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051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48. 닷넷에서 지원되는 문자열 인코딩 이름 목록
; https://www.sysnet.pe.kr/2/0/1147

.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 https://www.sysnet.pe.kr/2/0/1446

.NET Framework: 373. C# 문자열의 인코딩이란?
; https://www.sysnet.pe.kr/2/0/1461

.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78

.NET Framework: 702.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381

.NET Framework: 867. C# - Encoding.Default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 https://www.sysnet.pe.kr/2/0/12037

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506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오호~~~ .NET 8에서 다음의 코드가,

var encoding = Encoding.GetEncoding("ks_c_5601-1987");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System.ArgumentException
  HResult=0x80070057
  Message='ks_c_5601-1987' is not a supported encoding name. For information on defining a custom encoding, see the documentation for the Encoding.RegisterProvider method. (Parameter 'name')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Text.EncodingTable.InternalGetCodePageFromName(String name)
   at System.Text.EncodingTable.GetCodePageFromName(String name)
   at System.Text.Encoding.GetEncoding(String name)
   ...[생략]...

실제로 지원하는 인코딩 수가 닷넷 프레임워크 시절에 비해 확 줄었습니다.

foreach (var item in Encoding.GetEncodings())
{
    Console.WriteLine(item.Name);
}

/* 출력 결과:
utf-16
utf-16BE
utf-32
utf-32BE
us-ascii
iso-8859-1
utf-8
*/

아마도, .NET Runtime의 크기를 줄이려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런 경우, NuGet 패키지로 분리했다고 보면 됩니다. ^^

.NET Core encoding support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standard/base-types/character-encoding

CodePagesEncodingProvider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text.codepagesencodingprovider

NuGet 패키지의 README에 사용 방법이 자세하게 나오는데,

Install-Package System.Text.Encoding.CodePages
; https://www.nuget.org/packages/System.Text.Encoding.CodePages/

따라서 패키지 참조 후 RegisterProvider 과정을 거친 후 예전처럼 Encoding.GetEncoding을 호출하면 됩니다.

Encoding.RegisterProvider(CodePagesEncodingProvider.Instance);

var encoding = Encoding.GetEncoding("ks_c_5601-1987");
Console.WriteLine($"{encoding.EncodingName}, {encoding.CodePage}");

혹은 등록 과정 없이 그냥 바로 사용해도 됩니다.

var encoding = CodePagesEncodingProvider.Instance.GetEncoding("ks_c_5601-1987");
Console.WriteLine($"{encoding.EncodingName}, {encoding.CodePage}");

이후 다시 지원 목록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hift_jis
IBM860
ibm861
IBM880
DOS-862
IBM863
gb2312
IBM864
IBM865
cp866
koi8-u
IBM037
ibm869
IBM500
x-mac-icelandic
IBM01140
IBM01141
IBM01142
IBM273
IBM01143
IBM01144
IBM01145
windows-1250
IBM01146
windows-1251
IBM01147
macintosh
windows-1252
DOS-720
IBM277
IBM01148
x-mac-japanese
windows-1253
IBM437
IBM278
IBM01149
x-mac-chinesetrad
windows-1254
windows-1255
Johab
windows-1256
x-mac-arabic
windows-1257
x-mac-hebrew
windows-1258
x-mac-greek
x-mac-cyrillic
IBM00924
iso-8859-2
iso-8859-3
iso-8859-4
iso-8859-5
iso-8859-6
IBM870
iso-8859-7
iso-8859-8
iso-8859-9
x-mac-turkish
x-mac-croatian
windows-874
cp875
IBM420
ks_c_5601-1987
IBM423
IBM424
IBM280
IBM01047
IBM284
IBM285
x-mac-romanian
EUC-JP
x-mac-ukrainian
x-Europa
ibm737
x-IA5
big5
x-cp20936
x-IA5-German
x-IA5-Swedish
x-IA5-Norwegian
koi8-r
ibm775
iso-8859-13
IBM290
iso-8859-15
x-Chinese-CNS
ASMO-708
IBM297
x-mac-thai
x-cp20001
IBM905
x-Chinese-Eten
x-ebcdic-koreanextended
x-cp20003
x-cp20004
x-cp20005
ibm850
IBM-Thai
ibm852
IBM871
x-mac-ce
IBM855
cp1025
x-cp20949
ibm857
IBM00858
x-cp20261
IBM1026
x-cp20269
utf-16
utf-16BE
utf-32
utf-32BE
us-ascii
iso-8859-1
utf-8

이 목록은 이전과 비교해 다음의 인코딩들이 누락되었습니다.

csISO2022JP
EUC-CN
euc-kr
GB18030
hz-gb-2312
iso-2022-jp
iso-2022-jp
iso-2022-kr
iso-8859-8-i
utf-7
x-cp50227
x-iscii-as
x-iscii-be
x-iscii-de
x-iscii-gu
x-iscii-ka
x-iscii-ma
x-iscii-or
x-iscii-pa
x-iscii-ta
x-iscii-te
x-mac-chinesesimp
x-mac-korean

그런데, 재미있는 건 저 목록에 있는 것 중에서 (.NET 5부터) "utf-7"을 제외하고는,

Unhandled exception. System.NotSupportedException: Support for UTF-7 is disabled. See https://aka.ms/dotnet-warnings/SYSLIB0001 for more information.
   at System.Text.Encoding.GetEncoding(Int32 codepage)
   ...[생략]...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Encoding euc = Encoding.GetEncoding("euc-kr"); // "euc-kr"은 지원 목록에 없음에도!
Console.WriteLine($"{euc.EncodingName}, {euc.CodePage}");

// 출력 결과: Korean (EUC), 5194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6정성태2/15/201521269.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804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801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62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86.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403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278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91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437.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760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2023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901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60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921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436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405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623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532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240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58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70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855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89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568.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650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533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