631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24178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5939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6937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23055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6473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5419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20107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24221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23045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11685정성태9/6/201822903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84정성태9/6/201825649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1683정성태9/5/201823660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11682정성태9/5/201822579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5081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6988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5237.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23545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20957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