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76.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2)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02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75.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429

디버깅 기술: 176.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2)
; https://www.sysnet.pe.kr/2/0/12439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2)

전에 알아본 방법이,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429

WS2_32.dll의 함수들에는 제법 많이 틀리군요.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간단한 예제도,

using System;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cket 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byte[] buf = new byte[4];
        socket.GetSocketOption(SocketOptionLevel.Socket, SocketOptionName.ReuseAddress, buf);

        Console.ReadLine();
        socket.GetSocketOption(SocketOptionLevel.Socket, SocketOptionName.ReuseAddress, buf);
        socket.Bind(new IPEndPoint(IPAddress.Any, 0));
    }
}

Console.ReadLine 단계에서 windbg로 연결해 bp를 이렇게 걸어보면,

0:000> bp WS2_32!bind
0:000> bp WS2_32|getsockopt
0:000> bp WS2_32|socket

bind 빼고는 엉뚱한 곳에 걸립니다.

0:000> bl
     0 e Disable Clear  00007ff9`0bc209c0     0001 (0001)  0:**** ws2_32!bind
     1 e Disable Clear  00007ff9`0bebee90     0001 (0001)  0:**** sechost!ControlLookup+0x84a0
     2 e Disable Clear  00007ff9`0bdd81f0     0001 (0001)  0:**** IMM32!SendIMEMessageAll+0x24

문제는, 지난번과는 달리 이번엔 다른 DLL의 API를 호출하는 유형이 아니라서 IAT 검색도 도움이 안 됩니다.




할 수 없군요, 기존에 만들어 두었던 windbg 확장 DLL에,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9

다음과 같은 ubp 함수를 추가했습니다.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blob/master/WinConsole/Debugger/NetDbgExt/UnmanagedMain.cs#L66

[DllExport(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StdCall)]
public static uint ubp(IDebugClient pDebugClient, [MarshalAs(UnmanagedType.LPStr)] string args)
{
    if (!(pDebugClient is IDebugControl dbgControl))
    {
        return 0;
    }

    string[] arg = args.Split('!');
    if (arg.Length != 2)
    {
        dbgControl.Output(DEBUG_OUTPUT.NORMAL, $"Invalid argument\n");
        return 0;
    }

    string dllPath = arg[0];
    string apiName = arg[1];

    IntPtr ptrDllAddress = LoadLibrary(dllPath);
    if (ptrDllAddress == IntPtr.Zero)
    {
        dbgControl.Output(DEBUG_OUTPUT.NORMAL, $"DLL not found\n");
        return 0;
    }

    IntPtr ptrApiAddress = GetProcAddress(ptrDllAddress, apiName);
    if (ptrApiAddress == IntPtr.Zero)
    {
        dbgControl.Output(DEBUG_OUTPUT.NORMAL, $"API not found\n");
        return 0;
    }

    string text = (IntPtr.Size == 4) ? ptrApiAddress.ToInt32().ToString("x") : ptrApiAddress.ToInt64().ToString("x");
    dbgControl.Execute(DEBUG_OUTCTL.THIS_CLIENT, $"bp {text}", DEBUG_EXECUTE.DEFAULT);

    return 0;
}

그래서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어,

0:000> !NetDbgExt.ubp ws2_32.dll!getsockopt
0:000> bl
     0 e Disable Clear  00007ff9`0bc21b80     0001 (0001)  0:**** ws2_32!getsockopt

0:000> !ubp ws2_32.dll!bind
0:000> bl
     0 e Disable Clear  00007ff9`0bc21b80     0001 (0001)  0:**** ws2_32!getsockopt
     1 e Disable Clear  00007ff9`0bc209c0     0001 (0001)  0:**** ws2_32!bind

조금 편해졌군요.




하지만 ubp 확장 명령어에는 알아둬야 할 문제가 2가지 있습니다.

1) 우선, windbg.exe 프로세스 내에 대상 DLL들이 적재되어 올라온다는 점인데, 디버깅 중에 저렇게 써야 할 경우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2) ASLR에 의해 시스템 부팅 후 매번 주소가 달라지겠지만, 디버깅 중에는 같은 시스템 내에서 바뀔 일이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령 이미 다른 DLL이 점유하고 있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대상 프로세스의 dll 로딩 주소가 windbg 내에서는 다른 로딩 주소로 매핑될 수 있기 때문에 ubp 명령어가 100% 동작할 거라는 기대를 해서는 안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5-09 10시28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02정성태7/11/201820622Math: 45. GeoGebra 기하 (22) - 반전기하학의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1정성태7/11/201824024Math: 44. GeoGebra 기하 (21) - 반전기하학의 직선 및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0정성태7/10/201823554Math: 43. GeoGebra 기하 (20) - 세 점을 지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99정성태7/10/201821265Math: 42. GeoGebra 기하 (19) - 두 원의 안과 밖으로 접하는 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98정성태7/10/201824021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11597정성태7/10/201826487사물인터넷: 17. Thinary Electronic - ATmega328PB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개발 환경 구성
11596정성태7/10/201823039기타: 72. 과거의 용어 설명 - OWIN
11595정성태7/10/201828585사물인터넷: 16.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기본 개발 환경 구성
11594정성태7/8/201823697Math: 41. GeoGebra 기하 (18) - 원의 중심 및 접선파일 다운로드1
11593정성태7/8/201823386Math: 40. GeoGebra 기하 (17) - 각의 복사파일 다운로드1
11591정성태7/7/201821619Math: 39. GeoGebra 기하 (16) - 삼각형의 방심과 방접원파일 다운로드1
11590정성태7/7/201821737Math: 38. GeoGebra 기하 (15) - 삼각형의 수심파일 다운로드1
11589정성태7/7/201820202.NET Framework: 787. object로 형변환된 인스턴스를 원래의 타입 인자로 제네릭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588정성태7/7/201821831디버깅 기술: 116.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3)
11587정성태7/5/201823280.NET Framework: 786. ASP.NET -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11586정성태7/5/201820987Math: 37. GeoGebra 기하 (14) - 삼각형의 무게 중심파일 다운로드1
11585정성태7/5/201822475Math: 36. GeoGebra 기하 (13) - 삼각형의 외심과 외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84정성태7/5/201820790Math: 35. GeoGebra 기하 (12) - 삼각형의 내심과 내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83정성태7/5/201822320.NET Framework: 785. public으로 노출되지 않은 다른 어셈블리의 delegate 인스턴스를 Reflection으로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82정성태7/5/201827720.NET Framework: 784. C# - 제네릭 인자를 가진 타입을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581정성태7/4/201825207Math: 34. GeoGebra 기하 (11) - 3대 작도 불능 문제의 하나인 임의 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80정성태7/4/201822472Math: 33. GeoGebra 기하 (10) - 직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9정성태7/4/201820156Math: 32. GeoGebra 기하 (9) - 임의의 선분을 한 변으로 갖는 정삼각형파일 다운로드1
11578정성태7/3/201820307Math: 31. GeoGebra 기하 (8) - 호(Arc)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7정성태7/3/201820288Math: 30. GeoGebra 기하 (7) - 각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6정성태7/3/201823868Math: 29. GeoGebra 기하 (6) - 대수의 4칙 연산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