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 https://www.sysnet.pe.kr/2/0/617

.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 https://www.sysnet.pe.kr/2/0/728

.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737

.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0

.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811

.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 https://www.sysnet.pe.kr/2/0/912

.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4

.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9

.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 https://www.sysnet.pe.kr/2/0/11111

.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19

.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3

.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444

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
; https://www.sysnet.pe.kr/2/0/13128

.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41

.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13205

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429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

이번 글은 예전에 작성한 첫 번째 글의,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647

개정판입니다. 이게 시간이 지나 또다시 테스트하니 결과가 달라져 다시 정리합니다. 기존 내용은 읽어보실 필요 없고 그냥 새 글처럼 정리하니 이번 글만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이미 다음의 내용으로 fixed 필드에 대한 설명을 했었습니다. (참고로 제 책에서는 "5.1.3.6 고정 크기 버퍼: fixed" 절에서 설명합니다.)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1556

fixed로 인해 구조체의 배열 멤버에 대한 고정 크기를 갖게 바뀌었기 때문에 C/C++과의 Interop이 더욱 편해졌는데요, 일례로, C#에서 fixed 배열 필드를 갖는 구조체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해,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public unsafe struct TestStruct
{
    public const int MaxLength = 20;

    public short shortField;
    public int intField;
    fixed char txt[MaxLength];
    public fixed long fields[MaxLength];

    public unsafe string Text
    {
        get
        {
            fixed (char* pText = txt) return new string(pText);
        }

        set
        {
            if (value.Length > MaxLength)
            {
                throw new ArgumentOutOfRangeException();
            }

            fixed (char* pDst = txt) Marshal.Copy(value.ToArray(), 0, new IntPtr(pDst), value.Length);
        }
    }
}

C#에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일 것입니다.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TestStruct ts = new TestStruct();

    ts.shortField = 5;
    ts.intField = 100;
    ts.Text = "test is good";

    for (int i = 0; i < TestStruct.MaxLength; i++)
    {
        ts.fields[i] = (i * 2) + 100;
    }

    Console.WriteLine("[C# output (passing to C++)]");
    OutputStruct(ts);
}

static unsafe void OutputStruct(in TestStruct ts)
{
    Console.WriteLine($"{ts.shortField}, {ts.intField}, {ts.Text}");

    for (int i = 0; i < TestStruct.MaxLength; i++)
    {
        Console.Write($"{ts.fields[i]},");
    }
}

/* 출력 결과
[C# output (passing to C++)]
5, 100, test is good
100,102,104,106,108,110,112,114,116,118,120,122,124,126,128,130,132,134,136,138,
*/

자, 그럼 이 구조체를 C/C++로 전달해 볼까요? ^^ 이를 위해 C/C++ 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체를 만들고,

#pragma pack(push, 1)
struct TestStruct
{
    short shortField;
    int intField;
    wchar_t txt[20];
    __int64 fields[20];
};
#pragma pack(pop, 1)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__declspec(dllexport) void __stdcall FixedStructTest(TestStruct *test, int bufLen)
{
    wprintf(L"[C++ output (from C#)]\n");
    wprintf(L"%d, %d, %ls\n", test->shortField, test->intField, test->txt);

    for (int i = 0; i < bufLen; i++)
    {
        wprintf(L"%I64d,", test->fields[i]);
    }

    wprintf(L"\n");
}

그런데, 위의 코드를 C#에서 호출해 보면 결과가 약간 이상하게 나옵니다.

[DllImport("Dll1.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FixedStructTest(ref TestStruct test, int bufLen);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TestStruct ts = new TestStruct();

    ts.shortField = 5;
    ts.intField = 100;
    ts.Text = "test is good";

    for (int i = 0; i < TestStruct.MaxLength; i++)
    {
        ts.fields[i] = (i * 2) + 100;
    }

    FixedStructTest(ref ts, TestStruct.MaxLength);
}

/* 출력 결과
[C++ output (from C#)]
5, 100, t
100,102,104,106,108,110,112,114,116,118,120,122,124,126,128,130,132,134,136,138,
*/

보는 바와 같이, C#에서 전달한 long 배열 값은 정상적으로 C/C++에 전달되었지만, char 배열에 대해서는 한 개의 문자만 전달됐습니다. 이런 결과는 (ref로 전달했으므로) C/C++ 측에서 값을 변경해 C#으로 전달할 때도 동일하게 발생합니다.

즉, C/C++ 측에서 다음과 같이 값을 바꿔 반환하면,

__declspec(dllexport) void __stdcall FixedStructTest(TestStruct *test, int bufLen)
{
    // ...[생략]...

    test->shortField = test->shortField + 100;
    test->intField = test->intField + 100;
    wcscpy_s(test->txt, L"qwer en baad");

    for (int i = 0; i < bufLen; i++)
    {
        test->fields[i] = (i * 2) + 200;
    }
}

C# 측에서 받았을 때의 출력 결과는 이렇게 바뀝니다.

[C# output (from C++)]
105, 200, qest is good
200,202,204,206,208,210,212,214,216,218,220,222,224,226,228,230,232,234,236,238,

역시 이번에도 다른 모든 값은 정상적으로 반환되었지만, "test..."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만 "q"로 바뀌어 출력됩니다.




이것의 근본적인 문제는 char인 경우에 대한 닷넷 런타임의 마샬링이 ANSI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유니코드인 경우 두 번째 바이트가 '\0'이 돼 null 처리로 인한 첫 번째 문자만 마샬링되는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을 해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char 마샬링을 Unicode로 하라고 힌트를 주면 됩니다.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CharSet = CharSet.Unicode)]
public unsafe struct TestStruct
{
     // ...[생략]...
}

이렇게 바꾸고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문자열을 전달/반환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닷넷 런타임 마샬링이 관여하지 못하도록 끄는 것입니다. 즉, 현재의 구조체 메모리 그대로 C/C++ 측에 전달하면 되는 건데요, 이를 위해 포인터 호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DllImport("Dll1.dll", EntryPoint = "FixedStructTest")]
public static unsafe extern void PtrFixedStructTest(TestStruct* test, int bufLen);

역시 이번에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test is good", "qwer en baad" 문자열 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은,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우회하는 것도 가능하긴 합니다. 즉, char 대신 동일한 2바이트에 해당하는 short로 타입 처리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public unsafe struct TestStruct
{
    public const int MaxLength = 20;

    public short shortField;
    public int intField;
    fixed short txt[MaxLength];
    public fixed long fields[MaxLength];

    public unsafe string Text
    {
        get
        {
            fixed (short* pShort = txt)
            {
                char* pText = (char *)pShort;
                return new string(pText);
            }
        }

        set
        {
            if (value.Length > MaxLength)
            {
                throw new ArgumentOutOfRangeException();
            }

            fixed (short* pShort = txt)
            {
                char* pDst = (char*)pShort;
                Marshal.Copy(value.ToArray(), 0, new IntPtr(pDst), value.Length);
            }
        }
    }
}

이렇게 바꾸면 닷넷 런타임은 null 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배열의 모든 값을 C/C++로, 다시 C#으로 마샬링할 수 있게 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94정성태7/25/201026391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27554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29254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5152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26816.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627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504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2667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4277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7183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29111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1880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1306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3922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3766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0481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19916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1672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28515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27806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4396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5421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6853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29151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2945.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58897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