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33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요즘 들어 옛날이야기가 재미있어졌습니다. 음... ^^ 나이 먹는 게 이런 식으로 나타나는군요. 그래서 이번엔 아래의 글을 살짝 정리해 봅니다. ^^

Returning values from a dialog procedure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31107-00/?p=41923




Visual Studio에서 Win32 기본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Window Procedure와 About 대화창의 메시지 처리기로 다음의 소스 코드가 나옵니다.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COMMAND:
        {
            int wmId = LOWORD(wParam);
            switch (wmId)
            {
            case IDM_ABOUT:
                {
                    DialogBox(hInst, MAKEINTRESOURCE(IDD_ABOUTBOX), hWnd, About);
                }
                break;
            case IDM_EXIT:
                DestroyWindow(hWnd);
                break;
            default:
                return DefWindowProc(hWnd, message, wParam, lParam);
            }
        }
        break;
    case WM_PAINT:
        {
            PAINTSTRUCT ps;
            HDC hdc = BeginPaint(hWnd, &ps);
            // TODO: Add any drawing code that uses hdc here...
            EndPaint(hWnd, &ps);
        }
        break;
    case WM_DESTROY:
        PostQuitMessage(0);
        break;
    default:
        return DefWindowProc(hWnd, message, wParam, lParam);
    }
    return 0;
}


INT_PTR CALLBACK About(HWND hDlg,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UNREFERENCED_PARAMETER(lParam);
    switch (message)
    {
    case WM_INITDIALOG:
        return (INT_PTR)TRUE;

    case WM_COMMAND:
        if (LOWORD(wParam) == IDOK || LOWORD(wParam) == IDCANCEL)
        {
            EndDialog(hDlg, LOWORD(wParam));
            return (INT_PTR)TRUE;
        }
        break;
    }
    return (INT_PTR)FALSE;
}

위의 경우, Modal 유형의 대화상자를 띄우고 있는데요, 이럴 때는 대화창에서 반환값을 EndDialog의 2번째 인자를 통해 반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코드에서는 LOWORD(wParam)을 반환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About 대화창의 "OK" 버튼을 누르면 IDOK(1) 값이 반환되고, 이어서 DialogBox의 반환값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int result = DialogBox(hInst, MAKEINTRESOURCE(IDD_ABOUTBOX), hWnd, About);
// OK 버튼을 누른 경우, result == 1 (IDOK)




그런데, 문제는 Modeless 대화창입니다. 위의 예제를 modeless로 바꾸면 이렇게 되는데요,

HWND hwndModeless = nullptr;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COMMAND:
        {
            int wmId = LOWORD(wParam);
            // Parse the menu selections:
            switch (wmId)
            {
            case IDM_ABOUT:
                {
                    hwndModeless = ::CreateDialog(hInst, MAKEINTRESOURCE(IDD_ABOUTBOX), hWnd, About);
                    ShowWindow(hwndModeless, SW_SHOW);
                }
                break;
                
            case IDM_EXIT:
                DestroyWindow(hWnd);
                break;
            default:
                return DefWindowProc(hWnd, message, wParam, lParam);
            }
        }
        break;
    case WM_PAINT:
        // ...[생략]...
        break;
    case WM_DESTROY:
        PostQuitMessage(0);
        break;
    default:
        return DefWindowProc(hWnd, message, wParam, lParam);
    }
    return 0;
}

INT_PTR CALLBACK About(HWND hDlg,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INITDIALOG:
        return (INT_PTR)TRUE;

    case WM_COMMAND:
        if (LOWORD(wParam) == IDOK)
        {
            ::DestroyWindow(hDlg);
            return (INT_PTR)TRUE;
        }
        break;
    }
    
    return (INT_PTR)FALSE;
}

(Modal과 Modeless 모두) 저 About을 호출하는 함수는 DefDlgProc인데,

Project1.exe!About(HWND__ * hDlg=0x00000000003e1444, unsigned int message=0x00000110, unsigned __int64 wParam=0x000000000134185e, __int64 lParam=0x0000000000000000) Line 153	C++
user32.dll!UserCallDlgProcCheckWow()	Unknown
user32.dll!DefDlgProcWorker()	Unknown
user32.dll!DefDlgProcW()	Unknown
user32.dll!UserCallWinProcCheckWow()	Unknown
user32.dll!SendMessageWorker()	Unknown
user32.dll!InternalCreateDialog()	Unknown
user32.dll!CreateDialogIndirectParamAorW()	Unknown
user32.dll!CreateDialogParamW()	Unknown
Project1.exe!WndProc(HWND__ * hWnd=0x0000000000520f70, unsigned int message=0x00000111, unsigned __int64 wParam=0x0000000000000068, __int64 lParam=0x0000000000000000) Line 111	C++
user32.dll!UserCallWinProcCheckWow()	Unknown
user32.dll!DispatchMessageWorker()	Unknown
Project1.exe!wWinMain(HINSTANCE__ * hInstance=0x00007ff765c20000, HINSTANCE__ * hPrevInstance=0x0000000000000000, wchar_t * lpCmdLine=0x0000014b32b082e4, int nCmdShow=0x0000000a) Line 53	C++
Project1.exe!invoke_main() Line 123	C++
Project1.exe!__scrt_common_main_seh() Line 288	C++
Project1.exe!__scrt_common_main() Line 331	C++
Project1.exe!wWinMainCRTStartup(void * __formal=0x0000001140c30000) Line 17	C++
kernel32.dll!BaseThreadInitThunk()	Unknown
ntdll.dll!RtlUserThreadStart()	Unknown

"Returning values from a dialog procedure" 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작성됐다고 합니다.

LRESULT CALLBACK DefDlgProc(
    HWND hdlg, UINT uMsg,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DLGPROC dp = (DLGPROC)GetWindowLongPtr(hdlg, DWLP_DLGPROC);
    SetWindowLongPtr(hdlg, DWLP_MSGRESULT, 0);
    BOOL_PTR fResult = dp(hdlg, uMsg, wParam, lParam);
    if (fResult) return GetWindowLongPtr(hdlg, DWLP_MSGRESULT);
    else ... do default behavior ...
}

위의 소스 코드에서 dp 변수에 할당되는 것이 바로 예제 코드의 "About"에 해당합니다. 그러니까, DefDlgProc은 About 함수의 반환값이 FALSE인 경우에만 내부적으로 정한 기본 대화창 처리 코드를 실행하는 구조입니다. (즉, TRUE를 반환하면 기본 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위의 소스코드에도 나오듯이 Modeless 대화창에 대한 반환값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CreateDialog로 생성했기 때문에 (modeless의 특성상) 그 순간 반환값을 받아오진 못합니다. 그보다는 modeless 대화창과는 윈도우 메시지 통신을 하게 되는데요, 따라서 (테스트를 위해 새롭게 메뉴를 하나 만들어) 다음과 같이 SendMessage로 Modeless 대화창으로 메시지를 보내고 그에 대한 결과를 받는 식으로 작성하게 됩니다.

HWND hwndModeless = nullptr;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COMMAND:
        {
            int wmId = LOWORD(wParam);
            // Parse the menu selections:
            switch (wmId)
            {
            case IDM_ABOUT:
                {
                    hwndModeless = ::CreateDialog(hInst, MAKEINTRESOURCE(IDD_ABOUTBOX), hWnd, About);
                    ShowWindow(hwndModeless, SW_SHOW);
                }
                break;
                
            case ID_HELP_GETRESULT:
                {
                    wchar_t *ptr = (wchar_t *)::SendMessageW(hwndModeless, WM_COMMAND, MAKEWPARAM(ID_HELP_GETRESULT, 0), 0);
                }
                break;
    // ...[생략]...
}

이에 반응하는 About 함수는 "return TRUE"와 함께, 결과를 반환해야 한다면 SetWindowLongPtr을 이용해야 합니다.

INT_PTR CALLBACK About(HWND hDlg,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INITDIALOG:
        return (INT_PTR)TRUE;

    case WM_COMMAND:
        if (LOWORD(wParam) == IDOK)
        {
            ::DestroyWindow(hDlg);
            return (INT_PTR)TRUE;
        }
        
        if (LOWORD(wParam) == ID_HELP_GETRESULT)
        {
            const wchar_t* ptr = L"Test IS GOOD";
            ::SetWindowLongPtr(hDlg, DWLP_MSGRESULT, (LONG_PTR)ptr);

            return (INT_PTR)TRUE;
        }
        break;
    }
    
    return (INT_PTR)FALSE;
}

그렇게 한 경우, (위의 About을 호출하는) DefDlgProc은 TRUE가 반환된 경우에만 DWLP_MSGRESULT로 설정한 반환값을 DefDlgProc의 반환값으로 다루기 때문에 결국 그 값이 SendMessage의 반환값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대충... ^^ 이해가 되실까요?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58정성태7/8/202020184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6469.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17603.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18378.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6905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19383.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1187.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19956.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2116.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7534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5341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7277.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8444.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8865.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8899.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15328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16905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20128.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21687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9684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8072.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7583.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313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7488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16887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17338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