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 https://www.sysnet.pe.kr/2/0/910

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 https://www.sysnet.pe.kr/2/0/915

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
; https://www.sysnet.pe.kr/2/0/918

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 https://www.sysnet.pe.kr/2/0/1335

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9

Windows: 174.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47

개발 환경 구성: 517. Hyper-V Internal 네트워크에 NAT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제공
; https://www.sysnet.pe.kr/2/0/12352

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4

개발 환경 구성: 656. Internal Network 유형의 스위치로 공유한 Hyper-V의 VM과 호스트가 통신이 안 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199

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30

개발 환경 구성: 665.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56

개발 환경 구성: 670.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0

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 https://www.sysnet.pe.kr/2/0/13647

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658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

예전에 아래의 글을 통해,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47

netsh 명령어를 이용하면 외부에서 WSL을 호스팅하는 운영체제를 경유해 WSL 인스턴스의 TCP 서버를 접속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가령, WSL에서 15000번 포트로 열고 있으면 다음의 명령어를 윈도우 운영체제 측에서 실행해 주면,

// WSL 측의 IP 주소가 172.18.178.192라고 가정

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listenport=15000 listenaddress=0.0.0.0 connectport=15000 connectaddress=172.18.178.192

// 삭제는 이렇게.
netsh interface portproxy delete v4tov4 listenport=15000 listenaddress=0.0.0.0

// 열거
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v4tov4

외부에서 해당 서비스로, 가령 윈도우 측의 IP 주소가 192.168.100.50이라면 다음과 같이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WSL 측에서 HTTP 서비스를 열고 있다는 가정으로,

curl http://192.168.100.50:15000

이때 애매한 것이 WSL 인스턴스의 IP 주소인데요, 이것은 hostname의 "-I"으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WSL 2에서 "-i" 옵션은 127.0.1.1을 반환하고,
C:\temp> wsl hostname -i
127.0.1.1

// "-I" 옵션은 WSL 2 인스턴스의 IP 주소를 반환
C:\temp> wsl hostname -I
172.18.178.192

참고로, WSL 2 인스턴스들은 네트워크를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Ubuntu 20.04와 Ubuntu 18.04를 설치해도 2개 모두 IP가 같으므로 "wsl hostname -I" 명령어로 모두 해결이 됩니다.




그런데 위에서 살짝 귀찮은 점이 있다면 WSL 측의 IP 주소인 172.18.178.192를 매번 구해서 설정하는 것이 귀찮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쓴 글에서,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56

WSL 2의 경우 Any(0.0.0.0) 주소로 열어둔 소켓이 호스트 측에서는 127.0.0.1로 바인딩된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굳이 WSL의 내부 IP 주소를 쓸 필요 없이 connectaddress로 127.0.0.1을 사용해도 될 것입니다.

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listenport=15000 listenaddress=0.0.0.0 connectport=15000 connectaddress=127.0.0.1

물론, 테스트해 보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긴 한데, 다소 귀찮은 이유로 인해 127.0.0.1로 바인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저렇게 netsh로 먼저 portproxy를 설정한 후 WSL 2의 TCP 서버를 0.0.0.0으로 바인딩하면 윈도우 호스트 측에 "127.0.0.1"로 바인딩 연결이 안 됩니다.

// netsh/portproxy 실행 후 WSL 2의 TCP 서버를 실행한 경우

c:\temp> netstat -ano | findstr 15000
  TCP    0.0.0.0:15000          0.0.0.0:0              LISTENING       31200

즉, 반드시 WSL 2에서 TCP 서버를 0.0.0.0으로 시작한 후, netsh/portproxy를 실행해야만 정상적으로 WSL 2 TCP 서버의 소켓이 윈도우 호스트 측으로 연결됩니다.

// WSL 2의 TCP 서버를 실행 후 netsh/portproxy 실행한 경우

c:\temp> netstat -ano | findstr 15000
  TCP    0.0.0.0:15000          0.0.0.0:0              LISTENING       31200
  TCP    127.0.0.1:15000        0.0.0.0:0              LISTENING       39500

게다가 전자의 경우처럼 설정하면 심각한 문제가 하나 발생합니다. 즉, "0.0.0.0:15000"으로만 TCP 바인딩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netsh/portproxy로 127.0.0.1로 포트 포워딩이 재귀적으로 적용돼 무수한 FIN_WAIT_2, CLOSE_WAIT 소켓이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즉, 외부에서 "curl http://192.168.100.50:15000"으로 연결하면, "0.0.0.0:15000"으로 대기하던 소켓이 연결을 받게 되고, 이어서 "127.0.0.1:15000"으로 포트포워딩을 하면서 다시 "0.0.0.0:15000"으로 연결이 됩니다. (이후 무한 반복으로 소켓 포트 고갈)

따라서, 127.0.0.1을 사용하는 경우 실행 순서를 반드시 지켜줘야 합니다.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의 덧글에서 UDP에 대한 portproxy도 가능한지 물었는데요, netsh/portproxy 명령을 내린 후 netstat로 상황을 보면,

c:\temp> 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listenport=15000 listenaddress=0.0.0.0 connectport=15000 connectaddress=172.18.178.192

c:\temp> 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v4tov4

Listen on ipv4:             Connect to ipv4:

Address         Port        Address         Port
--------------- ----------  --------------- ----------
0.0.0.0         15000       172.18.178.192  15000

c:\temp> netstat -ano | findstr 15000
  TCP    0.0.0.0:15000          0.0.0.0:0              LISTENING       5276

TCP 소켓으로만 바인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UDP로의 portproxy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쉽게도 netsh 명령어 중에 udp에 대한 포트포워딩 기능은 없다고 하며, socat 등의 도구를 이용하는 우회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370.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345.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797.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506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75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312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72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601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168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405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68.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62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62.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75.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858.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697.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46.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46.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219.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94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79.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21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704.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712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31.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217.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