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22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작업 표시줄에 있는 네트워크 아이콘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다음과 같이 풍선 도움말로 개별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를 보여줍니다.

msft_connect_1.png

위의 경우 "Network 2"가 "Internet access"로 나오는데요, 이 기준이 뭘까요? ^^ 이에 대해 Raymond Chen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How does Windows decide whether your computer has limited or full Internet acces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21115-00/?p=107399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공식 문서에 있는데,

An Internet Explorer or Edge window opens when your computer connects to a corporate network or a public network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client/networking/internet-explorer-edge-open-connect-corporate-public-network

윈도우는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자에 보면 "Manual"로 설정된) "NLA(Network Location Awareness)"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해당 서비스 내에서는 NCSI(Network Connectivity Status Indicator) 구성요소를 사용해 인터넷 연결 여부를 판정한다고 합니다.

그 판별 단계 중의 하나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는데요,

1.1 www.msftconnecttest.com에 대한 DNS 풀이
1.2 DNS 풀이가 되었다면 "http://www.msftconnecttest.com/connecttest.txt" 요청 결과가 "Microsoft Connect Test"인지 확인

2. dns.msftncsi.com으로의 DNS 조회

혹시 일부러 위의 조건들을 실패하게 만들면 "No Internet access"를 재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 아쉽지만, 두 번째 단계가 단순히 DNS 조회 가능 여부이기 때문에 HOSTS 파일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127.0.0.1 www.msftconnecttest.com
127.0.0.1 dns.msftncsi.com

첫 번째 단계를 실패하게 만들 뿐, 2번 단계는 성공하므로 재현이 안 됩니다. 굳이 해야 한다면 ^^ 2번 단계 실패를 유도하기 위해 아예 DNS 서버를 잘못된 IP로 지정하는 식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msft_connect_2.png

이후 해당 네트워크를 "Disable", "Enable"로 재시작하면 "Connectivity" 상태가 "No Internet access"로 머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sft_connect_3.png

(달리 말하면, IP 통신은 가능해도 DNS 풀이가 안 되면 네트워크 상태가 "No Internet access"로 됩니다.)




참고로, 해외여행을 해보신 분들은 인터넷 접속 전에 경유되는 포탈 화면에 익숙하실 텐데요, 그런 것을 "captive portal"이라고 합니다. 그런 상태에서는 "captive portal"로는 접속이 되지만 아직 서비스 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증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므로 인터넷 접속은 안 됩니다.

바로 그런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아래의 글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How should I interpret the various values of NLM_CONNECTIVITY?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112-00/?p=107700

나중에... 언젠가 출장 가게 되면 INetwork­List­Manager::Get­Networks 코드가 작동하는지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8정성태11/14/201822726.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
11777정성태11/13/201824568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22860.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23253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23183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22997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23843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22853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11770정성태11/5/201832838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파일 다운로드1
11769정성태11/5/201822015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
11768정성태11/2/201824648.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11767정성태11/1/201823901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66정성태10/31/201827160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11765정성태10/26/201822627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
11764정성태10/26/201828462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
11763정성태10/25/201823803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
11762정성태10/25/201824374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61정성태10/25/201824073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9629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22401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25292.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20890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25075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26022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22750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28667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