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2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Math: 15.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뉴턴-랩슨(Newton-Raphson's method)법과 제곱근 구하기 - C#
; https://www.sysnet.pe.kr/2/0/10911

Math: 53. C# - 행렬식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LSM: Least Square Method)
; https://www.sysnet.pe.kr/2/0/11918

Math: 54. C# - 최소 자승법의 1차 함수에 대한 매개변수를 단순 for 문으로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19

Math: 55. C# - 다항식을 위한 최소 자승법(Least Squares Method)
; https://www.sysnet.pe.kr/2/0/11921

Math: 56. C# -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경사 하강법의 최소/최댓값 구하기
; https://www.sysnet.pe.kr/2/0/11923

Math: 57. C# - 해석학적 방법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
; https://www.sysnet.pe.kr/2/0/11924

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1936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지난 글에서 최소 자승법(최소 제곱법)을 다뤘고,

C# - 해석학적 방법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
; https://www.sysnet.pe.kr/2/0/11924

PLplot을 윈도우 화면으로 출력하는 방법도 배웠으니,

C# - PLplot 출력을 파일이 아닌 Window 화면으로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1935

이제 ^^ 최소 자승법이 theta 값을 수정하면서 그래프가 점점 근사해가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지난 2개의 글에 실린 예제 코드를 합치면,

private void GraphLSM()
{
    MLContext ctx = new MLContext();

    IDataView data = ctx.Data.LoadFromTextFile<ClickData>("click.csv", separatorChar: ',', hasHeader: true);

    // 표준화
    var xyList = ctx.Data.CreateEnumerable<ClickData>(data, false).NormalizeZscore();

    // 매개변수 초기화
    double theta0 = SystemRandomSource.Default.NextDouble();
    double theta1 = SystemRandomSource.Default.NextDouble();

    // 예측 함수
    Func<double, double> f = (x) => theta0 + theta1 * x;

    // 목적 함수
    Func<double, double, double> errorFunc = (x, y) => Math.Pow((y - f(x)), 2);
    Func<IEnumerable<ClickData>, double> E = (list) => 0.5 * list.ForEach((e) => errorFunc(e.X, e.Y)).Sum();

    // 학습률
    double ETA = 1e-03;

    // 오차의 차분
    double diff = 1.0;

    // 갱신 횟수
    int count = 0;

    // 오차의 차분이 0.01 이하가 될 때까지 매개변수 갱신을 반복
    double error = E(xyList);

    // 그래프를 그리기 위한 데이터 준비
    double[] xData = xyList.Select((elem) => elem.X).ToArray();
    double[] yData = xyList.Select((elem) => elem.Y).ToArray();

    double xMin = xData.Min();
    double xMax = xData.Max();
    double yMin = yData.Min();
    double yMax = yData.Max();
    double[] ptX = Utils.RangeInclusive(xMin, xMax, 0.01).ToArray();
    double[] ptY = ptY = new double[ptX.Length];

    string title = $"{count:#}th: t0 = {theta0:#.00}, t1 = {theta1:#.00}, diff = {diff:#.00}";
    this.DoubleBuffered = true;
    this.BackgroundImage = DrawPlotChart(xMin - 0.1, xMax + 0.1, yMin - 0.1, yMax + 0.1, title, DrawPlot);

    while (diff > 1e-02)
    {
        Thread.Sleep(100);
        // 갱신 결과를 임시 변수에 저장
        double tmp_theta0 = theta0 - ETA * xyList.ForEach((e) => f(e.X) - e.Y).Sum();
        double tmp_theta1 = theta1 - ETA * xyList.ForEach((e) => (f(e.X) - e.Y) * e.X).Sum();

        // 매개변수 갱신
        theta0 = tmp_theta0;
        theta1 = tmp_theta1;

        // 이전 회의 오차와의 차분을 계산
        double currentError = E(xyList);
        diff = error - currentError;
        error = currentError;

        count++;
        title = $"{count:#}th: t0 = {theta0:#.00}, t1 = {theta1:#.00}, diff = {diff:#.00}";
        this.BackgroundImage = DrawPlotChart(xMin - 0.1, xMax + 0.1, yMin - 0.1, yMax + 0.1, title, DrawPlot);
    }

    void DrawPlot(PLStream pl, string text)
    {
        pl.lab("x", "y", text);
        pl.col0(PLplot.Color.Blue);

        for (int i = 0; i < xData.Length; i++)
        {
            pl.poin(xData[i], yData[i], Symbol.Bullet);
        }

        pl.lsty(LineStyle.ShortDashesShortGaps);

        {
            for (int i = 0; i < ptX.Length; i++)
            {
                ptY[i] = f(ptX[i]);
            }

            pl.line(ptX, ptY);
        }
    }
}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습니다.

lsm_plot_ing_1.gif

해본 김에, 2차 함수 그래프로 근사하는 장면도 볼 수 있고.

lsm_plot_ing_2.gif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8-10 04시11분
[221] PLplot 설치 하는 방법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guest]
2021-08-10 04시57분
그냥 다음의 명령어로 nuget에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Install-Package PLplot

아래의 글을 참고하세요.

C# - PLplot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909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33정성태10/11/201923023개발 환경 구성: 459.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C# 8.0/9.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2032정성태10/8/201919157.NET Framework: 865. .NET Core 2.2/3.0 웹 프로젝트를 IIS에서 호스팅(Inproc, out-of-proc)하는 방법 - AspNetCoreModuleV2 소개
12031정성태10/7/201916376오류 유형: 569. Azure Site Extension 업그레이드 시 "System.IO.IOExcep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예외 발생
12030정성태10/5/201923181.NET Framework: 864.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1]파일 다운로드1
12029정성태9/27/201924036제니퍼 .NET: 29. Jennifersoft provides a trial promotion on its APM solution such as JENNIFER, PHP, and .NET in 2019 and shares the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12028정성태9/26/201918934.NET Framework: 863.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파일 다운로드1
12027정성태9/26/201914747오류 유형: 568. Consider app.config remapping of assembly "..." from Version "..." [...] to Version "..." [...] to solve conflict and get rid of warning.
12026정성태9/26/201920158.NET Framework: 862. C# - Active Directory의 LDAP 경로 및 정보 조회
12025정성태9/25/201918438제니퍼 .NET: 28. APM 솔루션 제니퍼, PHP, .NET 무료 사용 프로모션 2019 및 적용 사례 (8) [1]
12024정성태9/20/201920343.NET Framework: 861.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관계 [2]
12023정성태9/18/201920829.NET Framework: 860.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와 HttpClient의 관계파일 다운로드1
12022정성태9/12/201924803개발 환경 구성: 458. C# 8.0 (Preview) 신규 문법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3]
12021정성태9/12/201940605도서: 시작하세요! C# 8.0 프로그래밍 [4]
12020정성태9/11/201923789VC++: 134. SYSTEMTIME 값 기준으로 특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는 함수
12019정성태9/11/201917352Linux: 23. .NET Core + 리눅스 환경에서 Environment.CurrentDirectory 접근 시 주의 사항
12018정성태9/11/201916095오류 유형: 567. IIS - Unrecognized attribute 'targetFramework'. Note that attribute names are case-sensitive. (D:\lowSite4\web.config line 11)
12017정성태9/11/201919945오류 유형: 566. 비주얼 스튜디오 -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6879/"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Access is denied. (0x80070005)
12016정성태9/5/201919950오류 유형: 565. git fetch - warning: 'C:\ProgramData/Git/config' has a dubious owner: '(unknown)'.
12015정성태9/3/201925298개발 환경 구성: 457.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의 Socket 연결 시 time-out 시간 제어
12014정성태9/3/201919019개발 환경 구성: 456. 명령행에서 AWS, Azure 등의 원격 저장소에 파일 관리하는 방법 - cyberduck/duck 소개
12013정성태8/28/201921926개발 환경 구성: 455. 윈도우에서 (테스트) 인증서 파일 만드는 방법 [3]
12012정성태8/28/201926541.NET Framework: 859. C# - HttpListener를 이용한 HTTPS 통신 방법
12011정성태8/27/201926133사물인터넷: 57. C# - Rapsberry Pi Zero W와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010정성태8/27/201919035VS.NET IDE: 138. VSIX - DTE.ItemOperations.NewFile 메서드에서 템플릿 이름을 다국어로 설정하는 방법
12009정성태8/26/201919866.NET Framework: 858. C#/Windows - Clipboard(Ctrl+C, Ctrl+V)가 동작하지 않는다면?파일 다운로드1
12008정성태8/26/201919583.NET Framework: 857. UWP 앱에서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연결 방법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