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167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adb.exe를 이용해 Android 기기에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은 Visual Studio의 "Tools" / "Android" / "Android Adb Command Prompt..."를 선택해 대략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C:\temp> which adb.exe
/c/Program Files (x86)/Android/android-sdk/platform-tools/adb.exe

C:\temp> adb push test.txt /storage/emulated/0/Download/test.txt
test.txt: 1 file pushed, 0 skipped. 0.0 MB/s (13 bytes in 0.000s)

위와 같이 전송했으면, 에뮬레이터에서 Files 앱을 실행해 "/Download" 디렉터리에 test.txt 파일이 복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개 이상의 에뮬레이터, 또는 1개의 에뮬레이터와 1개의 실 기기가 연결돼 있다면 adb는 어디에 파일 업로드를 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없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adb push test.txt /storage/emulated/0/Download/test.txt
adb: error: failed to get feature set: more than one device/emulator

이런 경우 장치를 열거한 후,

C:\temp> adb devices
List of devices attached
T3AB101GPZY     device
emulator-5554   device

대상 ID에 해당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옵션을 곁들여 push를 하면 됩니다.

C:\temp> adb -s emulator-5554 push test.txt /storage/emulated/0/Download/test.txt
test.txt: 1 file pushed, 0 skipped. 0.0 MB/s (13 bytes in 0.000s)

참고로, 단순히 그 대상이 /Download 디렉터리에 복사하는 경우라면 더 편한 방법이 있는데요, 윈도우 탐색기에서 에뮬레이터 위로 드래그&드롭 동작을 하면 됩니다.




위의 방법은 기기의 공용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경우이고, (제한적으로) App 고유의 영역에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가령, MAUI로 만든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 ".\Platforms\Android\MainActivity.cs"

namespace SimplePlayer;
[Activity(Theme = "@style/Maui.SplashTheme", MainLauncher = true,
    ConfigurationChanges = ConfigChanges.ScreenSize | ConfigChanges.Orientation | ConfigChanges.UiMode | ConfigChanges.ScreenLayout | ConfigChanges.SmallestScreenSize | ConfigChanges.Density
    )]
public class MainActivity : MauiAppCompatActivity
{
    protected override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tring appPath = this.FilesDir?.AbsolutePath ?? "";
        //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

FilesDir.AbsolutePath로 구한 경로, 즉 "/data/user/0/{package_name}/files"에 업로드하고 싶을 수도 있는데요,

C:\temp> adb push test.txt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test.txt
adb: error: stat failed when trying to push to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test.txt: Permission denied

C:\temp> adb shell
emu64xa:/ $ cd /data
emu64xa:/data $ cd /data
emu64xa:/data $ ls
ls: .: Permission denied

기본적으로는 저렇게 권한 오류가 떨어집니다. 왜냐하면, adb 명령어를 받아서 실행해 주는 Android 측, 예를 들어 Emulator에 설치된 adbd 데몬이 루트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검색해 보면, 루트 권한을 얻는 다양한 루팅 방법들이 나오는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해킹 등의 목적이 아닌, 단순히 우리처럼 ^^ MAUI 개발 용도라면 썩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런 경우 아무리 github에 올려둔 repo가 있다고 해도 내부 바이너리 생성까지 빌드할 수 있도록 공개하지는 않았으므로 신뢰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결국 물리 기기의 루팅 방법은 포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테스트를 위해서라면 혹시 에뮬레이터는 그래도 안전하게 루트 권한을 얻는 방법을 허용하지 않았을까... 해서 검색했더니 아래의 글이 나옵니다. ^^

#SQLite 사용시 root권한 획득 adbd cannot run as root in production builds Error
; https://mrdevelop.tistory.com/entry/SQLite-사용시-root권한-획득-adbd-cannot-run-as-root-in-production-builds-Error

그러니까, Nexus 6 에뮬레이터를 "Goole Play Store"가 아닌 "Google APIs" 방식으로 생성하면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렇게 생성한 에뮬레이터를 띄우면, 이후에는 개별 앱 공간에 파일 업로드가 자유롭게 됩니다.

C:\temp> adb push test.txt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test.txt
test.txt: 1 file pushed, 0 skipped. 0.1 MB/s (13 bytes in 0.000s)

확인은 shell 접속으로 가능합니다.

C:\temp> adb shell

emu64xa:/ # ls /data/data/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profileInstalled  test.txt




위의 방법을 알았으니 지난 MAUI 예제에서 작성한 아래의 코드를 mp4 파일을 App 내에서 코드로 미리 복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실습할 수 있습니다.

FileMediaSource? src = null;

// docPath ==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Documents"
string docPath = Environment.GetFolderPath(Environment.SpecialFolder.MyDocuments);

string filePath = Path.Combine(docPath, "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src = MediaSource.FromFile(filePath) as FileMediaSource;

즉, 이렇게 복사해 준 후 테스트하면 되는 것입니다. ^^

adb push 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Documents/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그건 그렇고, 왜? Android Studio의 "Device Explorer"에서는 Nexus 에뮬레이터와 상관없이 개별 App 디렉터리로 파일 접근이 잘 되는 것일까요?

검색해 보니, 디버그 모드로 빌드한 패키지에 한해 접근할 수 있는 "run-as" 명령어가 있습니다.

c:\temp> adb shell

emu64xa:/ $ run-as com.companyname.simpleplayer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 $ ls
cache  code_cache  files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 $ cd files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ls
profileInstalled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echo $USER
u0_a161
emu64xa:/data/user/0/com.companyname.simpleplayer/files $ exit
emu64xa:/ $ echo $USER
shell

Android Studio도 다른 패키지들의 경우에는 "run-as: package not debuggable: com.breel.wallpapers18"라고 뜨는 것을 보니 아마도 저 명령어를 이용하는 듯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11정성태1/11/202212974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12910정성태1/10/202213701제니퍼 .NET: 3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8) - CPU high와 DB 쿼리 성능에 문제가 함께 있는 사이트
12909정성태1/10/202215039오류 유형: 782. Visual Studio 2022 설치 시 "Couldn't install Microsoft.VisualCpp.Redist.14.Latest"
12908정성태1/10/202212363.NET Framework: 1132. C# - ref/out 매개변수의 IL 코드 처리
12907정성태1/9/202213934오류 유형: 781. (youtube-dl.exe)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2906정성태1/9/202215230.NET Framework: 1131. C# - 네임스페이스까지 동일한 타입을 2개의 DLL에서 제공하는 경우 충돌을 우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905정성태1/8/202214393오류 유형: 780.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TextTemplating.VSHost.15.0, Version=16.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12904정성태1/8/202216383개발 환경 구성: 623. Visual Studio 2022 빌드 환경을 위한 github Actions 설정 [1]
12903정성태1/7/202215353.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12902정성태1/7/202215096오류 유형: 779. SQL 서버 로그인 에러 - provider: Shared Memory Provider, error: 0 - No process is on the other end of the pipe.
12901정성태1/5/202215459오류 유형: 778. C# - .NET 5+에서 warning CA1416: This call site is reachable on all platforms. '...' is only supported on: 'windows' 경고 발생
12900정성태1/5/202217366개발 환경 구성: 622. vcpkg로 ffmpeg를 빌드하는 경우 생성될 구성 요소 제어하는 방법
12899정성태1/3/202216843개발 환경 구성: 621.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12898정성태1/2/202217575.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1]파일 다운로드1
12897정성태1/2/202215517.NET Framework: 1128.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12896정성태1/1/202220726.NET Framework: 1127.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파일 다운로드1
12895정성태12/31/202117594.NET Framework: 1126. C# - snagit처럼 화면 캡처를 연속으로 수행해 동영상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12894정성태12/30/202115602.NET Framework: 1125.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3]파일 다운로드1
12893정성태12/27/202117346.NET Framework: 112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892정성태12/26/202114231기타: 83. unsigned 형의 이전 값이 최댓값을 넘어 0을 지난 경우, 값의 차이를 계산하는 방법
12891정성태12/23/202114864스크립트: 38. 파이썬 - uwsgi의 --master 옵션
12890정성태12/23/202115132VC++: 152. Golang - (문자가 아닌) 바이트 위치를 반환하는 strings.IndexRune 함수
12889정성태12/22/202117981.NET Framework: 1123. C# - (SharpDX + DXGI)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빠르게 JPG로 변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888정성태12/21/202115112.NET Framework: 1122. C# - ImageCodecInfo 사용 시 System.Drawing.Image와 System.Drawing.Bitmap에 따른 Save 성능 차이파일 다운로드1
12887정성태12/21/202118611오류 유형: 777. OpenCVSharp4를 사용한 프로그램 실행 시 "The type initializer for 'OpenCvSharp.Internal.NativeMethods' threw an exception." 예외 발생
12886정성태12/20/202114655스크립트: 37. 파이썬 - uwsgi의 --enable-threads 옵션 [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