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35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adb.exe를 이용해 Android 기기에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은 Visual Studio의 "Tools" / "Android" / "Android Adb Command Prompt..."를 선택해 대략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C:\temp> which adb.exe
/c/Program Files (x86)/Android/android-sdk/platform-tools/adb.exe

C:\temp> adb push test.txt /storage/emulated/0/Download/test.txt
test.txt: 1 file pushed, 0 skipped. 0.0 MB/s (13 bytes in 0.000s)

위와 같이 전송했으면, 에뮬레이터에서 Files 앱을 실행해 "/Download" 디렉터리에 test.txt 파일이 복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개 이상의 에뮬레이터, 또는 1개의 에뮬레이터와 1개의 실 기기가 연결돼 있다면 adb는 어디에 파일 업로드를 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없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adb push test.txt /storage/emulated/0/Download/test.txt
adb: error: failed to get feature set: more than one device/emulator

이런 경우 장치를 열거한 후,

C:\temp> adb devices
List of devices attached
T3AB101GPZY     device
emulator-5554   device

대상 ID에 해당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옵션을 곁들여 push를 하면 됩니다.

C:\temp> adb -s emulator-5554 push test.txt /storage/emulated/0/Download/test.txt
test.txt: 1 file pushed, 0 skipped. 0.0 MB/s (13 bytes in 0.000s)

참고로, 단순히 그 대상이 /Download 디렉터리에 복사하는 경우라면 더 편한 방법이 있는데요, 윈도우 탐색기에서 에뮬레이터 위로 드래그&드롭 동작을 하면 됩니다.




위의 방법은 기기의 공용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경우이고, (제한적으로) App 고유의 영역에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가령, MAUI로 만든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 ".\Platforms\Android\MainActivity.cs"

namespace SimplePlayer;
[Activity(Theme = "@style/Maui.SplashTheme", MainLauncher = true,
    ConfigurationChanges = ConfigChanges.ScreenSize | ConfigChanges.Orientation | ConfigChanges.UiMode | ConfigChanges.ScreenLayout | ConfigChanges.SmallestScreenSize | ConfigChanges.Density
    )]
public class MainActivity : MauiAppCompatActivity
{
    protected override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tring appPath = this.FilesDir?.AbsolutePath ?? "";
        //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

FilesDir.AbsolutePath로 구한 경로, 즉 "/data/user/0/{package_name}/files"에 업로드하고 싶을 수도 있는데요,

C:\temp> adb push test.txt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test.txt
adb: error: stat failed when trying to push to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test.txt: Permission denied

C:\temp> adb shell
emu64xa:/ $ cd /data
emu64xa:/data $ cd /data
emu64xa:/data $ ls
ls: .: Permission denied

기본적으로는 저렇게 권한 오류가 떨어집니다. 왜냐하면, adb 명령어를 받아서 실행해 주는 Android 측, 예를 들어 Emulator에 설치된 adbd 데몬이 루트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검색해 보면, 루트 권한을 얻는 다양한 루팅 방법들이 나오는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해킹 등의 목적이 아닌, 단순히 우리처럼 ^^ MAUI 개발 용도라면 썩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런 경우 아무리 github에 올려둔 repo가 있다고 해도 내부 바이너리 생성까지 빌드할 수 있도록 공개하지는 않았으므로 신뢰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결국 물리 기기의 루팅 방법은 포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테스트를 위해서라면 혹시 에뮬레이터는 그래도 안전하게 루트 권한을 얻는 방법을 허용하지 않았을까... 해서 검색했더니 아래의 글이 나옵니다. ^^

#SQLite 사용시 root권한 획득 adbd cannot run as root in production builds Error
; https://mrdevelop.tistory.com/entry/SQLite-사용시-root권한-획득-adbd-cannot-run-as-root-in-production-builds-Error

그러니까, Nexus 6 에뮬레이터를 "Goole Play Store"가 아닌 "Google APIs" 방식으로 생성하면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렇게 생성한 에뮬레이터를 띄우면, 이후에는 개별 앱 공간에 파일 업로드가 자유롭게 됩니다.

C:\temp> adb push test.txt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test.txt
test.txt: 1 file pushed, 0 skipped. 0.1 MB/s (13 bytes in 0.000s)

확인은 shell 접속으로 가능합니다.

C:\temp> adb shell

emu64xa:/ # ls /data/data/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profileInstalled  test.txt




위의 방법을 알았으니 지난 MAUI 예제에서 작성한 아래의 코드를 mp4 파일을 App 내에서 코드로 미리 복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실습할 수 있습니다.

FileMediaSource? src = null;

// docPath ==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Documents"
string docPath = Environment.GetFolderPath(Environment.SpecialFolder.MyDocuments);

string filePath = Path.Combine(docPath, "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src = MediaSource.FromFile(filePath) as FileMediaSource;

즉, 이렇게 복사해 준 후 테스트하면 되는 것입니다. ^^

adb push 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Documents/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그건 그렇고, 왜? Android Studio의 "Device Explorer"에서는 Nexus 에뮬레이터와 상관없이 개별 App 디렉터리로 파일 접근이 잘 되는 것일까요?

검색해 보니, 디버그 모드로 빌드한 패키지에 한해 접근할 수 있는 "run-as" 명령어가 있습니다.

c:\temp> adb shell

emu64xa:/ $ run-as com.companyname.simpleplayer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 $ ls
cache  code_cache  files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 $ cd files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ls
profileInstalled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echo $USER
u0_a161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exit
emu64xa:/ $ echo $USER
shell

Android Studio도 다른 패키지들의 경우에는 "run-as: package not debuggable: com.breel.wallpapers18"라고 뜨는 것을 보니 아마도 저 명령어를 이용하는 듯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4정성태1/4/201727813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321.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787.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681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540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187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5960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291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221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212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203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109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283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758.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438.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403.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232.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122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291.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687.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163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121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202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1997.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766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0725.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