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시리즈의,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4번째 글로 가볼까요! ^^

Modality, part 4: The importance of setting the correct owner for modal UI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223-00/?p=36383

Modal UI를 띄우는 경우, 그것의 Owner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만약 Owner를 설정하지 않으면 이상한 동작을 경험하게 될 텐데요, 일례로 다음과 같이 (Modal 대화창인) MessageBox를 띄우는 코드를 작성하면,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CHAR:
        if (wParam == ' ')
        {
            MessageBox(NULL, TEXT("Message"), TEXT("Title"), MB_OK);
            if (!IsWindow(hWnd)) {
                MessageBeep(-1);
            }
        }
    ...[생략]...
}

이것을 실행해 공백 문자(space bar)를 하나 입력, MessageBox를 띄운 후, (대화창이 아닌) 메인 윈도우 창에 대해 우측 상단의 "x" 버튼을 이용해 닫으면 Beep 음이 들리는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즉, MessageBox 함수가 반환하는 시점에 메인 윈도우(hWnd)는 닫혔다는 것인데요, 지난 글을 이해했다면 위의 동작 역시 이해가 될 것입니다.

위의 MessageBox 함수는 Owner를 null로 설정했기 때문에 메인 윈도우는 여전히 사용자에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또한 MessageBox 내부에 생성한 메시지 루프는 메인 윈도우를 닫는 x 버튼을 누르면서 발생한 WM_CLOSE를 메인 윈도우의 Window Procedure로 Dispatch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메인 윈도우는 WM_DESTROY 단계를 거쳐 윈도우의 모든 자원을 해제하게 됩니다. 이에 대해 "part 4" 글에서는 다음의 도식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WinMain
  DispatchMessage(hwnd, WM_CHAR)
   OnChar
    MessageBox(NULL)
     ... modal dialog loop ...
     DispatchMessage(hwnd, WM_CLOSE)
      DestroyWindow(hwnd)
       WndProc(WM_DESTROY)
        ... clean up the window ...

위의 단계를 보면, "... clean up the window ..." 단계가 발생하고 나서야 WM_CHAR 이벤트 처리기가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근간의 자원이 모두 해제되었는데 그 위에서 코드가 실행 중인 것입니다. (마치 this 개체가 삭제된 상태에서 instance method가 실행 중인 것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WM_CHAR를 처리하는 이후의 코드에서 자칫 해제된 윈도우의 자원을 접근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대개의 경우 Access Violation 예외가 발생할 것입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는, (null을 전달한) 메시지 박스를 띄운 후, 그것을 닫지 않고 메인 윈도우로 입력 포커스를 바꾼 후 공백 문자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그렇게 3개의 MessageBox를 띄웠다면 이제 프로그램에는 Message Loop가 이렇게 중첩됩니다.

 WinMain
  DispatchMessage(hwnd, WM_CHAR)
   OnChar
    MessageBox(NULL)
     ... modal dialog loop ...
     DispatchMessage(hwnd, WM_CHAR)
       OnChar
        MessageBox(NULL)
         ... modal dialog loop ...
         DispatchMessage(hwnd, WM_CHAR)
           OnChar
            MessageBox(NULL)
             ... modal dialog loop ...

위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또 한 가지 문제점이라면, 정상적인 코드 실행이 되려면 마지막에 생성한 윈도우부터 닫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저 문제가 어떤 부작용을 발생시키는지 다음과 같이 코드를 만들고,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CHAR:
        if (wParam == ' ')
        {
            int result = MessageBox(NULL, TEXT("Message"), TEXT("Title"), MB_OK);
            wchar_t buf[2048] = { 0 };
            wsprintf(buf, L"%d\n", result);
            OutputDebugString(buf);
        }

    ...[생략]...
}

메인 윈도우에서 세 번의 공백 문자를 입력해 3개의 Modal을 차례로 띄운 후, 중간의 윈도우를 닫아봅니다. 그럼 (비주얼 스튜디오로 디버깅 환경으로 실행한 경우) Output 화면에는 아무런 문자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그 상태에서 3번째 윈도우를 닫으면 그제야 Output 화면에는 "1"이 2번 출력됩니다. 어떤 느낌인지 아시겠죠? ^^




자, 이야기는 이제 part 5까지 이어집니다.

Modality, part 5: Setting the correct owner for modal UI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224-00/?p=36373

결국, 위와 같은 문제는 Modal로 실행되는 MessageBox에 적절한 Owner를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Owner를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CHAR:
        if (wParam == ' ')
        {
            MessageBox(hWnd, TEXT("Message"), TEXT("Title"), MB_OK);
            if (!IsWindow(hWnd)) {
                MessageBeep(-1);
            }
        }
    ...[생략]...
}

위에서 이야기한 모든 문제들이 사라집니다. Modal로 동작하는 MessageBox는 Owner로 설정된 윈도우를 Disable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모 윈도우를 직접적으로 다룰 수 없게 됩니다.

이것으로 수수께끼 하나가 풀립니다. 보통 내부에서 UI를 보여주는 Shell 관련 함수들의 경우 Window Handle을 인자로 받게 되는데, 그래야만 이 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당연한 이야기지만) 만약 Modal 대화창이 중첩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Owner를 호출자의 Window Handle로 넘겨줘야 합니다.

 MainWindow
  DialogBox(hwndOwner = main window) [dialog 1]
   ... dialog manager ...
    DlgProc
     DialogBox(hwndOwner = dialog 1) [dialog 2]




part 6의 경우,

Modality, part 6: Interacting with a program that has gone modal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228-00/?p=36343

제 경우, 재현이 안 되는 설명이 나옵니다.

For example, consider the program we ended up with last time, the one which calls the MessageBox function to display a modal dialog. If we wanted to get that program to exit and sent a WM_CLOSE message to the main window instead of its modal popup, the main window would likely exit and leave the message box stranded, resulting in the same stack trace without support we saw in part 4.


Modal 대화창을 띄운 경우, 메인 윈도우에 WM_CLOSE를 전송하면, WM_QUIT의 영향으로 모든 메시지 루프가 종료하게 돼 이전에 띄웠던 Modal 대화창까지 닫힙니다. 그런데 위의 설명에서는 Modal 대화창이 남는다고 하는데... 혹시 어떻게 재현하는지 방법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마지막으로, 윈도우가 disabled 상태일 때는 그 윈도우와는 상호작용을 하지 말라고 합니다. 비활성 상태라면 그 윈도우가 띄웠던 또 다른 창을 GetLastActivePopup API로 추적해 알아내 바로 그 활성 윈도우와 통신하라고 조언합니다.

이것은 다시 위의 재현이 안 되는 문제와 연결됩니다. Owner를 적용한 Modal 대화창의 경우 Owner를 비활성화하기 때문에 그것과 상호작용하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 이것으로 part 6까지 Modal 대화창과 관련한 메시지 루프의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이후 part 7, part 8이 있는데요, 그것은 위의 이론을 이해한 응용 사례를 설명한 것으로 글을 나눠 다뤄보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73정성태7/11/20241064닷넷: 2274.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파일 다운로드1
13672정성태7/10/20241041닷넷: 2273. IIS - (프로세스 종료 없는) AppDomain Recycle
13671정성태7/10/2024897오류 유형: 914. Package ca-certificates is not installed.
13669정성태7/9/20241044오류 유형: 913.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13668정성태7/8/20241031개발 환경 구성: 716. Hyper-V - Ubuntu 22.04 Generation 2 유형의 VM 설치
13667정성태7/7/2024967닷넷: 2272.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1210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1226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1180닷넷: 2271.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1414닷넷: 2270.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1137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1276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1244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1237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1451닷넷: 2269.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1387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1874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1810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1660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2008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1648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1822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1586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1615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1972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3646정성태6/14/20241461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