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
; https://www.sysnet.pe.kr/2/0/13673

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3681

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
; https://www.sysnet.pe.kr/2/0/13699

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1

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5

닷넷: 2294.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10

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3752

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
; https://www.sysnet.pe.kr/2/0/13754

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 https://www.sysnet.pe.kr/2/0/13755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

이 글의 실습은 현재(2024-08-05) Visual Studio 2022 Preview 버전(최소 17.11.p2)에서만 가능합니다.




yield 문을 사용하는 iterator 메서드 또는 비동기(async) 메서드는 스택상에 변수를 저장하는 경우 사용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재현 코드를 이런 식으로 작성해 볼 수 있는데요,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int[] s_arr = new int[] { 1, 2, 3, 4, 5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await CallAsync();
    }

    static IEnumerable EnumInts()
    {
        for (int i = 0; i < s_arr.Length; i ++)
        {
            ref int x = ref GetResult(1); // 1. 여기서 보관한 x는 현재 실행 중인 스레드 프레임의 스택에 위치
            yield return x; // 2. yield 이후 현재 스레드의 스택 프레임이 해제되고,
            Console.WriteLine(x); // 3. 다시 EnumInts 메서드 호출되었을 때는 달라진 스택 프레임으로 인해 x의 변수 접근에 오류 발생 가능
        }
    }

    private static async Task CallAsync()
    {
        ref int x = ref GetResult(1); // 1. 여기서 보관한 x는 현재 실행 중인 스레드의 스택에 위치

        await Task.Yield(); // 2. await 이후, 스레드가 바뀔 수 있고,

        Console.WriteLine(x); // error CS9217: A 'ref' local cannot be preserved across 'await' or 'yield' boundary. // 3. 따라서 여기서 접근하는 x는 이미 사라진 스택의 위치를 가리키므로 오류 발생 가능
    }

    private static ref int GetResult(int index)
    {
        return ref s_arr[index];
    }
}

보는 바와 같이 오류 발생의 여지가 있으므로 C# 컴파일러는 아예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그러니까, C# 13 컴파일러라고 해서 저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C# 12 이하의 경우 저런 상황에서 일괄적으로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그 사례를 보여주는데,

static IEnumerable EnumInts()
{
    for (int i = 0; i < s_arr.Length; i ++)
    {
        ref int x = ref GetResult(1);
        Console.WriteLine(x); // 같은 스레드 스택 프레임 내에서 사용하므로 문제가 없지만 CS9217 컴파일 에러 발생, C# 13부터 OK

        yield return x;
    }
}

private static async Task CallAsync()
{
    await Task.Yield();

    ref int x = ref GetResult(1); // 같은 스레드 스택 내에서 ref 변수를 사용하므로 문제가 없지만,
    Console.WriteLine(x); // C# 12 이하에서는 여전히 CS9217 컴파일 오류 발생, C# 13부터 OK
}

엄밀히 저 정도는 허용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C# 컴파일러는 iterator/async 메서드 내에서의 ref 변수 사용을 아예 허용하지 않게 막았습니다. 반면, C# 13 컴파일러부터는 허용하도록 바꾼 것이고!

Allow ref and unsafe in iterators and async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in/proposals/ref-unsafe-in-iterators-async.md

저런 걸 보면, 이젠 C# 컴파일러 개발팀의 여유가 느껴집니다. ^^ 그전에는 (아마도) 귀찮아서 전체 영역을 금지시켰다가, 이제 좀 시간이 나니 해당 영역에 대한 판단 조건을 좀 더 정교하게 처리하도록 개선했을 듯합니다.




관리 포인터라는 의미에서 ref가 문제 되는 것처럼, 위의 규칙은 네이티브 포인터를 사용하는 unsafe 코드 블록에도 유사하게 적용됩니다.

static IEnumerable<int> EnumInts()
{ // iterator 메서드의 내부 블록은 safe 문맥을 강제로 설정
    foreach (var i in s_arr)
    {
        unsafe // C# 12 이하에서는 iterator 메서드 블록 내 전역에서 unsafe 블록 사용 금지
        {
            int* p = null;
        }

        yield return i;
    }
}

그래서, 위의 코드는 C# 13부터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됩니다. 하지만 ref처럼 unsafe 블록 내에서 포인터 변수가 await을 가로질러 사용된 경우가 아닌 상황까지는 구분을 하지 못합니다.

foreach (var i in s_arr)
{
    unsafe
    {
        int* p = null;
        yield return i; // 포인터 변수 p가 yield 코드를 넘어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 C# 13에서도 여전히 unsafe 문맥 내에서는 yield return을 사용할 수 없음
                        // 컴파일 에러 - error CS9238: Cannot use 'yield return' in an 'unsafe' block
    }
}

이하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의 unsafe + await 호출은 C# 12와 바뀐 것은 없습니다. 즉, 원래도 아래와 같이 unsafe 내에서 await 호출을 하지 않는다면 C# 12에서도 허용했었고,

public static async Task CallAsync()
{
    unsafe {
        int* p = stackalloc int[2]; // unsafe 문맥 내에 await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원래 허용!
    }

    await Task.Yield();
}

await 호출을 가로질러 포인터 변수를 사용하지 않았어도 여전히 C# 13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public static async Task CallAsync2()
{
    unsafe
    {
        int* p = stackalloc int[2]; // 포인터 변수를 await을 가로질러 사용하지 않더라도,
        await Task.Yield(); // 여전히 C# 13 컴파일러에서도 오류 - error CS4004: Cannot await in an unsafe context
    }
}




마지막으로 문서에서는 lock 내에 yield를 사용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킨다고 하는데요,

  • Allow ref/ref struct locals and unsafe blocks in iterators and async methods provided they are used in code segments without any yield or await.
  • Warn about yield inside lock.

저 문장만으로는 설명이 너무 부족해 재현이 안 됩니다. 가령 아래의 코드는 C# 12와 C# 13에서 동일하게 아무런 경고 없이 컴파일 됩니다.

foreach (var i in s_arr)
{
    lock (_lock)
    {
        yield return i;
    }
}

다행히, 관련 이슈를 추적해 보면 저 문장이 의미하는 코드가 나옵니다. ^^

Async iterators permit yield return inside of lock blocks #72443
; https://github.com/dotnet/roslyn/issues/72443

await new C().ProcessValueAsync();

public class C
{
    public async Task ProcessValueAsync()
    {
        await foreach (int item in GetValuesAsync())
        {
            await Task.Delay(1);
        }
    }

    private async IAsyncEnumerable<int> GetValuesAsync()
    {
        await Task.Yield();
        lock (this)
        {
            for (int i = 0; i < 10; i++)
            {
                yield return i;
            }
        }
    }
}

그러니까, 결국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의 lock + yield인 상황이 문제였던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저도 예전 글에서 한번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97

어쨌든 C# 13에서는 저 상황에 대해 경고를 발생시킨다고 문서에는 쓰여 있지만, 실제로는 경고가 없습니다. 아마도, 아직 저 부분이 패치가 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는데요, 암튼 정식 버전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95정성태12/21/200516884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17622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6573.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5408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696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729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605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8035.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267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617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666.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847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539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181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830.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592.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671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618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868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837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858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196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493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375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188.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786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