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1개 있습니다.)
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5

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7

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8

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
; https://www.sysnet.pe.kr/2/0/13292

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5

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6

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 https://www.sysnet.pe.kr/2/0/13297

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 https://www.sysnet.pe.kr/2/0/13299

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300

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05

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6

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312

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15

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329

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3330

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332

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333

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34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

대화창의 리소스를 읽어 해석하고,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6

그에 따라 대화창 생성 방법까지 살펴봤습니다.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9

일단, 위에서 생성한 것으로는 Modeless 대화창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만약 Modal 대화창으로 띄우고 싶다면 메시지 루프를 구현해야 하는데요, 이에 대해 다음의 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The dialog manager, part 4: The dialog loop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1-00/?p=35993

위의 글을 우리가 지금까지 만든 대화창 코드에도,

void ShowMyDialogWindow(HWND hWnd)
{
    HRSRC hrsrc = ::FindResource(hInst, MAKEINTRESOURCE(IDD_ABOUTBOX), RT_DIALOG);
    if (hrsrc == nullptr)
    {
        return;
    }

    HGLOBAL hglobal = ::LoadResource(hInst, hrsrc);
    if (hglobal == nullptr)
    {
        return;
    }

    LPVOID lpv = ::LockResource(hglobal);
    DWORD resSize = SizeofResource(hInst, hrsrc);

    DLGTEMPLATEEX* item = DLGTEMPLATEEX::ReadDialog(hInst, hWnd, AboutModeless, lpv);

    item->ApplyDsStyle();
    item->LoadMenu();
    item->LoadFont();
    item->DLUtoPixel();
    if (item->Create() == FALSE)
    {
        delete item;
    }
    
    // DoModal을 위한 메시지 루프

    ::FreeResource(hglobal);
}

적용해 보겠습니다. ^^




우선, 해당 글에 따라 메시지 루프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while (<dialog still active> &&
       GetMessage(&msg, NULL, 0, 0, 0)) {
 if (!IsDialogMessage(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여기서 재미있는 게 "dialog still active" 체크입니다. 예전에, Modal과 Modeless 창의 Dialog Procedure에 대해 각각 다뤘는데,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84

IDOK/IDCANCEL 버튼의 동작으로 대화창을 닫을 때 Modal은 EndDialog를, Modeless는 DestroyWindow API를 호출했었습니다. 문제는 이런 것들로 인해 발송되는 WM_DESTROY 메시지가 Window Procedure에서 직접 처리되기 때문에 메시지 루프를 타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다음과 같은 식으로 메시지 루프를 코딩하면,

while (true)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대화창이 닫혀도 저 메시지 루프는 살아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우회해야 합니다.

while (IsWindow(this->_hDlg))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위와 같이 하면 EndDialog/DestroyWindow로 인한 대화창이 닫히면서 while 무한 루프를 빠져나오게 됩니다.




그다음 처리해야 할 것이, EnableWindow입니다. 위와 같이 메시지 루프만 구현하면 Modal로 뜬 대화창임에도 부모 윈도우와 그것의 자식 윈도우까지 모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EnableWindow 처리를 해야 하는데요,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while (IsWindow(this->_hDlg))
    {
        // ...[메시지 루프]...
    }

    ::EnableWindow(this->_hwndParent, TRUE);
}

아쉽게도 위의 코드는 대화창이 닫힐 때 (부모가 아닌) 다른 윈도우를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전에 활성/비활성 순서를 설명했었는데요, 위의 메시지 루프는 대화창이 닫히고 나서야 EnableWindow로 부모 윈도우를 활성화시키는 순서입니다. 이게 역순으로 되어야 하는데요, 그러려면 EnableWindow(..., TRUE) 코드가 윈도우가 닫히기 전에 실행돼야 하지만 위의 메시지 루프에서는 그것을 구현할 수 없습니다.

이게 가능하려면, DoModal 함수에서는 EnableWindow 코드를 빼고,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 비활성 코드만 추가

    while (IsWindow(this->_hDlg))
    {
        // ...[메시지 루프]...
    }
}

대화창의 DestroyWindow 호출 전에 EnableWindow 코드를 사용자가 추가해야 합니다.

INT_PTR CALLBACK AboutModeless(HWND hDlg,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INITDIALOG:
        return (INT_PTR)TRUE;

    case WM_COMMAND:
        {
            WORD cmdId = LOWORD(wParam);
            if (cmdId == IDOK || cmdId == IDCANCEL)
            {
                ::EnableWindow(::GetParent(hDlg), TRUE);
                ::DestroyWindow(hDlg);
                return (INT_PTR)TRUE;
            }
        }
        break;
    }

    return (INT_PTR)FALSE;
}

하지만, 위와 같은 경우는 Modeless용 Dialog Procedure의 예이고, Modal용 Procedure에서는 EndDialog를 호출하게 되는데,

INT_PTR CALLBACK AboutModal(HWND hDlg,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INITDIALOG:
        return (INT_PTR)TRUE;

    case WM_COMMAND:
        {
            WORD cmdId = LOWORD(wParam);
            if (cmdId == IDOK || cmdId == IDCANCEL)
            {
                EndDialog(hDlg, 0);

                return (INT_PTR)TRUE;
            }
        }
        break;
    }

    return (INT_PTR)FALSE;
}

EndDialog 내부에서 EnableWindow 단계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호출이 필요 없습니다. 그러니까 결국, 마이크로소프트는 Modal 대화상자를 위해 (DestroyWindow가 아닌) EndDialog API를 (위의 처리 이외에도) 편의상 제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가 실제로 Win32 API로는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대략 설명하는 내용이 시리즈의 5번째 글로 나옵니다.

The dialog manager, part 5: Converting a non-modal dialog box to modal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4-48/?p=35983

시리즈의 6번째와 7번째 글에서는,

The dialog manager, part 6: Subtleties in message loop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5-46/?p=35973

The dialog manager, part 7: More subtleties in message loop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50406-57/?p=35963

위에서 구현한 메시지 루프의 단점을 보완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지 다시 볼까요? ^^

void DLGTEMPLATEEX::DoModal()
{
    MSG msg;

    ::EnableWindow(this->_hwndParent, FALSE);

    while (IsWindow(this->_hDlg))
    {
        if (GetMessage(&msg, NULL, 0, 0))
        {
            if (!IsDialogMessage(this->_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

GetMessage는 아시다시피 Blocking 함수입니다. 따라서, IsWindow 이후에 반드시 메시지가 있어야만 저 메시지 루프가 탈출할 수 있는 건데요, 이를 위해 2가지 방법을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EndDialog 함수에서 의미 없는 메시지 하나를 전송하는 건데요,

// 제 코드에서는 IsWindow로 검사하지만, "The dialog manager, part 5: Converting a non-modal dialog box to modal" 글에서는 
// fEnded라는 별도의 플래그 변수를 두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코드가 나옵니다.

void EndManualModalDialog(HWND hdlg, int iResult)
{
 DIALOGSTATE *pds = reinterpret_cast<DIALOGSTATE*>
     (GetWindowLongPtr(hdlg, DWLP_USER));
 if (pds) {
  pds->iResult = iResult;
  pds->fEnded = TRUE;
  PostMessage(hdlg, WM_NULL, 0, 0);
 }
}

WM_NULL 메시지 덕분에 GetMessage를 지나칠 수 있게 됩니다. 반면에 두 번째 방법은, EndDialog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메시지 루프 측에서 GetMessage 이전에 PeekMessage 호출을 한 번 더 두는 것입니다.

msg.message = WM_NULL; // anything that isn't WM_QUIT
 while (!ds.fEnded) {
  if (PeekMessage(&msg, NULL, 0, 0, PM_REMOVE)) {
   if (msg.message == WM_QUIT) { /*  fixed 8am */
    break;
   } else if (!IsDialogMessage(hdlg, &msg))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fixed 10am */
  } else if (!ds.fEnded) {
   WaitMessage();
  }
 }

테스트를 해보면, EndDialog는 WM_NULL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나옵니다. 따라서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분명하고, 두 번째 방법이 보완 차원에서 사용되었는지는 WaitMessage API 가로채기를 해봐야 알 수 있지만...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

참고로, (DestroyWindow가 아닌) EndDialog 호출에 대해서는 메시지 루프의 IsWindow가 계속 TRUE를 반환하므로 본문에서 작성한 메시지 루프를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따라서, Raymond Chen이 제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정의한 EndManualModalDialog 함수가 필요하며 거기서 fEnded 플래그 변수를 제어하는 것이 의미가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4정성태9/17/201126415.NET Framework: 240.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2]
1123정성태9/17/201165257Windows: 53.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과 ActiveX [6]
1122정성태9/16/201132929Windows: 52. 새롭게 지원되는 WinRT 응용 프로그램 [7]
1121정성태9/12/201127720Java: 5. WTP 내에서 서블릿을 실행하는 환경
1120정성태9/11/201127645.NET Framework: 239. IHttpHandler.IsReusabl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19정성태9/11/201126727Java: 4. 이클립스에 WTP SDK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2]
1118정성태9/11/201138382Java: 3. 이클립스에서 서블릿 디버깅하는 방법 [4]
1117정성태9/9/201125633제니퍼 .NET: 1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
1116정성태9/8/201156682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1115정성태9/4/201130253Java: 1. 닷넷 개발자가 처음 실습해 본 서블릿
1114정성태9/4/201134736Math: 2. "Zhang Suen 알고리즘(세선화, Thinning/Skeletonization)"의 C# 버전 [4]파일 다운로드1
1113정성태9/2/201134323개발 환경 구성: 129. Hyper-V에 CentOS 설치하기
1112정성태9/2/201151092Linux: 1. 리눅스 <-> 윈도우 원격 접속 프로그램 사용 [3]
1111정성태8/29/201125445제니퍼 .NET: 16. 적용 사례 (1) - DB Connection Pooling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성능 저하를 알려주다. [1]
1110정성태8/26/201126827오류 유형: 136. RDP 접속이 불연속적으로 끊기는 문제
1109정성태8/26/201129719오류 유형: 135.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1108정성태8/22/201131174오류 유형: 134.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1]
1107정성태8/21/201129003디버깅 기술: 43. Windows Form의 Load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Visual Studio에서 잡히지 않는 문제
1106정성태8/20/201127299웹: 26. FailedRequestTracing 설정으로 인한 iisexpress.exe 비정상 종료 문제
1105정성태8/19/201127241.NET Framework: 238. Web Site Model 프로젝트에서 Trace.WriteLine 출력이 dbgview.exe에서 확인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04정성태8/19/201127441웹: 25. WebDev보다 IIS Express가 더 나은 점 - 다중 가상 디렉터리 매핑 [1]
1103정성태8/19/201133347오류 유형: 133. WCF 포트 바인딩 실패 오류 - TCP error(10013) [1]
1102정성태8/19/201131044Math: 1. 방탈출3 - Room 10의 '중복가능한 조합' 문제를 위한 C# 프로그래밍 [2]파일 다운로드1
1101정성태8/19/201129692.NET Framework: 237. WCF AJAX 서비스와 JavaScript 간의 DateTime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00정성태8/17/201128808.NET Framework: 236. SqlDbType - DateTime, DateTime2, DateTimeOffse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099정성태8/15/201128253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