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63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제 컴퓨터가 가끔씩 급격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때마다 "svchost.exe" 작업이 CPU를 약 100% 점유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메모리 소비가 150MB까지 올라갔습니다.

process explorer로 확인을 해보니 해당 exe에서 서비스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더군요.

"Automatic Updates"
"Windows Audio"
"Computer Browser"
"Cryptographic Services"
"COM+ Event System"
"HID Input Service"
"Server"
"Workstation"
"Network Connections"
"Network Location Awareness(NLA)"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Task Scheduler"
"System Event Notification"
"Shell Hardware Detect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ireless Configuation"

상황이 이렇다 보니, ^^; 단서를 찾아낼 엄두를 못내고 포기하고 있었는데요. 오늘은 우연히 "Windows Update" 사이트를 방문하면서 "svchost.exe"가 동일하게 메모리와 CPU 점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FIX: When you run Windows Update to scan for updates that use Windows Installer, including Office updates, CPU utilization may reach 100 percent for prolonged periods
; http://support.microsoft.com/kb/916089

제 현상이랑 아주 똑같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Windows Update 사이트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에도 msi 관련 프로세스들이 너무 느린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 "Microsoft Product Support Services" 센터에 연락을 해서만 구할 수 있군요. 월요일까지 기다려서 Support 센터에 연락을 해서 해당 파일을 설치하는 것이 빠를까요? 그 안에 Vista가 MSDN Subscriber Downloads 센터에 릴리스되어 Vista를 설치하게 되는 시간이 빠를까요? ^^


[내용 추가: 2007-02-13]
다음의 토픽에 해결책이 제시됩니다.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459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41정성태6/13/201918825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39정성태6/13/201917554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2정성태6/7/201920242오류 유형: 544. C++ - fatal error C1017: invalid integer constant expression파일 다운로드1
11928정성태6/5/201920394오류 유형: 543. PowerShell 확장 설치 시 "Catalog file '[...].cat' is not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module" 오류 발생
11926정성태6/4/201921217오류 유형: 542. Visual Studio - pointer to incomplete class type is not allowed
11907정성태5/22/201918345오류 유형: 541. msbuild - MSB4024 The imported project file "...targets" could not be loaded
11903정성태5/21/201921829오류 유형: 540. .NET Core -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e named version of this synchronization primitiv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11902정성태5/21/201919253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11901정성태5/21/201922002오류 유형: 538. msbuild 오류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LOCALAPPDATA%\Temp\2\.NETFramework,Version=v4.0.AssemblyAttributes.cs'
11900정성태5/18/201920798오류 유형: 537. "sfc /scannow" 실행 중 시스템이 부팅되는 현상
11897정성태5/16/201929614오류 유형: 536. Visual Studio - "Developer Pack"을 설치했는데도 "대상 프레임워크" 목록에 나오지 않는 경우 [2]
11893정성태5/10/201920816오류 유형: 535. C# 6.0 이상의 문법을 컴파일 시 오류가 발생한다면?
11886정성태5/7/201920370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2]
11885정성태5/7/201917966오류 유형: 533. mstest.exe 실행 시 "File extension specified '.loadtest' is not a valid test extension." 오류 발생
11881정성태4/28/201924654오류 유형: 532. .NET Core 프로젝트로 마이그레이션 시 "CS0579 Duplicate 'System.Reflection.AssemblyCompanyAttribute' attribute" 오류 발생
11880정성태4/25/201920369오류 유형: 531. 이벤트 로그 오류 - Task Scheduling Error: m->NextScheduledSPRetry 1547, m->NextScheduledEvent 1547
11875정성태4/21/201924753오류 유형: 530. Visual Studo에서 .NET Core 프로젝트를 열 때 "One or more errors occurred." 오류 발생
11865정성태4/9/201920902오류 유형: 529. 제어판 -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Administrative Tools is not accessible.
11864정성태4/9/201919479오류 유형: 528. '...' could be '0': this does not adhere to the specification for the function '...'
11860정성태4/5/201925557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40정성태3/13/201920109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6정성태3/5/201925402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2정성태3/4/201917979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11831정성태3/4/201918729오류 유형: 523. Visual Studio 2019 - 새 창으로 뜬 윈도우를 닫을 때 비정상 종료
11830정성태2/26/201917973오류 유형: 522. 이벤트 로그 - Error opening event log file State. Log will not be processed. Return code from OpenEventLog is 87.
11827정성태2/26/201920183오류 유형: 521.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