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48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 https://www.sysnet.pe.kr/2/0/617

.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 https://www.sysnet.pe.kr/2/0/728

.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737

.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0

.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811

.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 https://www.sysnet.pe.kr/2/0/912

.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4

.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9

.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 https://www.sysnet.pe.kr/2/0/11111

.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19

.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3

.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444

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
; https://www.sysnet.pe.kr/2/0/13128

.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41

.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13205

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429






How to Interop DISPPARAMS


제목 그대로, .NET에서 DISPPARAMS 타입의 인자를 COM(또는 Unmanaged 코드)에 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DISPPARAMS 구조체를 알아야 겠지요. ^^ 아래는 C/C++ 헤더 파일에 정의된 내용을 가져온 것입니다.

typedef struct tagDISPPARAMS
    {
    VARIANTARG *rgvarg;
    DISPID *rgdispidNamedArgs;
    UINT cArgs;
    UINT cNamedArgs;
    }   DISPPARAMS;

사실, VARIANTARG는 VARIANT 형의 또 다른 typedef에 불과하고, DISPID 역시 LONG 형의 typedef이기 때문에, 이 정의는 다음과 같이 씌여져도 무방합니다.

typedef struct tagDISPPARAMS
{
    VARIANT *rgvarg;
    int *rgdispidNamedArgs;
    int cArgs;
    int cNamedArgs;
}   DISPPARAMS;

테스트를 위해 DISPPARAMS를 인자로 가지는 아래의 COM 메서드를 정의하고,

STDMETHOD(TestDISPPARAM)(/* [IN,OUT] */ DISPPARAMS *pAttribute)
{ 
    pAttribute->rgvarg[0].vt = VT_I4;
    pAttribute->rgvarg[0].intVal = 10;

    return S_OK;
}

이렇게 정의된 COM 개체를 C#에서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signature로 interop DLL이 생성됩니다.

[Guid("2AFBAFEE-68A9-4EF8-A38C-A7941D47CC16")]
[TypeLibType(2)]
[ClassInterface(0)]
public class MyInteropTestClass : IMyInteropTest, MyInteropTest
{
    public MyInteropTestClass();

    [DispId(1)]
    public virtual void TestDISPPARAM(ref stdole.DISPPARAMS pAttribute);
}

예상하시겠지만, stdole.DISPPARAMS 타입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C/C++의 DISPPARAMS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public struct DISPPARAMS
{
    public int cArgs;
    public int cNamedArgs;
    public IntPtr rgdispidNamedArgs;
    public IntPtr rgvarg;
}

자,,, 이제부터 그럼 ^^ interop을 위한 코드를 시작해 볼까요?

우선, cArgs, cNamedArgs는 넘어가고, 약간 까다로울 것 같지만 rgdispidNamedArgs 인자도 그다지 문제되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DISPID 즉 LONG 형 배열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전달해 줄 수 있습니다.

stdole.DISPPARAMS dispParams = new stdole.DISPPARAMS();
dispParams.cNamedArgs = 3;

int[] dispIDs = new int[] { 0, 1, 2};
GCHandle idHandle = GCHandle.Alloc(dispIDs, GCHandleType.Pinned);
IntPtr idPtr = idHandle.AddrOfPinnedObject();
dispParams.rgdispidNamedArgs = idPtr;

...[dispParams 사용]...
idHandle.Free();

문제는 IntPtr rgvarg 인자를 어떻게 해줘야 하느냐입니다. C/C++에서는 VARIANTARG(VARIANT)로 정의되어 있던 것이니, .NET에서 Variant 대신 전달하는 object를 다음과 같이 배열로 전달해도 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object[] objectsArray = new object[3];
objectsArray[0] = 5.6;
objectsArray[1] = 5;
objectsArray[2] = "TEST";

dispParams.rgvarg = Marshal.UnsafeAddrOfPinnedArrayElement(objectsArray, 0);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방법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object가 참조형이니만큼 메모리 구조가 틀리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틀리는지 한번 비교를 해보면.

C/C++의 (VARIANTARG*) 인자를 메모리로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그림 1: (VARIANTARG*) 메모리 구조]
howtointerop_rgvarg_1.png

(32bit 시스템 기준으로) 4byte 영역의 포인터 값이 별도의 배열 공간을 가리키고, 그 배열 공간은 16byte 크기의 VARIANT 구조체가 연속적으로 메모리에 나열된 것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object []로 표현을 하게 되면 메모리 구조는 (VARIANTARG *)와 다른 양상을 띄게 됩니다.

[그림 2: object [] 메모리 구조]
howtointerop_rgvarg_2.png

역시 4byte 포인터의 출발은 같지만, 또다시 object [] 배열이 나오고 각각의 "참조값" 배열에서 별도로 값을 가리키는 메모리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당연히 interop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그림 1]에서 본 구조대로 맞춰주면 됩니다. 먼저 맞춰주어야 할 것은 16byte 크기의 VARIANT 배열인데, 이를 위해 별도의 구조체를 정의해도 되지만 여기서는 그냥 Guid를 사용해서 표현하겠습니다. 그래서, 3개의 VARIANT 인자를 전달해 주기 위해 아래와 같이 Guid[3]를 정의하고, 각각의 값에 VARIANT를 대입해 줄 수 있습니다.

Guid[] guids = new Guid[3];

fixed (void* pGuid0 = &guids[0])
{
    IntPtr pGuid = new IntPtr(pGuid0);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5.6, pGuid);
}

fixed (void* pGuid1 = &guids[1])
{
    IntPtr pGuid = new IntPtr(pGuid1);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5, pGuid);
}

fixed (void* pGuid2 = &guids[2])
{
    IntPtr pGuid = new IntPtr(pGuid2);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test", pGuid);
}

GCHandle gcHandle = GCHandle.Alloc(guids, GCHandleType.Pinned);
IntPtr argPtr = gcHandle.AddrOfPinnedObject();

dispParams.rgvarg = argPtr;

끝입니다. 이렇게 해서 COM 개체의 DISPPARAMS 인자를 받는 메서드를 호출해 보면 아래와 같은 rgvarg 값을 Watch 윈도우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림 3: DISPPARAMS의 rgvarg 값 확인]
howtointerop_rgvarg_3.png

참고로, 제가 사용한 것은 16byte 크기의 Guid였지만 VARIANTARG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구조체를 정의하셔도 됩니다. 실제로
pinvoke.net 웹 사이트에서 어느 정도 정의된 구조체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ARIANTARG (Structures)
; http://www.pinvoke.net/default.aspx/Structures/VARIANTARG.html

*** 첨부된 파일은 테스트를 위한 예제 솔루션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2-01 09시49분
[lancers] 다 좋은데, 그림에서 가오가 떨어지는데요?
[guest]
2008-12-01 02시49분
그래도... 나름 엄청 신경써서 그린 건데요... OTL
kevin2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8정성태11/22/201231633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5035.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0276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6015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4094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4618.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19494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27171.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2417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5769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7053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4769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6120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4967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1353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28835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29132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2526.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26919.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3228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26402.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1357정성태9/27/201223459Windows: 64. Hyper-V - Windows XP의 Live Migration 오류
1356정성태9/26/201229606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6]
1355정성태9/21/201227579Team Foundation Server: 49.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1]
1354정성태9/19/201224382.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5737.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