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27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345

.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47

.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48

.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49

.NET Framework: 2121. C# - Semantic Kernel의 대화 문맥 유지
; https://www.sysnet.pe.kr/2/0/13352

.NET Framework: 2123. C# - Semantic Kernel의 ChatGPT 대화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355

.NET Framework: 2124. C# - Semantic Kernel의 Planner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57

.NET Framework: 2125. C# - Semantic Kernel의 Semantic Memory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35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

지난 글에서,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345

글의 내용을 요약하라고 지시하는 SemanticFunction을 제작(Running prompts with input parameters)해 봤습니다.

동일한 REAME.md에 또 다른 예제가 있는데요,

Get Started with Semantic Kernel 
; https://github.com/microsoft/semantic-kernel/blob/main/dotnet/README.md

프롬프트를 연결(Prompt chaining), 즉 semantic function을 일종의 파이프라인 처리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데, 코드를 보면 금방 ^^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string translationPrompt = @"{{$input}}

Translate the text to math.";

string summarizePrompt = @"{{$input}}

Give me a TLDR with the fewest words.";

var translator = kernel.CreateSemanticFunction(translationPrompt);
var summarize = kernel.CreateSemanticFunction(summarizePrompt);

string inputText = @"
1st Law of Thermodynamics - Energy cannot be created or destroyed.
2nd Law of Thermodynamics - For a spontaneous process, the entropy of the universe increases.
3rd Law of Thermodynamics - A perfect crystal at zero Kelvin has zero entropy.";

// Run two prompts in sequence (prompt chaining)
var output = await kernel.RunAsync(inputText, translator, summarize);

Console.WriteLine(output);

열역학 법칙의 내용을 수학적 표기로 바꾸고(translationPrompt), 그 결과를 다시 요약(summarizePrompt)하라고 시키고 있습니다. 사실 개별 작업을 따로 하면,

Console.WriteLine(await translator.InvokeAsync(inputText));
/* 출력 결과
1st Law of Thermodynamics: ΔE = 0
2nd Law of Thermodynamics: ΔSuniv > 0
3rd Law of Thermodynamics: S = 0 at T = 0K
*/

Console.WriteLine(await summarize.InvokeAsync(inputText));
/* 출력 결과
Energy can't be created/destroyed; entropy increases in spontaneous processes; zero entropy at 0K.
*/

위와 같은 결과를 얻는데, 따지고 보면 결국 체이닝은 다음과 같이 호출을 나누는 것과 같습니다.

Microsoft.SemanticKernel.Orchestration.SKContext output = await translator.InvokeAsync(inputText);
Console.WriteLine(await summarize.InvokeAsync(output)); // 또는, output.Result 전달

/* 출력 결과
ΔE = 0, ΔSuniv > 0, S = 0 at 0K.
*/

별거 아니죠?!!!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이런 실습을 하는 호출까지도 OpenAI API 사용량에 포함된다는 점, 유의하시면 되겠습니다. ^^




참고로, 위와 같은 예제들을 실습할 수 있는 C# Jupyter notebook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Semantic Kernel Notebooks
; https://github.com/microsoft/semantic-kernel/blob/main/dotnet/README.md#semantic-kernel-notebook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08정성태1/10/202017375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8505.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9585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099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276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380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760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8969.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460.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277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032.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124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841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541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255.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8810.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650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9930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028.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8928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7911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364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0836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8814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252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23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