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Graphics: 9.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82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Graphics: 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 https://www.sysnet.pe.kr/2/0/11607

Graphics: 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 컬러 반전 및 상하/좌우 뒤집기
; https://www.sysnet.pe.kr/2/0/11608

Graphics: 4.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2)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https://www.sysnet.pe.kr/2/0/11609

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 https://www.sysnet.pe.kr/2/0/11610

Graphics: 6.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4) - 퐁 셰이딩(phong shading)
; https://www.sysnet.pe.kr/2/0/11611

Graphics: 7.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5) - Flat Shading
; https://www.sysnet.pe.kr/2/0/11613

Graphics: 8. Unity Shader - Texture의 UV 좌표에 대응하는 Pixel 좌표
; https://www.sysnet.pe.kr/2/0/11614

Graphics: 9.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 https://www.sysnet.pe.kr/2/0/11616

Graphics: 10.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6) - Mosaic Shading
; https://www.sysnet.pe.kr/2/0/11619

Graphics: 11.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7) - Blur (평균값, 가우스, 중간값) 필터
; https://www.sysnet.pe.kr/2/0/11620

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 https://www.sysnet.pe.kr/2/0/11628

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 https://www.sysnet.pe.kr/2/0/11631

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1641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Unity에서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shader 코드에서 전역 변수 정의 시 초기화 값이 적용이 안 됩니다. shader가 C 언어와 비슷하다고 해서 진짜로 C언어 사용하듯이 다음과 같이 코딩하면,

Shader "My/dummyShader"
{
    Properties
    {
    }
    SubShader
    {
        Pass
        {
            CGPROGRAM
    #pragma vertex vert
    #pragma fragment frag

    #include "UnityCG.cginc"
    #include "Lighting.cginc"

            struct appdata
            {
                float4 vertex : POSITION;
            };

            struct v2f
            {
                float4 vertex : SV_POSITION;
            };

            v2f vert(appdata v)
            {
                v2f o;
                o.vertex = UnityObjectToClipPos(v.vertex);
                return o;
            }

            float4 _Color = float4(1.0, 1.0, 1.0, 1.0);

            fixed4 frag(v2f i) : SV_Target
            {
                return _Color;
            }
            ENDCG
        }
    }
}

위의 _Color 전역 변수는 (1.0, 1.0, 1.0, 1.0)이 아닌 (0.0, 0.0, 0.0, 0.0)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shader에선 Properties를 통한 외부 설정이 가능하도록 매핑을 하지 않는 한 이 코드는 C 언어의 readonly 데이터를 모아놓는 세그먼트 같은 개념이 없기 때문에 초기화 변수로써 대우받지 못합니다.

GLSL - Declaring global variables outside of the main function scope
; https://gamedev.stackexchange.com/questions/61257/glsl-declaring-global-variables-outside-of-the-main-function-scope

물론, 선언은 했기 때문에 그냥 로컬 scope에서 다음과 같이 초기화(?)를 하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float4 _Color;

fixed4 frag(v2f i) : SV_Target
{
    _Color = float4(1.0, 1.0, 1.0, 1.0);
    return _Color;
}

그런데 저렇게 할 거면 차라리 명시적으로 로컬 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입니다.

fixed4 frag(v2f i) : SV_Target
{
    float4 _Color = float4(1.0, 1.0, 1.0, 1.0);
    return _Color;
}

정리하면, shader에서는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말고, 사용하는 경우라면 Properties를 통해 연결해 초기화 값을 주어야 합니다.

Shader "My/dummyShader"
{
    Properties
    {
        _Color("Main Color", Color) = (1.0, 1.0, 1.0, 1.0)
    }
    SubShader
    {
        Pass
        {
            // ...[생략]...
            float4 _Color;
            // ...[생략]...
        }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16정성태11/19/202017440오류 유형: 681. Visual C++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2415정성태11/18/202017561.NET Framework: 971. UnmanagedCallersOnly 특성과 DNNE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14정성태11/18/202019768VC++: 138. x64 빌드에서 extern "C"가 아닌 경우 ___cdecl name mangling 적용 [4]파일 다운로드1
12413정성태11/17/202018687.NET Framework: 970.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파일 다운로드1
12412정성태11/16/202020787.NET Framework: 969. .NET Framework 및 .NET 5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11정성태11/12/202017544오류 유형: 680. C# 9.0 - Error CS8889 The target runtime doesn't support extensible or runtime-environment default calling conventions.
12410정성태11/12/202017772디버깅 기술: 174. windbg - System.TypeLoadException 예외 분석 사례
12409정성태11/12/202019594.NET Framework: 968. C# 9.0의 Function pointer를 이용한 함수 주소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08정성태11/9/202034842도서: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8]
12407정성태11/9/202019967.NET Framework: 967. "clr!JIT_DbgIsJustMyCode" 호출이 뭘까요?
12406정성태11/8/202020914.NET Framework: 966. C# 9.0 - (15) 최상위 문(Top-level statements) [5]파일 다운로드1
12405정성태11/8/202018914.NET Framework: 965. C# 9.0 - (14) 부분 메서드에 대한 새로운 기능(New features for partial methods)파일 다운로드1
12404정성태11/7/202019518.NET Framework: 964.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2403정성태11/7/202018304.NET Framework: 963.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파일 다운로드1
12402정성태11/7/202019893.NET Framework: 962. C# 9.0 - (11) 공변 반환 형식(Covariant return types) [1]파일 다운로드1
12401정성태11/5/202019184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1]
12400정성태11/5/202015364오류 유형: 679. Visual Studio - "Source Not Found" 창에 "Decompile source code" 링크가 없는 경우
12399정성태11/5/202018790.NET Framework: 961. C# 9.0 - (10) 대상으로 형식화된 조건식(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s)파일 다운로드1
12398정성태11/4/202018479오류 유형: 678.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Powershell을 psexec로 원격 실행할 때 hang이 발생하는 문제
12397정성태11/4/202018520.NET Framework: 960. C# -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는 경우 달라지는 메서드 선택 사례파일 다운로드1
12396정성태11/3/202015435VS.NET IDE: 152. Visual Studio - "Tools" / "External Tools..."에 등록된 외부 명령어에 대한 단축키 설정 방법
12395정성태11/3/202018296오류 유형: 677. SSMS로 DB 접근 시 The server principal "..." is not able to access the database "..." under the current security context.
12394정성태11/3/202015926오류 유형: 676. cacls - The Recycle Bin on ... is corrupted. Do you want to empty the Recycle Bin for this drive?
12393정성태11/3/202015447오류 유형: 675. Visual Studio - 닷넷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Disassembly 창에서 BP 설정할 때 "Error while processing breakpoint." 오류
12392정성태11/2/202019980.NET Framework: 959. C# 9.0 - (9) 레코드(Records) [4]파일 다운로드1
12390정성태11/1/202019765디버깅 기술: 173. windbg -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예외 분석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