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 https://www.sysnet.pe.kr/2/0/12210

.NET Framework: 928.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2) - 런타임에 바인딩 리디렉션
; https://www.sysnet.pe.kr/2/0/12271

.NET Framework: 929. (StrongName의 버전 구분이 필요 없는) .NET Core 어셈블리 바인딩 규칙
; https://www.sysnet.pe.kr/2/0/12272

.NET Framework: 930. 개발자를 위한 닷넷 어셈블리 바인딩 - DEVPATH 환경 변수
; https://www.sysnet.pe.kr/2/0/12276

개발 환경 구성: 498. DEVPATH 환경 변수의 사용 예 - .NET Reflector의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277




개발자를 위한 닷넷 어셈블리 바인딩 - DEVPATH 환경 변수

.NET Framework는 개발자 편의를 위해 DEVPATH 환경 변수를 이용한 어셈블리 바인딩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

How to: Locate Assemblies by Using DEVPATH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framework/configure-apps/how-to-locate-assemblies-by-using-devpath

설정 방법은, machine.config 파일에,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CONFIG\machine.confi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ONFIG\machine.confi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CONFIG\machine.confi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ONFIG\machine.config

developmentMode 노드를 정의하고,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생략]...

    <runtime>
        <developmentMode developerInstallation="true" />
    </runtime>

    ...[생략]...
</configuration>

환경 변수에 DEVPATH를 추가해 어셈블리를 로드할 때 찾아볼 경로를 설정해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NET Reflector"의 경우 다음과 같은 경로를 전역 환경 변수에 등록해 둡니다.
Variable name: DEVPATH
Variable value: C:\ProgramData\Red Gate\.NET Reflector\DevPath




이게 어떤 효과를 갖는지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볼까요? ^^

우선, ClassLibrary1.dll을 하나 만들고,

using System;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void Do()
        {
            Console.WriteLine("DO v1");
        }
    }
}

ConsoleApp1.exe에서 ClassLibrary1.dll을 참조해 사용하면,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assLibrary1.Class1 cl = new ClassLibrary1.Class1();
            cl.Do(); // 출력 결과: DO v1
        }
    }
}

당연히 "DO v1"이 출력됩니다. 이제 ClassLibrary1.dll을 DEVPATH로 정의한 폴더(이 글에서는 C:\ProgramData\Red Gate\.NET Reflector\DevPath)에 복사한 후, Do 메서드의 코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 봅니다.

public void Do()
{
    Console.WriteLine("DO v2");
}

이 상태에서 ConsoleApp1.exe를 실행하면 화면에는 여전히 "DO v1"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CLR에서 "ClassLibrary1.dll"을 로드하려고 할 때 로컬 경로에 있는 "ClassLibrary1.dll"을 무시하고 최우선 순위로 DEVPATH의 어셈블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How to: Locate Assemblies by Using DEVPATH" 문서를 보면 왜 이런 우회 방법을 제공하는지 이유가 나옵니다.

Developers might want to make sure that a shared assembly they are building works correctly with multiple applications. Instead of continually putting the assembly in the global assembly cache during the development cycle, the developer can create a DEVPATH environment variable that points to the build output directory for the assembly.


게다가 서명하지 않은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파일명"만 일치하면 무조건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서명한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버전"까지는 무시하고 파일명과 공개키 토큰 값만 맞으면 로드하므로 서명한 어셈블리에 대한 테스트가 간편해지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10정성태4/30/201821737.NET Framework: 742. windbg로 확인하는 Finalizer를 가진 객체의 GC 과정파일 다운로드1
11509정성태4/28/201820038.NET Framework: 741.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11508정성태4/23/201821628개발 환경 구성: 373. MSBuild를 이용해 프로젝트 배포 후 결과물을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7정성태4/20/201821546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11506정성태4/20/201825809.NET Framework: 740.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두 번째 이야기 [7]파일 다운로드1
11505정성태4/19/201818586개발 환경 구성: 37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Simple WebSite Extension
11504정성태4/19/201820076오류 유형: 465. Azure Web App 확장 - Extplorer File manager 적용 시 오류
11503정성태4/19/201819908오류 유형: 464. PowerShell - Start-Service 명령 오류 (Service 'xxx' cannot be started)
11502정성태4/17/201821759개발 환경 구성: 370. Azure VM/App Services(Web Apps)에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 적용 방법 [3]
11501정성태4/17/201818716개발 환경 구성: 369. New-AzureRmADServicePrincipal로 생성한 계정의 clientSecret, key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0정성태4/17/201819657개발 환경 구성: 368. PowerShell로 접근하는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9정성태4/17/201818216개발 환경 구성: 367. Azure - New-AzureRmADServicePrincipal / New-AzureRmRoleAssignment 명령어
11498정성태4/17/201818342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Microsoft Enfra ID)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11497정성태4/17/201816367개발 환경 구성: 365. Azure 리소스의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별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할당하는 방법 [2]
11496정성태4/17/201816819개발 환경 구성: 364. Azure Portal에서 구독(Subscriptions)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495정성태4/16/201819100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4정성태4/16/201815612개발 환경 구성: 362. Azure Web Apps(App Services)에 사용자 DNS를 지정하는 방법
11493정성태4/16/201817393개발 환경 구성: 361. Azure Web App(App Service)의 HTTP/2 프로토콜 지원
11492정성태4/13/201815382개발 환경 구성: 360.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11491정성태4/13/201818536개발 환경 구성: 359. Azure 가상 머신에 Web Application을 배포하는 방법
11490정성태4/12/201817587.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1]파일 다운로드1
11489정성태4/12/201815219오류 유형: 463. 윈도우 백업 오류 - a Volume Shadow Copy Service operation failed.
11488정성태4/12/201818291오류 유형: 462. Unhandled Exception in Managed Code Snap-in - FX:{811FD892-5EB4-4E73-A147-F1E079E36C4E}
11487정성태4/12/201817359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1486정성태4/11/201816455오류 유형: 461. Error MSB4064 The "ComputeOutputOnly" parameter is not supported by the "VsTsc" task
11485정성태4/11/201823703.NET Framework: 738. C# - Console 프로그램이 Ctrl+C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