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94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
; https://www.sysnet.pe.kr/2/0/13338

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 https://www.sysnet.pe.kr/2/0/13339

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 https://www.sysnet.pe.kr/2/0/13341

닷넷: 2141. C# 12 - Interceptor (컴파일 시에 메서드 호출 재작성)
; https://www.sysnet.pe.kr/2/0/13410

닷넷: 2142. C# 12 - 인라인 배열(Inline Arrays)
; https://www.sysnet.pe.kr/2/0/13412

닷넷: 2144. C# 12 - 컬렉션 식(Collection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3415

닷넷: 2150. C# 12 - 정적 문맥에서 인스턴스 멤버에 대한 nameof 접근 허용(Allow nameof to always access instance members from static 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3427

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 https://www.sysnet.pe.kr/2/0/13428

닷넷: 2160. C# 12 - Experimental 특성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444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

("람다 식의 선택적 매개 변수"라고 예전에 제목을 지었는데 공식 문서에 "기본 람다 매개 변수"로 나와서 그에 따라 이름을 바꿉니다.)




C# Next, 즉 C# 12에 포함될 기능에 대한 진행 사항이 아래의 문서를 통해 공개돼 있습니다.

C# Next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c-next

.NET Conf 2023 - "What's New in C# 12"
; https://youtu.be/xEFO1sQ2bUc?t=16316

12개의 개선이 추가되는데 오늘은 그 첫 번째로 "Lambda default parameters"를 소개합니다. ^^ 이것을 먼저 선택한 이유는, 해당 기능은 현재 버전의 Visual Studio 2022 17.5.5 버전에서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능들은 Preview 버전의 Visual Studio 2022를 요구합니다.)

따라서 이 글의 실습을 하려면 프로젝트 생성 후 LangVersion만 preview로 바꾸면 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LangVersion>preview</LangVersion>
  </PropertyGroup>

</Project>




C#에서 발전 중인 Lambda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C# 3.0: 처음 람다 지원
  • C# 6.0: 람다 표현식을 이용해 일반 메서드, 속성과 인덱서의 get 접근자에 대한 정의
  • C# 7.0: C# 6.0에 구현된 범위를 확장 - 생성자, 종료자, 이벤트의 add/remove, 속성과 인덱서의 set 접근자
  • C# 9.0: 매개변수 무시, static 지원
  • C# 10: 특성 허용, 반환 타입 지정, var 추론

뭐랄까, 일반 메서드에서 허용된 기능들이 람다에서도 지원되고 있는 건데요, 사실 람다뿐만 아니라 익명 메서드, 로컬 함수까지 전방위적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C# 12에는 람다에 대해 (일반 메서드에나 가능했던) 매개변수의 기본값까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var addWithDefault = (int addTo = 2) => addTo + 1;
addWithDefault(); // 3
addWithDefault(5); // 6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람다 자체를 받는 것은 결국 delegate 타입이기 때문에 사실상 기본값에 대한 설정은 람다가 아닌 delegate에 있다는 점입니다. 단지, 위의 코드는 var가 그것을 추론해 대응하는 delegate 타입을 C# 컴파일러가 대신 만들어두는 것에 불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함수를 다음과 같이 Func<int, int>로 바꿀 수 없습니다.

Func<int, int> addWithDefault = (int addTo = 2) => addTo + 1; // 컴파일 경고: warning CS9099: Parameter 1 has default value '2' in lambda but '<missing>' in the target delegate type.
addWithDefault(); // 컴파일 오류: error CS7036: There is no argument given that corresponds to the required parameter 'arg' of 'Func<int, int>'
addWithDefault(5);

왜냐하면 Func<int, int> 델리게이트의 정의에는,

namespace System
{
    public delegate TResult Func<in T, out TResult>(T arg);
}

기본값이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기본값이 있는 람다 메서드를 (var 추론으로 생성하지 않고) 직접 델리게이트를 이용해 받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델리게이트 정의를 추가해야 합니다.

MyFunc addWithDefault = (int addTo) => addTo + 1; // 람다 자체에는 기본값이 없음!
addWithDefault(); // 3
addWithDefault(5); // 6

public delegate int MyFunc(int addTo = 2); // 기본값은 델리게이트에서! 이 코드는 C# 10 이전에도 가능!

보다시피, 기본값의 적용은 엄밀히 람다가 아닌 델리게이트 타입이었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코드에서 addTo 인자에 기본값을 적용하면,

{
    MyFunc addWithDefault = (int addTo = 5) => addTo + 1; // 컴파일 경고: warning CS9099: Parameter 1 has default value '5' in lambda but '2' in the target delegate type.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 // 3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5)); // 6
}

컴파일 경고와 함께, 사용자가 지정한 5가 아닌 MyFunc 델리게이트 타입에 지정된 2가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명시적인 델리게이트 타입을 경유한 람다의 기본값 적용은 Reflection으로 알아낼 수 없습니다.

{
    MyFunc addWithDefault = (int addTo) => addTo + 1;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 // 3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5)); // 6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Method.GetParameters()[0].DefaultValue); // 출력 결과: (빈 문자열)
}

public delegate int MyFunc(int addTo = 2);

반면 위와 같은 상황에서 람다 측에 기본값을 적용하면, (경고도 발생하고 유효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Reflection은 람다에 정의한 기본값을 가져온다는 점입니다.

{
    MyFunc addWithDefault = (int addTo = 10) => addTo + 1;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 // 3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5)); // 6

    Console.WriteLine(addWithDefault.Method.GetParameters()[0].DefaultValue); // 출력 결과: 10
}

public delegate int MyFunc(int addTo = 2);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그리고, 이미지 하나 ^^
[출처: .NET and C# Versions - 8/12 Update
dotnet-versions-export.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11정성태10/2/201823190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2101.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0497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2734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4075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0159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0983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4987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19763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6979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2731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0771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19320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0630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19460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0419.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25609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19785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2895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3209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20126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3108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2372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17723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19679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18727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