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 -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80A5)

해당 오류를 재현하기 위해, 지난 글에서 실습한 (.NET 8로 만든) C# COM DLL을,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기존의 regasm처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59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public interface IMyNetCode
    {
        void ShowDialog();
    }

    [ComVisible(true)]
    [Gu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public class MyNetCode : IMyNetCode
    {
        public void ShowDialog()
        {
            string platform = (IntPtr.Size == 4) ? "x86" : "x64";
            MessageBox.Show($" {RuntimeEnvironment.GetSystemVersion()}: {platform}");
        }
    }
}

동일한 .NET 8 C# Console Application에서 활성화시켜 실행하면,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1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uid guid = new Guid("{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Type type = Type.GetTypeFromCLSID(guid);

            object comObject = Activator.CreateInstance(type); // 예외 발생
        }
    }
}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net45_from_net80\x64\Debug> ConsoleApp1.exe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80A5): Retrieving the COM class factory for component with CLSID {41AC8568-9230-4E63-B7C5-CAAD997EE207} failed due to the following error: 800080a5 0x800080A5.
   at System.RuntimeTypeHandle.AllocateComObject(Void* pClassFactory)
   at System.RuntimeType.CreateInstanceDefaultCtor(Boolean publicOnly, Boolean wrapExceptions)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net45_from_net80\ConsoleApp1\Program.cs:line 16

오류 코드가 0x800080A5 (-2147450715)인데, 검색해도 잘 안 나오는 꽤나 낯선 오류입니다. ^^;




원인은 프로젝트 설정에서 기인합니다. C# COM DLL 측에서 Windows Forms의 MessageBox.Show를 사용했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이 구축한 상태인데요,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OutputType>Library</OutputType>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EnableComHosting>true</EnableComHosting>
        <EnableRegFreeCom>true</EnableRegFreeCom>

        <BaseOutputPath>..\x64</BaseOutputPath>
        <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false</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
        <Platform>x64</Platform>

    </PropertyGroup>
    <PropertyGroup>
        <SignAssembly>true</SignAssembly>
    </PropertyGroup>
    <PropertyGroup>
        <AssemblyOriginatorKeyFile>test.snk</AssemblyOriginatorKeyFile>
    </PropertyGroup>

    <Target Name="PostBuild" AfterTargets="PostBuildEvent">
        <Exec Command="dscom tlbexport &quot;$(TargetPath)&quot;" />
    </Target>

    <ItemGroup Condition="Exists('$(AssemblyName).tlb')">
        <ComHostTypeLibrary Include="$(AssemblyName).tlb" Id="1"/>
    </ItemGroup>
</Project>

따라서 호출 측에서도, 비록 Windows Forms 관련 코드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UseWindowsForms 옵션을 추가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OutputType>Exe</OutputType>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BaseOutputPath>..\x64</BaseOutputPath>
      <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false</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
      <Platform>x64</Platform>
      
      <ApplicationManifest>app.manifest</ApplicationManifest>

  </PropertyGroup>

</Project>

이후 다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건, COM Client 역할을 하는 측의 프로젝트를 그냥 일반적인 .NET Framework Console Application으로 만들거나, 단순히 C/C++ 클라이언트로 만든 경우에는 저런 설정과 무관하게 잘 실행이 된다는 점입니다.




한 가지 더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요, COM Server와 클라이언트의 TargetFramework을 아래와 같이 바꾸면,

[C# COM 서버 역할을 하는 ClassLibrary1]
    <TargetFramework>net7.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C# COM Client 역할을 하는 ConsoleApp1]
    <TargetFramework>net7.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당연히 잘 동작하겠지만, RuntimeEnvironment.GetSystemVersion()의 결괏값이 "v4.0.30319"라고 나온다는 점입니다. .NET 8 환경에서는 정상적으로 "v8.0.0"이 나왔던 반면, .NET 7인 경우에는 마치 Desktop용의 .NET Framework을 가리키는 버전이 나오는 것입니다.

아울러, 다음과 같이 버전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C# COM 서버 역할을 하는 ClassLibrary1]
    <TargetFramework>net7.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C# COM Client 역할을 하는 ConsoleApp1]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혹은 반대로 하는 경우에도,

[C# COM 서버 역할을 하는 ClassLibrary1]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C# COM Client 역할을 하는 ConsoleApp1]
    <TargetFramework>net7.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동일하게 "0x800080A5" 오류가 발생합니다. (제가 테스트한 것은 .NET 5부터 한 것인데, 모두 COM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프로젝트 버전이 동일해야 합니다. 아마도 이전의 .NET Core 런타임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있을 듯합니다.) 이런 조합의 수까지 고려해 테스트를 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도 참 골치 아플 것 같습니다. ^^;

(2023-12-02 업데이트) 정식 문서에 보면,
Hosting layer error and exit codes
; https://github.com/dotnet/runtime/blob/main/docs/design/features/host-error-codes.md

0x800080a5에 대해,

Error returned by hostfxr_initialize_for_runtime_config if the component being initialized requires framework which is not available or incompatible with the frameworks loaded by the runtime already in the process. For example trying to load a component which requires 3.0 into a process which is already running a 2.0 runtime.

라는 설명이 나오는군요. ^^ 결국 지난번의 결론에 해당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22정성태1/20/20209176.NET Framework: 879. C/C++의 UNREFERENCED_PARAMETER 매크로를 C#에서 우회하는 방법(IDE0060 - Remove unused parameter '...')파일 다운로드1
12121정성태1/20/20209768VS.NET IDE: 139. Visual Studio - Error List: "Could not find schema information for the ..."파일 다운로드1
12120정성태1/19/202011195.NET Framework: 87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네 번째 이야기(IL 코드로 직접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119정성태1/17/202011230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12118정성태1/17/202011889개발 환경 구성: 466.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1]
12117정성태1/15/202010894디버깅 기술: 159. C# - 디버깅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다른 디버거에서 연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6정성태1/15/202011395디버깅 기술: 158. Visual Studio로 디버깅 시 sos.dll 확장 명령어를 (비롯한 windbg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115정성태1/14/202011112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4정성태1/13/202013006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1]파일 다운로드3
12113정성태1/12/202013603오류 유형: 590. Visual C++ 빌드 오류 - fatal error LNK1104: cannot open file 'atls.lib' [1]
12112정성태1/12/202010139오류 유형: 589. PowerShell - 원격 Invoke-Command 실행 시 "WinRM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오류 발생
12111정성태1/12/202013448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12110정성태1/11/202012031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9929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9994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0923.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2434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1018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1690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14458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2012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1353.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9377.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1690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1276.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9824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