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20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지난 글까지,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대화창 템플릿을 해석해 윈도우를 띄운 후, Modal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까지 구성해 봤습니다. 자, 그럼 아래의 글로 이어서 해볼까요? ^^

The dialog manager, part 8: Custom navigation in dialog box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7-00/?p=35953

내용은 매우 간단합니다. 대화창 내에서 IsDialogMessage가 제공하는 이외의 내비게이션 키를 정의하기 위해 기존의 메시지 루프에 사용자가 입력한 키를 검사하는 단계를 넣기만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while (IsWindow(this->_hDlg))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msg.message == WM_KEYDOWN && msg.wParam == VK_TAB && GetKeyState(VK_CONTROL) < 0)
            {
                ::OutputDebugString(L"Do custom navigation\n");
            }
            else if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

위의 경우에는 Ctrl+Tab 키를 누른 것을 감지해, 예를 들어 탭 컨트롤로 이뤄진 속성 창의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단축키를 (예시 코드는 없지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위의 코드에서 EnableWindow 호출을 제외하면 메시지 루프를 갖는 Modeless 대화창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런 경우라면, modeless 대화창에 포커스가 간 경우에만 사용자 정의 내비게이션 키를 적용하는 것으로 제한하고 싶을 텐데, 그럴 때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while (IsWindow(this->_hDlg))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this->_hDlg == msg.hwnd || IsChild(this->_hDlg, msg.hwnd)) &&
                msg.message == WM_KEYDOWN && msg.wParam == VK_TAB && GetKeyState(VK_CONTROL) < 0)
            {
                ::OutputDebugString(L"Do custom navigation\n");
            }
            else if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




자, 그럼 이제 시리즈의 마지막 글로 가보겠습니다. ^^

The dialog manager, part 9: Custom accelerators in dialog box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8-41/?p=35943

제목에 따라, 대화창 메시지 루프에 RC 파일에서 정의한 Accelerator 단축키를 적용하는 것인데요, (사실 간단한 경우라면 이전 예제처럼 직접 메시지 루프에서 검사해 적용해도 됩니다.) 방법은, Visual Studio가 생성하는 Windows Application 기본 예제 코드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루프와 다를 바가 없는데요,

// 기본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메인 메시지 루프

HACCEL hAccelTable = LoadAccelerators(hInstance, MAKEINTRESOURCE(IDC_PROJECT1));

MSG msg;

// Main message loop:
while (GetMessage(&msg, nullptr, 0, 0))
{
    if (msg.message == WM_DESTROY)
    {
        break;
    }
        
    if (!TranslateAccelerator(msg.hwnd, hAccelTable,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마찬가지로 대화창을 위한 ACCELERATORS를 RC 파일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추가해 주고,

// #define IDC_MY_DIALOG                   129

IDC_MY_DIALOG ACCELERATORS
BEGIN
    "W", IDCANCEL, ASCII, VIRTKEY, CONTROL
END

메시지 루프에는 위의 단축키 테이블을 로드해 사용하면 됩니다.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HACCEL hAccelTable = LoadAccelerators(this->_hInstance, MAKEINTRESOURCE(IDC_MY_DIALOG));

    while (IsWindow(this->_hDlg))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TranslateAccelerator(this->_hDlg, hAccelTable, &msg) &&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DestroyAcceleratorTable(hAccelTable);
}

그럼, 이제부터는 대화창이 뜬 후 Ctrl+W 키를 누르면 대화창이 Cancel 키를 누른 것처럼 닫히게 됩니다. 또한, 이전과 마찬가지로 위의 메시지 루프를 Modeless 대화창에 사용하고 싶다면 (대화창이 아닌) 다른 윈도우에 포커스가 있을 때 단축키가 적용되지 않도록 조건을 추가하면 됩니다.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HACCEL hAccelTable = LoadAccelerators(this->_hInstance, MAKEINTRESOURCE(IDC_MY_DIALOG));

    while (IsWindow(this->_hDlg))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this->_hDlg == msg.hwnd || IsChild(this->_hDlg, msg.hwnd)) &&
                TranslateAccelerator(this->_hDlg, hAccelTable, &msg)) &&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DestroyAcceleratorTable(hAccelTable);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자, 이걸로 Raymond Chen의 "The dialog manager" 시리즈를 모두 살펴봤습니다. 사실, 해당 시리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자연스럽게 Modality에 관한 8개의 글도 다루게 된 것입니다. ^^

아래는 이번 시리즈와 연관된 "The dialog manager" 글 목록입니다.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The dialog manager, part 1: Warm-up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329-00/?p=36043

The dialog manager, part 2: Creating the frame window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330-00/?p=36023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The dialog manager, part 3: Creating the control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331-00/?p=36003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The dialog manager, part 4: The dialog loop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1-00/?p=35993

The dialog manager, part 5: Converting a non-modal dialog box to modal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4-48/?p=35983

The dialog manager, part 6: Subtleties in message loop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5-46/?p=3

The dialog manager, part 7: More subtleties in message loop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6-57/?p=35963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The dialog manager, part 8: Custom navigation in dialog box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7-00/?p=35953

The dialog manager, part 9: Custom accelerators in dialog box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8-41/?p=35943

그리고 아래는 시리즈는 아니지만 단편으로 연관된 글 목록입니다.

C# - .NET Core/5+ 환경의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에서 HINSTANCE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7

What is the HINSTANCE passed to CreateWindow and RegisterClass used for?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18-59/?p=35873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Building a dialog template at run-time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29-00/?p=35743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hen should I use CS_GLOBALCLAS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310-00/?p=10792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3정성태11/8/200619510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18653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2579.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4524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4189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3829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6432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27194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4762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3265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5504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0968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6756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0475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6652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1840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4091.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28861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27800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26703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29151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5212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29965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26891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29685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390정성태11/6/20062684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