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 https://www.sysnet.pe.kr/2/0/762

.NET Framework: 2122. C# -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설정을 한 경우, 한글 입력이 '\0' 문자로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354

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775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제가 예전에는,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 https://www.sysnet.pe.kr/2/0/762

자신이 개발하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를 강제할 수 있도록 "Locale(English)" 환경을 설정하라고 했었는데요, 현재는 저도 이 방법을 쓰지는 않고 대신 다른 설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근래에는 UTF-8이 대세이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도 이에 대한 지원을 꽤나(?) 오래 전부터 추가해 두었는데요, 예전에도 한번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Beta: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 https://www.sysnet.pe.kr/2/0/11559#utf8

제어판 / "Region"을 선택해 뜨는 창에서 "Administrative" 탭을 눌러 "Language for non-Unicode programs" 그룹에 있는 "Change system locale..." 버튼을 누르면,

cmd_support_han_4.png

위의 그림과 같이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이 있습니다. 저 글을 2018년에 썼는데, 6년여가 지난 지금도 여전히 "베타" 딱지를 떼지 못했군요. ^^; (아마도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제품군에 이렇게 오래 베타를 유지한 기능은 이게 처음인 것 같습니다.)

저 옵션을 선택하면 (부팅이 필요합니다.), "명령행" 윈도우의 기본 코드 페이지가 65001(UTF-8)로 설정됩니다.

//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을 선택한 환경 (영문/한글 윈도우 무관)
c:\temp> chcp
Active code page: 65001

// 저 옵션을 선택하기 전이라면, 영문 윈도우의 경우 437, 한글 윈도우의 경우는 949가 기본값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기존에 ks_c_5601-1987 인코딩으로 저장돼 있던 모든 문서들의 한글(및 기타 non-ascii 문자)이 깨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실수로 해당 파일을 메모장 등으로 열었다가 저장이라도 하면 모든 한글 문자를 망가뜨리는 것이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나마 근래에는 Visual Studio를 비롯해 메모장까지도 기본 저장을 UTF-8로 하기 때문에 한글이 깨지는 경우를 많이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어쨌든, 일단 위와 같이 설정한 PC에서는 이후부터 모든 파일을 UTF-8로 (기본) 저장하는 효과를 얻기 때문에 code page 문제로 인한 한글(및 기타 유니코드 문자들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국, 여러분이 만드는 프로그램 역시 자연스럽게 유니코드를 지원하도록 만들 수밖에 없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니, 개발자라면 필수로 설정해야 할 옵션이 되겠습니다. ^^

제 경우에 저 글을 썼던 2018년 즈음부터 이 옵션을 켜서 쓰고 있는데, 일부 문제는 있었지만 그런대로 근래에는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유니코드를 지원해 딱히 큰 문제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고 보니, 증권 관련 OpenAPI 다룰 때 증권사 측의 프로그램에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있어 불편했던 적이 있습니다.)

아직 이 옵션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이 글을 읽는 개발자가 있다면??? 지금 당장 제어판을 열어 꼭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52정성태8/14/201820865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1정성태8/14/201827120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파일 다운로드3
11650정성태8/14/201820827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파일 다운로드1
11649정성태8/12/201822139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48정성태8/12/201823294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5589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9925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22992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44정성태8/6/201826883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11643정성태8/6/201826134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파일 다운로드1
11642정성태8/3/201823680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
11641정성태8/3/201829353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1640정성태8/3/201826399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9정성태8/2/201824697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
11638정성태8/2/201822841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7정성태8/1/201827557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6정성태8/1/201833978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635정성태8/1/201823332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11634정성태8/1/201827116.NET Framework: 790. .NET Thread 상태가 Cooperative일 때 GC hang 현상 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3정성태7/29/201829028Graphics: 15. Unity - shader의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를 수작업으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11632정성태7/28/201832906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11631정성태7/27/201833680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1]
11630정성태7/27/201829107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3]
11629정성태7/26/201828768.NET Framework: 789. C# 컴파일 옵션 - 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2]
11628정성태7/25/201829298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11627정성태7/25/201824011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