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우선, 다음의 글을 읽고 나서 이번 글을 보시길 바랍니다.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 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종종 개발을 하다 보면, 플랫폼만 구분단위가 되지는 않습니다. 가령 .NET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중에 흔한 경우가 있다면 특정 버전의 .NET Framework이 설치된 경우에 따라 어셈블리 생성을 달리해야 할 수 가 있습니다.

대개, 그런 경우 전처리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략 아래와 같이 되겠지요.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 += ": " + ((IntPtr.Size == 4) ? "x86" : "x64");

#if ISNET35
        MessageBox.Show(".NET 3.5");
#endif
    }
}

그런 다음, 2가지 버전이 한꺼번에 빌드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FOR /F %%I IN ("%0") DO SET CURRENTDIR=%%~dpI
SET SOLUTIONDIR=%CURRENTDIR%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20;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35;DefineConstants=ISNET35;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하지만, 기대했던 결과와는 달리 아래와 같이 대상 폴더에는 MyTest32.Clr20.exe 파일이 보이지 않습니다.

.\bin\Debug\MyTest32.Clr35.exe
            MyTest32.Clr35.pdb

도대체 이유가 뭘까요?

명령행에서 MSBuild를 해보면 다음과 같이 "IncrementalClean" 단계에서 이전에 했던 msbuild 결과물들을 모두 삭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crementalClean:
  Deleting file "D:\...\obj\x86\Debug\MyTest32.Clr20.exe".
  Deleting file "D:\...\obj\x86\Debug\MyTest32.Clr20.pdb".
  Deleting file "D:\...\bin\Debug\MyTest32.Clr20.exe".
  Deleting file "D:\...\bin\Debug\MyTest32.Clr20.pdb".

오~~~ 쪼끔 신기합니다. ^^ 도대체 이전에 빌드했던 DLL들의 파일명을 어떻게 일일이 기억하고 저렇게 싸~~~악 지워버리는지?
검색을 좀 해본 결과 아래의 글에 힌트가 있더군요.

MSBuild is not copying the assembly to the output directory.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msbuild/thread/ae00d3f7-a1c4-4378-96b6-9a4099c74b2a/

즉, msbuild는 빌드를 할 때마다 ".\obj\[platform]\Debug\MyTest32.csproj.FileListAbsolute.txt"와 같이 "FileListAbsolute.txt"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 해당 빌드가 이뤄지는 동안 생성된 파일들의 목록을 기록해 둡니다. 그리고, 다음번 빌드가 수행될 때 "FileListAbsolute.txt" 파일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하고 새롭게 빌드를 해주는 것입니다.

검색을 좀 더 해보았으나, 마이크로소프프트에서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MSBuild 옵션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위의 글에서 나온 것처럼 수작업으로 "FileListAbsolute.txt" 파일을 지워주는 것이 최선인데요. 그래서 빌드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FOR /F %%I IN ("%0") DO SET CURRENTDIR=%%~dpI
SET SOLUTIONDIR=%CURRENTDIR%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20;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del .\*.FileListAbsolute.txt /s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35;DefineConstants=ISNET35;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솔직히, 어쩔 수 없이 위와 같이 처리를 하긴 했지만 왠지 개운하지 않은 느낌이 듭니다. 혹시 좀 더 좋은 방법을 제시해주시는 분이 있을까요? ^^

* 첨부한 파일은 위의 빌드 스크립트가 포함된 예제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22정성태1/14/20227077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6000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12920정성태1/14/20226771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
12919정성태1/13/20226596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
12918정성태1/13/20226787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12917정성태1/12/20225954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12916정성태1/12/20225735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
12915정성태1/11/20226045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12914정성태1/11/20228070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12913정성태1/11/20228563.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12912정성태1/11/20229254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1]
12911정성태1/11/20226446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12910정성태1/10/20226962제니퍼 .NET: 3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8) - CPU high와 DB 쿼리 성능에 문제가 함께 있는 사이트
12909정성태1/10/20228323오류 유형: 782. Visual Studio 2022 설치 시 "Couldn't install Microsoft.VisualCpp.Redist.14.Latest"
12908정성태1/10/20226135.NET Framework: 1132. C# - ref/out 매개변수의 IL 코드 처리
12907정성태1/9/20226681오류 유형: 781. (youtube-dl.exe)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2906정성태1/9/20227323.NET Framework: 1131. C# - 네임스페이스까지 동일한 타입을 2개의 DLL에서 제공하는 경우 충돌을 우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905정성태1/8/20226981오류 유형: 780.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TextTemplating.VSHost.15.0, Version=16.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12904정성태1/8/20228974개발 환경 구성: 623. Visual Studio 2022 빌드 환경을 위한 github Actions 설정 [1]
12903정성태1/7/20227579.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12902정성태1/7/20227617오류 유형: 779. SQL 서버 로그인 에러 - provider: Shared Memory Provider, error: 0 - No process is on the other end of the pipe.
12901정성태1/5/20227653오류 유형: 778. C# - .NET 5+에서 warning CA1416: This call site is reachable on all platforms. '...' is only supported on: 'windows' 경고 발생
12900정성태1/5/20229334개발 환경 구성: 622. vcpkg로 ffmpeg를 빌드하는 경우 생성될 구성 요소 제어하는 방법
12899정성태1/3/20228831개발 환경 구성: 621.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12898정성태1/2/20229416.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1]파일 다운로드1
12897정성태1/2/20228236.NET Framework: 1128.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