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0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지난 2개의 글에서,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oldnewthing 블로그의 "Modality"와 관련해 part 1part 2를 다뤘는데요, 이번에는 part 3: The WM_QUIT message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




모든 메시지 루프는 WM_QUIT 메시지에 의해 종료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따라서 만약 여러분이 Modal 루프를, 즉 code-modal을 사용해 중첩 메시지 루프를 만들었다면 WM_QUIT 메시지를 받은 경우 여러분의 메시지 루프만 탈출하도록 만들어서는 안 되고, WM_QUIT 메시지를 PostQuitMessage API를 이용해 전파시켜야만 합니다. 그래야 중첩 메시지 루프를 벗어나면서, 원래의 Win32 응용 프로그램 구조로 만들어 두었던 메시지 루프까지 탈출해 응용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여러분들의 code-modal 구현 코드는 다음과 같이 PostQuitMessage에 대한 처리를 함께 해야 합니다.

BOOL WaitForSomething(void)
{
  MSG msg;
  BOOL fResult = TRUE; // assume it worked
  while (!SomethingFinished()) {
    if (GetMessage(&msg, NULL, 0, 0))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else {}
      // We received a WM_QUIT message; bail out!
      CancelSomething();
      // Re-post the message that we retrieved
      PostQuitMessage(msg.wParam);
      fResult = FALSE; // quit before something finished
      break;
    }
  }
  return fResult;
}

그런데 혹시 g_fQuitting이라는 전역 변수를 둬서 전체의 메시지 루프를 빠져나가도록 만드는 것도 가능하지 않았을까요?

BOOL MyWaitForSomething(void) // code in italics is wrong
{
  MSG msg;
  while (!SomethingFinished()) {
    if (g_fQuitting) {}
    CancelSomething();
      return FALSE;
    }
    if (GetMessage(&msg, NULL, 0, 0))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return TRUE;
}

물론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 방법이 가능하려면 모든 메시지 루프가 g_fQuitting을 고려해 만들어졌어야 합니다. 하지만, code-modal은 여러 군데에서 독자적인 메시지 루프를 만들어 구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DialogBox API를 사용하면 그 내부에서 메시지 루프가 돌고 있습니다. 또한 메뉴를 보여줄 때나, 윈도우의 프레임을 마우스로 선택해 드래그하면서 크기를 변경하는 중에도 독자적인 메시지 루프가 사용됩니다.

당연히, 그런 식으로 만들어지는 메시지 루프는 g_fQuitting의 존재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WM_QUIT를 전파하는 하나의 약속을 정함으로써 그런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아마 g_fQuitting과 같은 방식으로 했다면 마찬가지로 그 값을 설정하는 QuitAllMessageLoop와 같은 이름의 Win32 API가 생겼을 것이고 그것을 메시지 루프에서 호출하도록 만들었어야 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80정성태8/22/201337863개발 환경 구성: 194. 윈도우 서버의 80 포트에 대한 port forwarding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79정성태8/14/201325195오류 유형: 183. IIS - 바인딩 추가 시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오류 [5]
1478정성태8/14/201328540오류 유형: 182. 윈도우 정품 활성화 오류 - 0x80070426
1477정성태8/14/201327390VC++: 71. codeplex의 Project Austin - 실감나게 책장 넘기는 표현
1476정성태8/13/201335848디버깅 기술: 55.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2)
1475정성태8/12/201334951.NET Framework: 377.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도 소켓이 살아있다면?파일 다운로드1
1474정성태8/10/201331059오류 유형: 181. 윈도우 8 - WmiPrvSE.exe 프로세스가 CPU 소비하는 현상
1473정성태8/8/201327854VC++: 70. Win32 socket이 Thread-safe할까? [1]파일 다운로드1
1472정성태8/7/201326259.NET Framework: 376. .NET 2.0의 유니코드 관련 문자열 비교 오류
1471정성태8/7/201331012개발 환경 구성: 193. .aspx 확장자 대신 .html 확장자를 사용하는 방법
1470정성태8/6/201327037오류 유형: 180. DISM.exe 0xc1510111 실행 오류
1469정성태8/6/201324092.NET Framework: 375. System.Net.Sockets.Socket이 Thread-safe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468정성태8/6/201322234오류 유형: 179. IIS - 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127.0.0.1:80
1467정성태8/5/201325682Java: 16. IE에 로드된 Java Applet의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1466정성태7/27/201331302.NET Framework: 374. C#과 비교한 C++ STL vector 성능 [7]파일 다운로드1
1465정성태7/18/201334576기타: 33. C:\Windows\Installer 폴더의 용량 줄이기 [3]
1464정성태7/15/201322847오류 유형: 178. Visual Studio 2012 Express - ImportCardinalityMismatchException
1463정성태7/15/201323541오류 유형: 177. [DBNETLIB][ConnectionOpen (Connect()).]SQL Server does not exist or access denied.
1462정성태7/5/201326815VC++: 69. geek스러운 C/C++ 퀴즈 문제 [2]
1461정성태6/27/201343358.NET Framework: 373. C# 문자열의 인코딩이란?
1460정성태6/17/201325241.NET Framework: 372. PerformanceCounter - Category does not exist. [1]
1459정성태6/15/201328878Windows: 74. 한글 키가 아닌 영문 키를 기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5]
1458정성태6/13/201329681.NET Framework: 371. CAS Lock 방식이 과연 성능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457정성태6/13/201325901개발 환경 구성: 192. "Probabilistic Programming and Bayesian Methods for Hackers" 예제 코드 실행 방법
1456정성태6/5/201334545.NET Framework: 370. C# - WebKit .NET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455정성태6/1/201328349.NET Framework: 369.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4]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