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265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 https://www.sysnet.pe.kr/2/0/617

.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 https://www.sysnet.pe.kr/2/0/728

.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737

.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0

.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811

.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 https://www.sysnet.pe.kr/2/0/912

.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4

.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9

.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 https://www.sysnet.pe.kr/2/0/11111

.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19

.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3

.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444

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
; https://www.sysnet.pe.kr/2/0/13128

.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41

.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13205

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429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C/C++와의 연동 문제가 때때로 ^^ 어렵게 다가오기도 합니다. 결국 연동부분에서 직관적이지 않다는 것이 문제겠지요. 덕분에 다음과 같은 글들도 씌여졌었고. ^^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7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 https://www.sysnet.pe.kr/2/0/728

How to Interop DISPPARAMS
; https://www.sysnet.pe.kr/2/0/617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811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0

이번에는,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씌여지게 되었습니다.

C# Interop 관련 질문입니다. 
; https://www.sysnet.pe.kr/3/0/904
; https://www.sysnet.pe.kr/3/0/905

요점은, 아래의 코드 조각에서 보는 것처럼, P/Invoke된 API에서 "ref DX_CAP" 인자에 대해 NULL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ublic struct DX_CAP 
{
    public ushort c1; 
    public ushort c2; 
    public ushort c3; 
};

[DllImport("...")]
public static extern int fnStructTest(ref DX_CAP cap);



해답 1: IntPtr 사용


일단, Null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ref DX_CAP에 대한 처리를 IntPtr로 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결국 Interop이 다음과 같이 지정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DllImport("...")]
public static extern void fnStructTest(IntPtr cap);

그다음, DX_CAP은 IntPtr과의 변환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class로 정의합니다.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class DXC_CAP
{
    public ushort ca_nbrdna;
    public ushort ca_stdely;
    public ushort ca_cnosig;
};

그럼, Null이 넘겨져야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호출이 가능하겠고,

fnStructTest(IntPtr.Zero);

값을 넘겨 받아야 할 경우에는, fnStructTest를 호출할 때는 IntPtr로 변환해 주고, 호출 후에는 다시 IntPtr로부터 값을 복원해 주면 됩니다. 이를 코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XC_CAP inst2 = new DXC_CAP();
int marshalSize = 0;

unsafe 
{
    marshalSize = sizeof(DX_CAP);
}

IntPtr ptrData = Marshal.AllocCoTaskMem(marshalSize);

// 클래스 값 ==> IntPtr
Marshal.StructureToPtr(inst2, ptrData, false);

// 호출하고,
fnStructTest(ptrData);

// 다시 ptrData로부터 클래스 값 복원
Marshal.PtrToStructure(ptrData, inst2);

// 메모리 해제
Marshal.FreeCoTaskMem(ptrData);

근데... 한 눈에 봐도... 너무 불편합니다. 좀 개선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




해답 2: 포인터 사용


다시 생각해서. 어쨌든 NULL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니, unsafe 쪽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답이 될 수 있습니다.

코드를 정리해서, 다음과 같이 아예 구조체를 받는 포인터를 정의해주는 것입니다.

public struct DX_CAP 
{
    public ushort ca_nbrdna; 
    public ushort ca_stdely; 
    public ushort ca_cnosig; 
};

[DllImport("TestNativeAPI.dll")]
unsafe public static extern void fnStructTest(DX_CAP *cap);

그럼, 게임 끝이군요. ^^

NULL을 넘겨주어야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되고,

unsafe { fnStructTest(null); }

값을 전달받아야 할 때도 역시 unsafe와 포인터 구문을 사용해 주면 됩니다.

DX_CAP inst;
unsafe { fnStructTest(&inst); }

unsafe와 포인터를 써야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있는데, 어느 쪽이든 선택을 해야 합니다. 몇 개 안되는 경우라면 그냥 해당 구조체 인자를 IntPtr로 받아들이는 P/Invoke 메서드를 중복 정의해주는 것도 답이겠지요.

*** 첨부된 프로젝트는 예제 코드입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15정성태7/13/201432598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1714정성태7/11/201422323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1713정성태7/11/201446146Windows: 98.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1]
1712정성태7/10/201435026.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3]
1711정성태7/10/201439742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1]
1710정성태7/8/201432488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파일 다운로드2
1709정성태7/8/201428987VS.NET IDE: 91. Visual Studio에서 32/64비트 IIS Express 실행하는 방법
1708정성태7/7/201426328VS.NET IDE: 90. Visual Studio - 사용자 정의 정적 분석 규칙 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07정성태7/4/201424309.NET Framework: 449. C#에서 C++로 VARIANT 넘겨주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6정성태7/3/201422688.NET Framework: 448. .NET SmartClient 컨트롤을 윈도우 8/2012에서 활성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5정성태7/2/201437788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4074.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4969.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4915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7338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3762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5636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7505.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3397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2714.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1712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3693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4308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4575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30297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2905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