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63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제 컴퓨터가 가끔씩 급격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때마다 "svchost.exe" 작업이 CPU를 약 100% 점유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메모리 소비가 150MB까지 올라갔습니다.

process explorer로 확인을 해보니 해당 exe에서 서비스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더군요.

"Automatic Updates"
"Windows Audio"
"Computer Browser"
"Cryptographic Services"
"COM+ Event System"
"HID Input Service"
"Server"
"Workstation"
"Network Connections"
"Network Location Awareness(NLA)"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Task Scheduler"
"System Event Notification"
"Shell Hardware Detect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ireless Configuation"

상황이 이렇다 보니, ^^; 단서를 찾아낼 엄두를 못내고 포기하고 있었는데요. 오늘은 우연히 "Windows Update" 사이트를 방문하면서 "svchost.exe"가 동일하게 메모리와 CPU 점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FIX: When you run Windows Update to scan for updates that use Windows Installer, including Office updates, CPU utilization may reach 100 percent for prolonged periods
; http://support.microsoft.com/kb/916089

제 현상이랑 아주 똑같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Windows Update 사이트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에도 msi 관련 프로세스들이 너무 느린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 "Microsoft Product Support Services" 센터에 연락을 해서만 구할 수 있군요. 월요일까지 기다려서 Support 센터에 연락을 해서 해당 파일을 설치하는 것이 빠를까요? 그 안에 Vista가 MSDN Subscriber Downloads 센터에 릴리스되어 Vista를 설치하게 되는 시간이 빠를까요? ^^


[내용 추가: 2007-02-13]
다음의 토픽에 해결책이 제시됩니다.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459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50정성태10/18/201818840오류 유형: 496. 비주얼 스튜디오 - One or more projects in the solution were not loaded correctly.
11745정성태10/15/201818412오류 유형: 495. TFS 파일/폴더 삭제 - The item [...] could not be found in your workspace, or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it.
11738정성태10/15/201822261오류 유형: 494. docker - 윈도우에서 실행 시 "unknown shorthand flag" 오류 [1]
11737정성태10/13/201818880오류 유형: 493. Azure Kudu - There are ... items in this directory, but maxViewItems is set to 299
11736정성태10/12/201820239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27정성태10/8/201823487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11정성태10/2/201824258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07정성태9/30/201826160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699정성태9/21/201821217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2546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4정성태9/17/201821506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88정성태9/11/201818620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2정성태9/5/201819702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78정성태8/29/201820938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18690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11675정성태8/29/201819849오류 유형: 481. The located assembly's manifest definition does not match the assembly reference.
11673정성태8/28/201818965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11672정성태8/28/201818635오류 유형: 479. 윈도우 - 시스템 설정에서 도메인 참가를 위한 "Change" 버튼이 비활성화된 경우
11668정성태8/24/201834177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
11667정성태8/24/201819604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
11647정성태8/8/201823151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8042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20824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38정성태8/2/201820237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5정성태8/1/201820686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11626정성태7/25/201820014오류 유형: 471. .C++ 함수를 const로 바꾼 경우 C2440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