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주간 닷넷에 소개된,

주간닷넷 2016년 8월 2일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eva/%EC%A3%BC%EA%B0%84%EB%8B%B7%EB%84%B7-2016%EB%85%84-8%EC%9B%94-2%EC%9D%BC

내용 중에 다음의 것을 한번 실습해 보았습니다. ^^

Detect and Blur Faces with .NET Core and Face API
; https://carlos.mendible.com/2016/07/30/detect-and-blur-faces-with-dotnetcore-and-face-api/

위의 내용에 소개된 Face AP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Azure를 통해 서비스하는 "Cognitive Services" 중의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API를 사용하려면 APIKey를 받아야 하고 그러려면 다음의 페이지에서 구독 신청을 해야 합니다.

Cognitive Services - Get started for free
; https://www.microsoft.com/cognitive-services/en-us/sign-up

그럼 다양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데,

Cognitive Services - Request new trials
; https://azure.microsoft.com/en-us/services/cognitive-services/

Face API의 경우 (분당 20건의 제한으로) 월 3만 건의 호출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신청을 하면 API Key를 받았을 테고 시작해 보겠습니다. ^^




사실 모든 순서는 "Detect and Blur Faces with .NET Core and Face API" 글에 잘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NET Core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그냥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윈도우 콘솔 프로그램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프로젝트 만든 후, NuGet을 통해 "Microsoft Cognitive Services Face API"와 함께 관련 라이브러리를 참조 추가합니다.

PM> Install-Package Microsoft.ProjectOxford.Face
PM> Install-Package ChyImageProcessorCore -Pre
PM> Install-Package System.Numerics.Vectors -Pre 
PM> Install-Package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그다음 App.config에 Face API Key를 입력해 설정해 두고,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5.2" />
    </startup>
    <appSettings>
        <add key="FaceAPIKey" value="...[your_face_api_key]..." />
    </appSettings>
</configuration>

"Detect and Blur Faces with .NET Core and Face API" 글의 소스 코드를 그대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ImageProcessorCore;
using Microsoft.ProjectOxford.Face;
using Microsoft.ProjectOxford.Face.Contract;
using System.Configuration;

public class Program
{
    const string sourceImage = "face_blur_1.png";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t string destinationImage = "detectedfaces.jpg";

        var detects = DetectFaces(sourceImage, ConfigurationManager.AppSettings["FaceAPIKey"]);
        var faceRects = detects.Result;

        Console.WriteLine($"Detected {faceRects.Length} faces");

        BlurFaces(faceRects, sourceImage, destinationImage);

        Console.WriteLine($"Done!!!");
    }

    private static void BlurFaces(FaceRectangle[] faceRects, string sourceImage, string destinationImage)
    {
        if (File.Exists(destinationImage))
        {
            File.Delete(destinationImage);
        }

        if (faceRects.Length > 0)
        {
            using (FileStream stream = File.OpenRead(sourceImage))
            using (FileStream output = File.OpenWrite(destinationImage))
            {
                var image = new Image<Color, uint>(stream);

                foreach (var faceRect in faceRects)
                {
                    var rectangle = new Rectangle(
                        faceRect.Left,
                        faceRect.Top,
                        faceRect.Width,
                        faceRect.Height);

                    image = image.BoxBlur(20, rectangle);
                }

                image.SaveAsJpeg(output);
            }
        }
    }

    private static async Task<FaceRectangle[]> DetectFaces(string imageFilePath, string apiKey)
    {
        var faceServiceClient = new FaceServiceClient(apiKey);

        try
        {
            using (Stream imageFileStream = File.OpenRead(imageFilePath))
            {
                var faces = await faceServiceClient.DetectAsync(imageFileStream);
                var faceRects = faces.Select(face => face.FaceRectangle);
                return faceRects.ToArray();
            }
        }
        catch (Exception)
        {
            return new FaceRectangle[0];
        }
    }
}

직접 실습을 해봤는데, 좀 실망(?!)스럽군요. 아래는 원본 사진에서 위의 프로그램을 돌려 얼굴을 인식해 흐림 처리한 결과입니다. 그런데... 요즘 핫한 사람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face_blur_0.jp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6-16 09시16분
How to get started with neural text to speech in Azure | Azure Tips and Tricks
; https://www.youtube.com/watch?v=dl0amatX5zs&ab_channel=MicrosoftAzure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88정성태12/21/202115159.NET Framework: 1122. C# - ImageCodecInfo 사용 시 System.Drawing.Image와 System.Drawing.Bitmap에 따른 Save 성능 차이파일 다운로드1
12887정성태12/21/202118679오류 유형: 777. OpenCVSharp4를 사용한 프로그램 실행 시 "The type initializer for 'OpenCvSharp.Internal.NativeMethods' threw an exception." 예외 발생
12886정성태12/20/202114702스크립트: 37. 파이썬 - uwsgi의 --enable-threads 옵션 [2]
12885정성태12/20/202115757오류 유형: 776.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ySQLdb 사용 환경
12884정성태12/20/202114684개발 환경 구성: 620.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
12883정성태12/19/202115096오류 유형: 775.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jango'" 오류 발생
12882정성태12/18/202114604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12881정성태12/17/202114184개발 환경 구성: 618.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2)
12880정성태12/16/202115196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12879정성태12/16/202121730오류 유형: 774. Windows Server 2022 + docker desktop 설치 시 WSL 2로 선택한 경우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 오류 발생
12878정성태12/15/202115977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12877정성태12/15/202115318스크립트: 36. 파이썬 - pymysql 기본 예제 코드
12876정성태12/14/202115178개발 환경 구성: 616. Custom Sources를 이용한 Azure Monitor Metric 만들기
12875정성태12/13/202114036스크립트: 35. python - time.sleep(...) 호출 시 hang이 걸리는 듯한 문제
12874정성태12/13/202113876오류 유형: 773. shell script 실행 시 "$'\r': command not found" 오류
12873정성태12/12/202115252오류 유형: 772. 리눅스 - PATH에 등록했는데도 "command not found"가 나온다면?
12872정성태12/12/202115652개발 환경 구성: 615. GoLang과 Python 빌드가 모두 가능한 docker 이미지 만들기
12871정성태12/12/202114689오류 유형: 771.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
12870정성태12/9/202113799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12869정성태12/8/202116485개발 환경 구성: 613. git clone 실행 시 fingerprint 묻는 단계를 생략하는 방법
12868정성태12/7/202114860오류 유형: 770. twine 업로드 시 "HTTPError: 400 Bad Request ..." 오류 [1]
12867정성태12/7/202114627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12866정성태12/7/202121550오류 유형: 769. "docker build ..." 시 "failed to solve with frontend dockerfile.v0: failed to read dockerfile ..." 오류
12865정성태12/6/202114871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12864정성태12/6/202112537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12863정성태12/4/202114718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