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99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78

.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2101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05

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5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지난 글에서,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2101

로드된 DLL들이 PEB.Ldr.InMemoryOrderModuleList에 이중 연결 리스트로 보관되어 있다고 설명했었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그 연결을 끊으면 로드된 DLL을 숨기는 것도 가능합니다.

간단하게 구현해 볼까요? ^^ 우선 _PEB, _PEB_LDR_DATA를 가져온 후,

// Install-Package KernelStructOffset

_PEB peb = EnvironmentBlockInfo.GetPeb();
_PEB_LDR_DATA ldrData = _PEB_LDR_DATA.Create(peb.Ldr);

해당 모듈의 연결 리스트 항목(_LDR_DATA_TABLE_ENTRY)을 구해,

_LDR_DATA_TABLE_ENTRY dllLink = ldrData.Find("ole32.dll");

흔하게 알려진 이중 링크드 리스트의 끊는 방법을 _LIST_ENTRY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_LIST_ENTRY* pNext = (_LIST_ENTRY*)dllLink.Flink.ToPointer();
_LIST_ENTRY* pPrev = (_LIST_ENTRY*)dllLink.Blink.ToPointer();

IntPtr thisLink = pNext->Blink;
_LIST_ENTRY* thisItem = (_LIST_ENTRY*)thisLink.ToPointer();
thisItem->Blink = IntPtr.Zero;
thisItem->Flink = IntPtr.Zero;

pNext->Blink = new IntPtr(pPrev);
pPrev->Flink = new IntPtr(pNext);

끝입니다. ^^ 실제로 끊기 전과 후에 Process.GetCurrentProcess().Modules을 열람해 보면,

foreach (ProcessModule pm in Process.GetCurrentProcess().Modules)
{
    if (pm.FileName.EndsWith("ole32.dll",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true)
    {
        // ... 끊기 전에는 실행되지만, 끊은 후에는 실행되지 않음.
    }
}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tasklist 같은 명령행 도구들도 PEB를 이용해 모듈을 열람한다는 것을 이번 실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ole32.dll에 대한 연결을 끊기 전과 후의 출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끊기 전

C:\temp>tasklist /FI "PID eq 19328" /M

Image Name                     PID Modules
========================= ======== ============================================
HideModule.exe               17628 ntdll.dll, MSCOREE.DLL, KERNEL32.dll,
                                   KERNELBASE.dll, ADVAPI32.dll, msvcrt.dll,
                                   sechost.dll, RPCRT4.dll, mscoreei.dll,
                                   SHLWAPI.dll, combase.dll, ucrtbase.dll,
                                   bcryptPrimitives.dll, GDI32.dll,
                                   win32u.dll, gdi32full.dll, msvcp_win.dll,
                                   USER32.dll, IMM32.DLL, kernel.appcore.dll,
                                   VERSION.dll, clr.dll, ucrtbase_clr0400.dll,
                                   VCRUNTIME140_CLR0400.dll, psapi.dll,
                                   mscorlib.ni.dll, ole32.dll, clrjit.dll,
                                   System.ni.dll


// 끊은 후

C:\temp>tasklist /FI "PID eq 19328" /M

Image Name                     PID Modules
========================= ======== ============================================
HideModule.exe               19328 ntdll.dll, MSCOREE.DLL, KERNEL32.dll,
                                   KERNELBASE.dll, ADVAPI32.dll, msvcrt.dll,
                                   sechost.dll, RPCRT4.dll, mscoreei.dll,
                                   SHLWAPI.dll, combase.dll, ucrtbase.dll,
                                   bcryptPrimitives.dll, GDI32.dll,
                                   win32u.dll, gdi32full.dll, msvcp_win.dll,
                                   USER32.dll, IMM32.DLL, kernel.appcore.dll,
                                   VERSION.dll, clr.dll,
                                   VCRUNTIME140_CLR0400.dll,
                                   ucrtbase_clr0400.dll, psapi.dll,
                                   mscorlib.ni.dll, clrjit.dll, System.ni.dll

반면 Sysinternals 등의 도구(listdlls.exe나 process explorer.exe)에서는 PEB의 InMemoryOrderModuleList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모든 DLL들이 열거됩니다.




이쯤에서 한 가지 더 설명해야 하는데 ^^ 모듈 목록은 PEB.Ldr.InMemoryOrderModuleList뿐만 아니라 PEB.Ldr.InLoadOrderModuleList에도 보관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필드 이름이 의미하는 대로 구분이 있었던 것 같지만 Windows 10에서 테스트해 보면 목록 순서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따라서 좀 더 잘 숨기고 싶다면 InLoadOrderModuleList에서도 연결을 끊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현재 이러한 기능을 추가해 KernelStructOffset을 업데이트했고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의 코드로 링크 연결을 끊거나 재연결할 수 있습니다.

_PEB peb = EnvironmentBlockInfo.GetPeb();
_PEB_LDR_DATA ldrData = _PEB_LDR_DATA.Create(peb.Ldr);

string moduleName = "ole32.dll";
FindModules(moduleName);

DllOrderLink hiddenModuleLink = null;

try
{
    hiddenModuleLink = ldrData.HideDLL(moduleName);
    FindModules(moduleName);
}
finally
{
    if (hiddenModuleLink != null)
    {
        ldrData.UnhideDLL(hiddenModuleLink);
    }
}

또한 InLoadOrderModuleList, InMemoryOrderModuleList 필드의 목록을 다음의 코드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foreach (var item in ldrData.EnumerateLoadOrderModules())
{
    Console.WriteLine("\t" + item.FullDllName.GetText());
}

foreach (var item in ldrData.EnumerateMemoryOrderModules())
{
    Console.WriteLine("\t" + item.FullDllName.GetText());
}

이 글의 완전한 예제 코드는 github에 올려 두었습니다.

DotNetSamples/WinConsole/PEFormat/HideModule/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PEFormat/HideModu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68정성태11/25/201729235.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30007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22058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2946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6492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6406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21085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4357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5354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4292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9592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30045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31610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6134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31516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8370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5119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7458.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3507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4785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20479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4456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21265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7898.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20885.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22616.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