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19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 https://www.sysnet.pe.kr/2/0/617

.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 https://www.sysnet.pe.kr/2/0/728

.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737

.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0

.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811

.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 https://www.sysnet.pe.kr/2/0/912

.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4

.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9

.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 https://www.sysnet.pe.kr/2/0/11111

.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19

.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3

.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444

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
; https://www.sysnet.pe.kr/2/0/13128

.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41

.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13205

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429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LPStruct 옵션에 대한 좋은 글이 있군요. ^^

The confusing UnmanagedType.LPStruct marshaling directiv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adam_nathan/the-confusing-unmanagedtype-lpstruct-marshaling-directive

UnmanagedType.LPStruct is only supported for one specific case: treating a System.Guid value type as an unmanaged GUID with an extra level of indirection. In other words, this directive makes the marshaler add a level of indirection to System.Guid when marshaling it from managed to unmanaged code, and remove a level of indirection from GUID when marshaling it from unmanaged to managed code.


글에서도 나오지만, 하위 호환성만 아니면 이름을 바꿨을 거라고 합니다. 또한 다음의 공식 문서에서도,

Native interoperability best practic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standard/native-interop/best-practices

GUIDs
GUIDs are usable directly in signatures. Many Windows APIs take GUID& type aliases like REFIID. When passed by ref, they can either be passed by ref or with the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attribute.

DO NOT Use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for anything other than ref GUID parameters.


분명하게 GUID를 위한 옵션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게 좀 더 문제가 되는 것은 UnmanagedType enum 문서에,

UnmanagedType Enum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runtime.interopservices.unmanagedtype

LPStruct
A pointer to a C-style structure that you use to marshal managed formatted classes. This member is valid for platform invoke methods only.


LPStruct가 일반적인 타입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처럼 쓰여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어느 쪽이 맞는지 간단하게 테스트를 한 번 해볼까요? ^^




C++로는 다음과 같은 예제 코드의 경우,

__declspec(dllexport) void __stdcall GuidFunc(GUID* pGuid)
{
    wchar_t buf[1024] = { 0 };
    StringFromGUID2(*pGuid, buf, 1024);
    wcout << buf << endl;
}

GUID 타입이기 때문에 C# 측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interop 옵션으로 C++ 코드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GuidFunc")]
static extern void GuidFunc1(IntPtr ptr);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GuidFunc")]
unsafe static extern void GuidFunc2(Guid* ptr);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GuidFunc")]
static extern void GuidFunc3([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ptr);

{
    Guid iUnk = new Guid("{00000000-0000-0000-C000-000000000046}");

    {
        IntPtr pGuid = Marshal.AllocHGlobal(16);
        Marshal.StructureToPtr(iUnk, pGuid, true);
        GuidFunc1(pGuid);
        Marshal.FreeHGlobal(pGuid);
    }

    unsafe
    {
        GuidFunc2(&iUnk);
    }

    {
        GuidFunc3(iUnk);
    }
}

사실 가장 직관적인 연동은 두 번째에 해당하는 "Guid*"이지만, LPStruct를 이용하면 포인터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값 형식처럼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처리는 CLR 측의 마샬러가 자동으로 해줍니다.




혹시 동일하게 16바이트로 구성한 구조체라면 LPStruct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C++ 측의 코드를,

#pragma pack(push, 1)
typedef struct tagMyStruct
{
    int a;
    int b;
    int c;
    int d;
} MyStruct;
#pragma pack(pop)

__declspec(dllexport) void __stdcall StructFunc(MyStruct* pGuid)
{
    cout << pGuid->a << ", " << pGuid->b << ", " << pGuid->c << ", " << pGuid->d << endl;
}

GUID 예제와 마찬가지로 C#에서 다음과 같이 interop하면,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StructFunc")]
static extern void StructFunc1(IntPtr ptr);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StructFunc")]
unsafe static extern void StructFunc2(MyStruct* ptr);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StructFunc")]
static extern void StructFunc3([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MyStruct MyStruct);

{
    MyStruct instance = new MyStruct();

    {
        instance.a = 5;
        instance.b = 6;
        instance.c = 7;
        instance.d = 8;

        int size = Marshal.SizeOf(typeof(MyStruct));
        IntPtr pInstance = Marshal.AllocHGlobal(size);
        Marshal.StructureToPtr(instance, pInstance, true);
        StructFunc1(pInstance);
        Marshal.FreeHGlobal(pInstance);
    }

    unsafe
    {
        StructFunc2(&instance);
    }

    {
        StructFunc3(instance);
    }
}

3번째 UnmanagedType.LPStruct를 사용한 메서드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DirectiveException: Cannot marshal 'parameter #1': Invalid managed/unmanaged type combination (this value type must be paired with Struct).
   at lpStruct.Program.StructFunc3(MyStruct MyStruct)
   at lpStruct.Program.Main(String[] args) in C:\lpStruct\lpStruct\Program.cs:line 84

또한, 지난 글에서처럼,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43

tlbexp.exe를 실행시켜 보면 마찬가지의 경고 메시지가 뜨면서 해당 메서드 자체를 누락시켜 버립니다.

TlbExp : warning TX801311A6 : Type library exporter warning processing '...'. Warning: The method or field has an invalid managed/unmanaged type combination, check the MarshalAs directive.





그런데, UnmanagedType 문서의 설명에서,

LPStruct
A pointer to a C-style structure that you use to marshal managed formatted classes. This member is valid for platform invoke methods only.


저렇게 "only"로 끝나는 제약이 약간 마음에 걸립니다. 즉, LPStruct + GUID는 메서드의 직접적인 인자로 전달할 때만 정상적인 마샬링 혜택을 받고 그 외의 경우에는 아니라는 의미인 듯합니다. 실제로, 필드로 정의한 GUID인 경우 LPStruct를 지정하면,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public struct MyGuid
{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public Guid CLSID;
}

[DllImport("Dll1.dll")]
static extern void GuidStructFunc(MyGuid instance);

/*
// tlbexp로 확인히면,

struct tagMyGuid {
    GUID* CLSID;
} MyGuid;
*/

이번에는 일반 구조체인 경우와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TypeLoadException: Cannot marshal field 'CLSID' of type 'lpStruct.MyGuid': Invalid managed/unmanaged type combination (this value type must be paired with Struct).
   at System.StubHelpers.ValueClassMarshaler.ConvertToNative(IntPtr dst, IntPtr src, IntPtr pMT, CleanupWorkList& pCleanupWorkList)
   at lpStruct.Program.GuidStructFunc(MyGuid instance)
   at lpStruct.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lpStruct\Program.cs:line 113

또한 SizeOf 연산조차도 할 수 없습니다.

// System.ArgumentException: 'Type 'lpStruct.MyGuid' cannot be marshaled as an unmanaged structure; no meaningful size or offset can be computed.'
int size = Marshal.SizeOf(instance);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정리해 보면, 일반적인 구조체인 경우 LPStruct를 이용해 포인터를 경유한 마샬링은 할 수 없습니다. 또한, LPStruct의 마샬링 혜택을 받는 GUID라고 해도 다른 구조체의 멤버로 있을 때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6/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2-16 10시11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10정성태7/15/201817377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11609정성태7/15/201820363Graphics: 4.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2)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11608정성태7/15/201824943Graphics: 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 컬러 반전 및 상하/좌우 뒤집기
11607정성태7/14/201825287Graphics: 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11606정성태7/13/201825927사물인터넷: 19.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파일 다운로드1
11605정성태7/13/201821720사물인터넷: 18.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내장 LED 및 입력 핀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04정성태7/12/201820802Math: 47. GeoGebra 기하 (24) - 정다각형파일 다운로드1
11603정성태7/12/201816899Math: 46. GeoGebra 기하 (23) - sqrt(n) 제곱근파일 다운로드1
11602정성태7/11/201817064Math: 45. GeoGebra 기하 (22) - 반전기하학의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1정성태7/11/201819841Math: 44. GeoGebra 기하 (21) - 반전기하학의 직선 및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0정성태7/10/201818279Math: 43. GeoGebra 기하 (20) - 세 점을 지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99정성태7/10/201817596Math: 42. GeoGebra 기하 (19) - 두 원의 안과 밖으로 접하는 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98정성태7/10/201819473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11597정성태7/10/201821569사물인터넷: 17. Thinary Electronic - ATmega328PB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개발 환경 구성
11596정성태7/10/201819538기타: 72. 과거의 용어 설명 - OWIN
11595정성태7/10/201825284사물인터넷: 16.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기본 개발 환경 구성
11594정성태7/8/201819668Math: 41. GeoGebra 기하 (18) - 원의 중심 및 접선파일 다운로드1
11593정성태7/8/201818651Math: 40. GeoGebra 기하 (17) - 각의 복사파일 다운로드1
11591정성태7/7/201818029Math: 39. GeoGebra 기하 (16) - 삼각형의 방심과 방접원파일 다운로드1
11590정성태7/7/201817587Math: 38. GeoGebra 기하 (15) - 삼각형의 수심파일 다운로드1
11589정성태7/7/201817855.NET Framework: 787. object로 형변환된 인스턴스를 원래의 타입 인자로 제네릭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588정성태7/7/201819320디버깅 기술: 116.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3)
11587정성태7/5/201818911.NET Framework: 786. ASP.NET -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11586정성태7/5/201818105Math: 37. GeoGebra 기하 (14) - 삼각형의 무게 중심파일 다운로드1
11585정성태7/5/201818266Math: 36. GeoGebra 기하 (13) - 삼각형의 외심과 외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84정성태7/5/201818259Math: 35. GeoGebra 기하 (12) - 삼각형의 내심과 내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