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31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보통은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RegisterClass는 기본 코드 그대로 사용하기 마련입니다.

BOOL InitApp(HINSTANCE hInstance)
{
    WNDCLASS wc;
    wc.style = CS_DBLCLKS | CS_SAVEBITS | CS_BYTEALIGNWINDOW;
    wc.lpfnWndProc = WLWndProc;
    wc.cbClsExtra = 0;
    wc.cbWndExtra = DLGWINDOWEXTRA + sizeof(WLDLGPROC);
    wc.hInstance = hInstance;
    wc.hIcon = NULL;
    wc.hCursor = LoadCursor(NULL, IDC_ARROW);
    wc.hbrBackground = NULL;
    wc.lpszMenuName = NULL;
    wc.lpszClassName = TEXT("WLDialog");
    if (!RegisterClass(&wc)) return FALSE;
    return TRUE;
}

oldnewthing 글에서는,

When should I use CS_GLOBALCLAS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310-00/?p=107926

About Window Class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msg/about-window-classes

위의 코드 중 style 필드에 설정할 수 있는 CS_GLOBALCLASS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RegisterClass 호출 시 "lpszClassName" 필드에 클래스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을 전달하는데요, 실제로는 또 다른 식별자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hInstance" 필드입니다.

wc.hInstance = hInstance;
wc.lpszClassName = TEXT("WLDialog");

즉, 해당 클래스를 HINSTANCE+CLASSNAME 쌍으로 식별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CreateWindow 호출 시,

HWND hWnd = CreateWindowW(szWindowClass, szTitle, WS_OVERLAPPEDWINDOW,
    CW_USEDEFAULT, 0, CW_USEDEFAULT, 0, nullptr, nullptr, hInstance, nullptr);

클래스 이름뿐만 아니라 HINSTANCE 값도 함께 넘기는 것입니다. 실제로 (기본 생성된 C/C++ Window 프로젝트에서) CreateWindow를 호출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보면,

BOOL InitInstance(HINSTANCE hInstance, int nCmdShow)
{
   hInst = hInstance; // Store instance handle in our global variable

   HINSTANCE hInst2 = (HINSTANCE)::GetModuleHandle(L"kernel32.dll");

   HWND hWnd = CreateWindowW(szWindowClass, szTitle, WS_OVERLAPPEDWINDOW,
      CW_USEDEFAULT, 0, CW_USEDEFAULT, 0, nullptr, nullptr, hInst2, nullptr);

   if (!hWnd)
   {
      return FALSE;
   }

   ShowWindow(hWnd, nCmdShow);
   UpdateWindow(hWnd);

   return TRUE;
}

hWnd 값은 0이 나오고, 이때의 오류 코드는 "0x0000057F (Cannot find window class.)"가 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미리 제공하는 Button과 같은 경우에는 HINSTANCE를 그 Button을 구현한 모듈이 아닌 현재의 모듈을 전달해도 잘 동작합니다.

HWND hwndChild =
    CreateWindow(
        TEXT("button"),                 /* Class Name */
        TEXT("Button &1"),              /* Title */
        WS_CHILD | WS_VISIBLE | WS_TABSTOP |
        BS_DEFPUSHBUTTON | BS_TEXT,     /* Style */
        0, 0, 100, 100,                 /* Position and size */
        hWnd,                           /* Parent */
        (HMENU)100,                     /* Child ID */
        hInst,                        /* Instance */
        0);                             /* No special parameters */

왜냐하면, 바로 저 Button 클래스는 RegisterClass를 호출했을 때 style에 CS_GLOBALCLASS 옵션을 줬기 때문입니다. 즉, 이 옵션으로 설정된 클래스 이름은 그것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서 HINSTANCE가 무시되는 것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에 CS_GLOBALCLASS 옵션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혹시나 자신만의 윈도우 클래스를 만들어 DLL로 분리했을 때에도 그 DLL의 HINSTANCE(Module Handle) 값을 구해 넘겨주면 그만입니다.

하지만, 유일하게 신경 써야 할 때가 있는데요, 바로 대화창의 Template으로 특정 윈도우를 등록하는 경우입니다.

이전에 설명했던,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글에서 아래와 같은 형식의 리소스 템플릿을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생성하고 있는데요,

BEGIN
    ICON            IDR_MAINFRAME,IDC_STATIC,14,14,21,20
    LTEXT           "Project1, Version 1.0",IDC_STATIC,42,14,114,8,SS_NOPREFIX
    LTEXT           "Copyright (c) 2023",IDC_STATIC,42,26,114,8
    DEFPUSHBUTTON   "OK",IDOK,113,41,50,14,WS_GROUP
END

보시면 저 정보에 HINSTANCE에 대한 필드가 없습니다. 어쩌면 기본 컨트롤에 대해서는 고정적으로 user32.dll의 모듈 핸들을 넘겨주도록 처리했어도 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 저런 식으로 기본 컨트롤만으로 구성된 예제는 상관없지만 이후 나온 (Comctl32.dll에 구현된) Common Controls나, 한때 유행했던 Internet Explorer ActiveX의 경우에는 CS_GLOBALCLASS 옵션이 없었다면 대화창의 template으로 처리할 수 없어, 아마도 불편하게 WM_INITDIALOG에서 코드로 생성해야만 했을 것입니다.

이런 거 보면... 정말 Win32 시스템을 설계한 사람들이 공을 참 많이 들였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12정성태7/15/202116106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124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0정성태7/15/202118745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
12709정성태7/14/202114279Linux: 42.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구동 시점의 docker run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
12708정성태7/14/202118484Linux: 41.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원인 분석 방법
12707정성태7/14/202185720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12706정성태7/14/202116906.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705정성태7/13/202117284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2704정성태7/12/202116076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12703정성태7/11/202121461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12702정성태7/11/202117161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
12701정성태7/9/202116708.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00정성태7/8/202117152.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
12699정성태7/8/202115684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12698정성태7/7/202119935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
12697정성태7/7/202115009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
12696정성태7/6/202115954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695정성태7/3/202115989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94정성태7/2/202117929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
12693정성태6/30/202114871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
12692정성태6/30/202115348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12691정성태6/30/202115607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
12690정성태6/28/202116627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12689정성태6/25/202118324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
12688정성태6/24/202117652.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파일 다운로드1
12687정성태6/22/202114965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