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스크립트: 6. XHTML or HTML 4.01 표준 준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34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막상 웹 사이트 소스 공개하려니 걸리는 것이 한 두개가 아니네요. ^^;
아무래도 누군가는 참조를 할 것이고, 처음 접하시는 분이라면 자칫 제 웹 사이트 소스가 ".NET 표준"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으니까요.

암튼, 기왕 한김에 "W3C XHTML 1.0" 표준 마크를 달아보면 어떨까 싶어서, HTML 코드를 좀 다듬어 보았습니다.

http://validator.w3.org/check?uri=http%3A%2F%2Fwww.sysnet.pe.kr%2F&charset=utf-8+%28Unicode%2C+worldwide%29&doctype=XHTML+1.0+Transitional&ss=1&outline=1&sp=1&noatt=1&No200=1&verbose=1

위의 URL을 클릭하면 제 웹 사이트에 대한 validation을 수행하는데요. 딱 4개의 오류가 잡히네요.

Result: Failed validation, 4errors
Address: https://www.sysnet.pe.kr
Modified: (undefined)
Server: Microsoft-IIS/6.0
Size: 26726
Content-Type: text/html
Encoding: utf-8
Doctype: XHTML 1.0 Transitional
Root Namespace: http://www.w3.org/1999/xhtml

1. Error Line 155 column 239: there is no attribute "saltReqUrl".
2. Error Line 155 column 286: there is no attribute "saltKeyParamID".
3. Error Line 155 column 329: there is no attribute "md5Enable".
4. Error Line 171 column 135: there is no attribute "border".

처음 3개는 HTC(HTml Component)에서 사용되는 확장 필드이고, 마지막 것은 asp:ImageButton을 사용한 것인데, 아쉽게도 <input type='image' ...인데 border='0'을 붙여 주는 바람에 발생하는 것이었습니다.

음... "W3C XHTML 1.0" 배너를 달기 위해서, HTML 모듈화를 포기할까요?
아니면 표준을 어기고 모듈화된 구조를 유지할까요?
(4번의 경우에는, 1-3번만 결정된다면 다른 서버측 컨트롤을 써서라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생략. 또는 향후 Microsoft의 컨트롤 구현에 따라 없어질 수도 있고.)

일단, 저는 모듈화를 선택했습니다. 표준을 위해서 모듈화를 포기하는 것이 그다지 내키지 않네요. ^^;
(이외에도, 제 ActiveX 컨트롤을 테스트하는 HTML 페이지에서의 <script for='com개체' event='이벤트명'...과 관련되어, "for" 속성과 "event" 속성이 표준에 어긋난다는 것도 있긴 합니다.)


------------------------------------------
거기 보시면, "Doctype"을 선택할 수가 있는데요. 참 많기도 하네요. ^^;
더군다나, XHTML로 맞출 경우 HTML 표준에서는 validation에 실패하는 구문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기왕 이야기 나온 김에. 일단 ASP.NET에서는 XHTML 1.0 Transitional 표준을 따르도록 하는 것이 "편합니다." 실제로, 제 홈페이지의 경우에도 위의 4가지 사항 정도만 해결하면 그만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VS.NET 2005에서 제공되는 HTML Editor의 기본 Validation 체크가 "XHTML 1.0 Transitional"이기도 합니다. (물론, VS.NET의 옵션 메뉴를 조정해서 "HTML 4.01"로도 가능)

하지만, "HTML 4.01 Transitional"을 따르려 하면... 음... 기본적으로 ^^; ASP.NET 자체가 validation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element의 id에 쓰이는 identifier로 "_" 밑줄 문자는 쓰일 수가 없는 데, "__VIEWSTATE"에서 보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ASP.NET 자체가 어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모... 그렇다고... 불가능하지는 않겠습니다. 다음의 토픽을 읽어보시면 ASP.NET에서의 HTML 4.01 표준에 맞추는 데 도움이 되실 듯 싶네요.

Producing XHTML-Compliant Pages with Response Filters
; http://www.aspnetresources.com/articles/httpfilters.aspx

그래도... 우리... ^^ 표준을 점차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해봅시다. 이제부터라도.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65정성태3/17/202113462오류 유형: 704. curl.exe 실행 시 dll not found 오류
12564정성태3/16/202114334VS.NET IDE: 160. 새 프로젝트 창에 C++/CLI 프로젝트 템플릿이 없는 경우
12563정성태3/16/202117213개발 환경 구성: 551.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3) jira-oauth-cli 도구를 이용한 키 관리
12562정성태3/15/202117981개발 환경 구성: 55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2) JIRA OAuth 토큰으로 API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61정성태3/12/202116734VS.NET IDE: 159. Visual Studio에서 개행(\n, \r) 등의 제어 문자를 치환하는 방법 - 정규 표현식 사용
12560정성태3/11/202117749개발 환경 구성: 549. ssh-keygen으로 생성한 PKCS#1 개인키/공개키 파일을 각각 PKCS8/PEM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12559정성태3/11/202118040.NET Framework: 1028. 닷넷 5 환경의 Web API에 OpenAPI 적용을 위한 NSwag 또는 Swashbuckle 패키지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2558정성태3/10/202117134Windows: 192. Power Automate Desktop (Preview) 소개 - Bitvise SSH Client 제어 [1]
12557정성태3/10/202115355Windows: 191. 탐색기의 보안 탭에 있는 "Object name" 경로에 LEFT-TO-RIGHT EMBEDDING 제어 문자가 포함되는 문제
12556정성태3/9/202113585오류 유형: 703. PowerShell ISE의 Debug / Toggle Breakpoint 메뉴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12555정성태3/8/202116904Windows: 190. C# -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DigitalProductId로부터 라이선스 키(Product Key)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554정성태3/8/202116471.NET Framework: 1027.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PDB 옵션 - full, pdbonly, portable, embedded
12553정성태3/5/202116447개발 환경 구성: 548. 기존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NET Core/5+ 용으로 변환해 주는 upgrade-assistant, try-convert 도구 소개 [4]
12552정성태3/5/202115904개발 환경 구성: 547.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51정성태3/5/202114289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4005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5320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16434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17089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16936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19775.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19971.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17968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19643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17210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18320.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