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96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957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WPF 전역 예외 처리


WinForm과 WPF는 동일하게 "Application"이라는 이름의 타입을 사용하긴 하지만, 사실 이름만 같을 뿐 전체적인 구현 자체는 완전히 다른 구조입니다. 물론, 예외 처리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우선, 이 토픽을 더 읽으시기 전에 예전에 소개해 드렸던 다음의 자료를 먼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Debug Features : 4.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중요한 것은 이 역시 ".NET Application"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원칙은 벗어나지 않습니다. 즉, 모든 예외는 "AppDomain.CurrentDomain.UnhandledException"에서 처리되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WPF는 WinForm과 마찬가지로 Console 응용 프로그램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메시지 하나의 반응에 예외가 발생했다고 해서 전체 응용 프로그램 자체를 비정상 종료시킬 수는 없습니다. 그나마 WinForm에서는 Application.ThreadException을 통해서 UI 스레드에서 발생한 예외를 알아낼 수가 있고, Application.SetUnhandledExceptionMode를 통해서 예외 자체를 다시 rethrow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WPF에서는 어떻게 해야 처리되지 않은 예외로 인한 응용 프로그램의 비정상 종료를 막을 수 있을까요?

그 해답은 UI 스레드를 담당하고 있는 App.Dispatcher가 제공해 주고 있는데, 보통 아래와 같이 2개의 이벤트를 구독해서 처리해야 합니다.

public App()
{
    this.Dispatcher.UnhandledException += 
      new DispatcherUnhandledExceptionEventHandler(Dispatcher_UnhandledException);
      
    this.Dispatcher.UnhandledExceptionFilter += 
      new DispatcherUnhandledExceptionFilterEventHandler(Dispatcher_UnhandledExceptionFilter);
}

void Dispatcher_UnhandledExceptionFilter(object sender, 
    DispatcherUnhandledExceptionFilterEventArgs e)
{
    e.RequestCatch = true;
}

void Dispatcher_UnhandledException(object sender, 
    DispatcherUnhandledExceptionEventArgs e)
{
    MessageBox.Show(e.Exception.ToString());
    e.Handled = true;
}

사실, 개인적으로 왜 위와 같이 2단계의 예외 처리 이벤트를 두었는지는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UnhandledExceptionFilter 단계에서는 선택적으로 "e.RequestCatch" 변수에 true / false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데, 만약 여기에 true를 주면 비정상 종료되지 않고 false를 주면 응용 프로그램이 비정상종료를 하게 됩니다.

또한, e.RequestCatch 변수의 값에 상관없이 Dispatcher_UnhandledException 이벤트 처리기는 호출이 되어집니다. 중요한 것은, 이때에도 e.Handled 변수에 true 값을 할당해 주어야만 응용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 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 왜 이렇게 2가지 단계로 나뉘어야만 했을까요? 보시면 알겠지만, UnhandledExceptionFilter 이벤트 처리기 단계에서도 DispatcherUnhandledExceptionFilterEventArgs 매개변수(e.Exception)를 통해서 예외를 알아낼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굳이 Dispatcher_UnhandledException 단계까지 갈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으로... 퀴즈 하나!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secondary thread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할 수 있을까요?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1-16 06시56분
[지나가는 이] secondary thread는 AppDomain.CurrentDomain.UnhandledException += new UnhandledExceptionEventHandler(CurrentDomain_UnhandledException);

이걸로 처리 할 수 있는 건가요?
[guest]
2008-11-17 09시33분
넵. ^^
kevin25
2018-07-18 01시31분
[질문자] e.RequestCatch 와 e.Handled 모두 true 로 줬음에도 SEHException 이 발생하면서 프로그램이 종료되네요.
임의로 발생시킨 예외는 NullException 이에요.
[guest]
2018-07-18 04시30분
그러니까, 새 WPF 프로젝트 만들고 위의 코드가 반영된 상태에서 Window Loaded 이벤트에서 예외를 발생시키면 종료된다는 건가요?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61정성태4/6/201919617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23468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20699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21606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9514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9770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1922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7575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0385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9604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3359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2383.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1773.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8496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2961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1609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1763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3081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8036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6379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6695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8319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2233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5865.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39806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3376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