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469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 https://www.sysnet.pe.kr/2/0/470

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996

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586

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587

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98

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1322

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NT 서비스를 시작하자마자 오류가 발생하면서 프로세스가 죽어버리는 경우 디버깅 방법이 난감합니다. 더욱이 덤프를 남겨 분석해도 원인 파악이 힘들 때는 Visual Studio로 실행 시에 attach 시키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요.

이런 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레지스트리의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Image File Execution Options" 설정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화면에서처럼,

nt_service_startup_debug_1.png

"SSRS(SQL Server Reporting Services)"에 해당하는 프로세스 파일명인 "ReportingServicesService.exe"로 키를 등록하고 하위에 다음과 같은 형식의 Debugger 값을 등록해 주면 됩니다.

이름: Debugger
형식: REG_SZ
값: "[... Visual Studio 설치 폴더 ...]\devenv.exe" /debugexe

이렇게 하고 서비스 관리자에서 ReportServer를 시작해 주면 SCM(Service Control Manager)은 "Image File Execution Options"에 등록된 설정에 따라 devenv.exe를 다음과 같이 실행시켜줍니다.

"[Visual Studio 설치 폴더]\devenv.exe" /debugexe "[SQL Server 설치 폴더]\ReportingServicesService.exe"

그런데, 정작 SSRS 서비스 시작은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을 내뱉으면서 동작을 안합니다.

nt_service_startup_debug_2.png

Windows could not start the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 (MSSQLSERVER) service on Local Computer.

Error 1053: The service did not respond to the start or control request in a timely fashion.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에 해답이 있습니다. ^^

Debugging startup code of services and COM servers
; http://www.debuginfo.com/articles/debugstartup.html

아하~~~ 잊고 있었군요. 서비스가 별도의 데스크톱 자원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임시로 "Local SYSTEM"으로 변경하고 "Allow service to interact with desktop" 옵션을 설정해 주었습니다.

nt_service_startup_debug_3.png

하지만, 이렇게 변경해도 윈도우 8에서는 여전히 SSRS 서비스에 타임아웃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벤트 로그를 보면 다음의 항목으로 원인이 나옵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Service Control Manager
Date: 2014-01-13 오후 10:35:19
Event ID: 703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The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 (MSSQLSERVER) service is marked as an interactive service. However, the system is configured to not allow interactive services. This service may not function properly.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서비스 관리자에서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를 시작해 둡니다.

윈도우 8에서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83

자... 다시 SSRS 서비스를 시작해 볼까요? 그럼, 지난번 글에 설명한 것처럼 작업 표시줄에 아이콘이 깜빡이고 그것을 누르면 세션 0 데스크톱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84

세션 0 데스크톱 화면을 보면, 아쉽게도 Visual Studio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아 아래와 같이 특정 영역만 그려진 상태로 출력이 됩니다.

nt_service_startup_debug_4.png

그리곤 서비스 시작 time-out이 걸리면서 devenv.exe 프로세스가 내려가 버립니다.

휴~~~ 이대로 포기해야 하는 걸까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1-01 09시42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20정성태10/4/201826022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6698.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21680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3837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4978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2828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2964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4003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9586.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4802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4107.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2850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5942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7281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2110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2698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8092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21180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9043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4913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4075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22217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3665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20864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3196.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28446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