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26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345

.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47

.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48

.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49

.NET Framework: 2121. C# - Semantic Kernel의 대화 문맥 유지
; https://www.sysnet.pe.kr/2/0/13352

.NET Framework: 2123. C# - Semantic Kernel의 ChatGPT 대화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355

.NET Framework: 2124. C# - Semantic Kernel의 Planner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57

.NET Framework: 2125. C# - Semantic Kernel의 Semantic Memory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58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아래의 예제를 보면,

Breadcrumbssemantic-kernel/samples/notebooks/dotnet/01-basic-loading-the-kernel.ipynb
; https://github.com/microsoft/semantic-kernel/blob/main/samples/notebooks/dotnet/01-basic-loading-the-kernel.ipynb

Kernel 개체를 Generic Host처럼 초기화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해당 코드에서는 NullLogger를 사용해서,

ILogger myLogger = NullLogger.Instance;
IKernel kernel_2 = Kernel.Builder
    .WithLogger(myLogger)
    .Build();

아무런 출력이 없지만 이것을 우리가 임의로 만든 ConsoleLogger로,

using Microsoft.Extensions.Logging;

namespace ConsoleApp1;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extensions/custom-logging-provider
public class ConsoleLogger : ILogger
{
    public IDisposable? BeginScope<TState>(TState state) where TState : notnull => default!;

    public bool IsEnabled(LogLevel logLevel)
    {
        return true;
    }

    public void Log<TState>(LogLevel logLevel, EventId eventId, TState state, Exception? exception, Func<TState, Exception?, string> formatter)
    {
        Console.WriteLine(formatter(state, exception));
    }
}

지난번 글의 summarize 함수와 연결해 열역학 법칙에 대해서만 테스트해 보면,

private static async Task<int> Main(string[] args)
{
    // ...[생략]...

    ILogger myLogger = new ConsoleLogger();
    var kernel = Kernel.Builder
        .WithLogger(myLogger)
        .Build();

    // ...[생략]...

    var prompt = @"{{$input}}

One line TLDR with the fewest words.";

    var summarize = kernel.CreateSemanticFunction(prompt);

    string text1 = @"
1st Law of Thermodynamics - Energy cannot be created or destroyed.
2nd Law of Thermodynamics - For a spontaneous process, the entropy of the universe increases.
3rd Law of Thermodynamics - A perfect crystal at zero Kelvin has zero entropy.";

    Console.WriteLine(await summarize.InvokeAsync(text1));

    return 0;
}

이런 결과를 얻게 됩니다.

Extracting blocks from template: {{$input}}

One line TLDR with the fewest words.
Rendering string template: {{$input}}

One line TLDR with the fewest words.
Extracting blocks from template: {{$input}}

One line TLDR with the fewest words.
Rendering list of 2 blocks
Rendered prompt:
1st Law of Thermodynamics - Energy cannot be created or destroyed.
2nd Law of Thermodynamics - For a spontaneous process, the entropy of the universe increases.
3rd Law of Thermodynamics - A perfect crystal at zero Kelvin has zero entropy.

One line TLDR with the fewest words.

Energy conserved, entropy increases, zero entropy at 0K.




자, 그다음 KernelConfig도 이렇게 바꿔서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KernelConfig kernelConfig = new KernelConfig();
kernelConfig.AddOpenAITextCompletionService(
    "davinci-openai",
    "text-davinci-003",               // OpenAI Model name
    apiKey       // OpenAI API Key
);

ILogger myLogger = new ConsoleLogger();
var kernel = Kernel.Builder
    .WithLogger(myLogger)
    .WithConfiguration(kernelConfig)
    .Build();

kernelConfig에는 1개 이상의 서비스를 연결해 둘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아래는 OpenAI와 Azure OpenAI 서비스를 함께 지정하고 있습니다. (혹은 동일한 OpenAI여도 Model 이름이 다른 서비스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kernelConfig.AddAzureTextCompletionService(
    "Azure_curie",                          // alias used in the prompt templates' config.json
    "my-finetuned-Curie",                   // Azure OpenAI *Deployment ID*
    "https://contoso.openai.azure.com/",    // Azure OpenAI *Endpoint*
    "...your Azure OpenAI Key..."           // Azure OpenAI *Key*
);

kernelConfig.AddOpenAITextCompletionService(
    "davinci-openai",
    "text-davinci-003",               // OpenAI Model name
    apiKey       // OpenAI API Key
);

저렇게 2개의 서비스를 추가한 경우, 기본적으로 첫 번째 서비스가 "default"로 처리된다고 합니다. 만약, 기본 서비스를 다른 걸로 지정하고 싶다면 SetDefaultTextCompletionService 메서드를 호출하면 되는데요, 아래의 코드는 위의 예제에서 두 번째 OpenAI 서비스를 default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kernelConfig.SetDefaultTextCompletionService("davinci-openai");

아하... 여기서 수수께끼가 하나 풀리는군요. ^^ 지난 글에서 AddOpenAITextCompletionService의 첫 번째 인자가 "Service ID"라고만 설명돼 있어 잘 모르겠다고 했는데 실은 임의의 문자열로 kernelConfig에 추가되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만 의미가 있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그냥 아무 문자열이나 고유하게만 붙여주면 되는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1정성태11/7/20063473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754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3226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419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630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895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558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4775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7343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5666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9763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23029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22399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4201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418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23474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23000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31217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461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32076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7249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7749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20849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21204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9153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5946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