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2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보통은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RegisterClass는 기본 코드 그대로 사용하기 마련입니다.

BOOL InitApp(HINSTANCE hInstance)
{
    WNDCLASS wc;
    wc.style = CS_DBLCLKS | CS_SAVEBITS | CS_BYTEALIGNWINDOW;
    wc.lpfnWndProc = WLWndProc;
    wc.cbClsExtra = 0;
    wc.cbWndExtra = DLGWINDOWEXTRA + sizeof(WLDLGPROC);
    wc.hInstance = hInstance;
    wc.hIcon = NULL;
    wc.hCursor = LoadCursor(NULL, IDC_ARROW);
    wc.hbrBackground = NULL;
    wc.lpszMenuName = NULL;
    wc.lpszClassName = TEXT("WLDialog");
    if (!RegisterClass(&wc)) return FALSE;
    return TRUE;
}

oldnewthing 글에서는,

When should I use CS_GLOBALCLAS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310-00/?p=107926

About Window Class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msg/about-window-classes

위의 코드 중 style 필드에 설정할 수 있는 CS_GLOBALCLASS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RegisterClass 호출 시 "lpszClassName" 필드에 클래스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을 전달하는데요, 실제로는 또 다른 식별자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hInstance" 필드입니다.

wc.hInstance = hInstance;
wc.lpszClassName = TEXT("WLDialog");

즉, 해당 클래스를 HINSTANCE+CLASSNAME 쌍으로 식별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CreateWindow 호출 시,

HWND hWnd = CreateWindowW(szWindowClass, szTitle, WS_OVERLAPPEDWINDOW,
    CW_USEDEFAULT, 0, CW_USEDEFAULT, 0, nullptr, nullptr, hInstance, nullptr);

클래스 이름뿐만 아니라 HINSTANCE 값도 함께 넘기는 것입니다. 실제로 (기본 생성된 C/C++ Window 프로젝트에서) CreateWindow를 호출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보면,

BOOL InitInstance(HINSTANCE hInstance, int nCmdShow)
{
   hInst = hInstance; // Store instance handle in our global variable

   HINSTANCE hInst2 = (HINSTANCE)::GetModuleHandle(L"kernel32.dll");

   HWND hWnd = CreateWindowW(szWindowClass, szTitle, WS_OVERLAPPEDWINDOW,
      CW_USEDEFAULT, 0, CW_USEDEFAULT, 0, nullptr, nullptr, hInst2, nullptr);

   if (!hWnd)
   {
      return FALSE;
   }

   ShowWindow(hWnd, nCmdShow);
   UpdateWindow(hWnd);

   return TRUE;
}

hWnd 값은 0이 나오고, 이때의 오류 코드는 "0x0000057F (Cannot find window class.)"가 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미리 제공하는 Button과 같은 경우에는 HINSTANCE를 그 Button을 구현한 모듈이 아닌 현재의 모듈을 전달해도 잘 동작합니다.

HWND hwndChild =
    CreateWindow(
        TEXT("button"),                 /* Class Name */
        TEXT("Button &1"),              /* Title */
        WS_CHILD | WS_VISIBLE | WS_TABSTOP |
        BS_DEFPUSHBUTTON | BS_TEXT,     /* Style */
        0, 0, 100, 100,                 /* Position and size */
        hWnd,                           /* Parent */
        (HMENU)100,                     /* Child ID */
        hInst,                        /* Instance */
        0);                             /* No special parameters */

왜냐하면, 바로 저 Button 클래스는 RegisterClass를 호출했을 때 style에 CS_GLOBALCLASS 옵션을 줬기 때문입니다. 즉, 이 옵션으로 설정된 클래스 이름은 그것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서 HINSTANCE가 무시되는 것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에 CS_GLOBALCLASS 옵션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혹시나 자신만의 윈도우 클래스를 만들어 DLL로 분리했을 때에도 그 DLL의 HINSTANCE(Module Handle) 값을 구해 넘겨주면 그만입니다.

하지만, 유일하게 신경 써야 할 때가 있는데요, 바로 대화창의 Template으로 특정 윈도우를 등록하는 경우입니다.

이전에 설명했던,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글에서 아래와 같은 형식의 리소스 템플릿을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생성하고 있는데요,

BEGIN
    ICON            IDR_MAINFRAME,IDC_STATIC,14,14,21,20
    LTEXT           "Project1, Version 1.0",IDC_STATIC,42,14,114,8,SS_NOPREFIX
    LTEXT           "Copyright (c) 2023",IDC_STATIC,42,26,114,8
    DEFPUSHBUTTON   "OK",IDOK,113,41,50,14,WS_GROUP
END

보시면 저 정보에 HINSTANCE에 대한 필드가 없습니다. 어쩌면 기본 컨트롤에 대해서는 고정적으로 user32.dll의 모듈 핸들을 넘겨주도록 처리했어도 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 저런 식으로 기본 컨트롤만으로 구성된 예제는 상관없지만 이후 나온 (Comctl32.dll에 구현된) Common Controls나, 한때 유행했던 Internet Explorer ActiveX의 경우에는 CS_GLOBALCLASS 옵션이 없었다면 대화창의 template으로 처리할 수 없어, 아마도 불편하게 WM_INITDIALOG에서 코드로 생성해야만 했을 것입니다.

이런 거 보면... 정말 Win32 시스템을 설계한 사람들이 공을 참 많이 들였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37정성태10/8/202214147.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13136정성태10/7/202214504.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13135정성태10/5/202215027.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34정성태10/4/202212232오류 유형: 820. There is a problem with AMD Radeon RX 5600 XT device. For more information, search for 'graphics device driver error code 31'
13133정성태10/4/202213365Windows: 211. Windows - (commit이 아닌) reserved 메모리 사용량 확인 방법 [1]
13132정성태10/3/202213393스크립트: 42. 파이썬 - latexify-py 패키지 소개 - 함수를 mathjax 식으로 표현
13131정성태10/3/202217197.NET Framework: 2052. C# - Windows Forms의 데이터 바인딩 지원(DataBinding, DataSource) [2]파일 다운로드1
13130정성태9/28/202213012.NET Framework: 2051. .NET Core/5+ - 에러 로깅을 위한 Middleware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3129정성태9/27/202213633.NET Framework: 2050. .NET Core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경우 .NET Framework CLR이 함께 로드되는 환경
13128정성태9/23/202216565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 [1]파일 다운로드1
13127정성태9/22/202214826Windows: 210. WSL에 systemd 도입
13126정성태9/15/202215352.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13125정성태9/14/202215765.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13124정성태9/13/202215547.NET Framework: 2047. Golang, Python, C#에서의 CRC32 사용
13123정성태9/8/202215608.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13122정성태8/26/202216009.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13121정성태8/23/202212419C/C++: 157. Golang - 구조체의 slice 필드를 Reflection을 이용해 변경하는 방법
13120정성태8/19/202216009Windows: 209. Windows NT Service에서 UI를 다루는 방법 [3]
13119정성태8/18/202215143.NET Framework: 2044.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참조 DLL이 보관된 공통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방법
13118정성태8/18/202212682.NET Framework: 2043. WPF Color의 기본 색 영역은 (sRGB가 아닌) scRGB [2]
13117정성태8/17/202216361.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파일 다운로드1
13116정성태8/4/202216794.NET Framework: 2041. C# - Socket.Close 시 Socket.Receive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115정성태8/3/202217357.NET Framework: 2040. C# - ValueTask와 Task의 성능 비교 [1]파일 다운로드1
13114정성태8/2/202217255.NET Framework: 2039. C# - Task와 비교해 본 ValueTask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113정성태7/31/202216732.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13112정성태7/30/202217610.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1]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