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지난 글에서 설명한 대로,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 https://www.sysnet.pe.kr/2/0/12168

daemon.json에서의 tcp 바인딩 설정은 "Linux Container" 모드인 경우 예외를 발생하게 됩니다. 대신, 이에 대한 우회 방법은 제공하는데요.

Cannot set hosts in daemon configuration
; https://github.com/docker/for-win/issues/453

For unsecured connection: https://hub.docker.com/r/jarkt/docker-remote-api
For TLS connection: https://hub.docker.com/r/kekru/docker-remote-api-tls

이 방법도 "DockerDesktopVM의 파일 시스템 접근"에서와 같이 docker스러운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어, 그냥 다음과 같이 docker-remote-api 컨테이너를 구동하면 됩니다.

c:\temp> docker pull jarkt/docker-remote-api
c:\temp> docker run -p 2375:2375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jarkt/docker-remote-api

"Docker Desktop for Windows"는 "-p" 옵션의 매핑 포트를 (실제 dockerd가 실행되는) "DockerDesktopVM" 가상 머신 내부가 아닌, DockerDesktopVM을 호스팅하는 윈도우 시스템의 "com.docker.backend.exe"가 열고 중계를 합니다. 따라서, 2375 포트와 현재의 윈도우 머신 IP를 대상으로 원격 docker.exe 클라이언트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수행하면, 결국 DockerDesktopVM 내부의 dockerd 프로세스로 중계되는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원격 머신에서 docker-remote-api 컨테이너를 수행 중인 192.168.100.50 호스트로 tcp 바인딩

C:\temp> docker -H tcp://192.168.100.50:2375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jarkt/docker-remote-api   latest              abd8bbdf149a        2 years ago         8.24MB

참고로 다음은 "docker info" 결과입니다.

C:\temp> docker -H 192.168.100.50:2375 info
Client:
 Debug Mode: false

Server:
 Containers: 1
  Running: 1
  Paused: 0
  Stopped: 0
 Images: 6
 Server Version: 19.03.5
 Storage Driver: overlay2
  Backing Filesystem: extfs
  Supports d_type: true
  Native Overlay Diff: true
 Logging Driver: json-file
 Cgroup Driver: cgroupfs
 Plugins:
  Volume: local
  Network: bridge host ipvlan macvlan null overlay
  Log: awslogs fluentd gcplogs gelf journald json-file local logentries splunk syslog
 Swarm: inactive
 Runtimes: runc
 Default Runtime: runc
 Init Binary: docker-init
 containerd version: b34a5c8af56e510852c35414db4c1f4fa6172339
 runc version: 3e425f80a8c931f88e6d94a8c831b9d5aa481657
 init version: fec3683
 Security Options:
  seccomp
   Profile: default
 Kernel Version: 4.19.76-linuxkit
 Operating System: Docker Desktop
 OSType: linux
 Architecture: x86_64
 CPUs: 2
 Total Memory: 1.92GiB
 Name: docker-desktop
 ID: Q46Z:POTP:4MRH:XJIT:XBI7:HXTU:V33Y:UFLC:3Z77:QQNV:IZ2U:ZA6V
 Docker Root Dir: /var/lib/docker
 Debug Mode: true
  File Descriptors: 44
  Goroutines: 59
  System Time: 2020-03-07T16:58:07.835887458Z
  EventsListeners: 4
 Registry: https://index.docker.io/v1/
 Labels:
 Experimental: false
 Insecure Registries:
  127.0.0.0/8
 Live Restore Enabled: false
 Product License: Community Engin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8/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32정성태7/28/201827836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11631정성태7/27/201829797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1]
11630정성태7/27/201824985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3]
11629정성태7/26/201823763.NET Framework: 789. C# 컴파일 옵션 - 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2]
11628정성태7/25/201825621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11627정성태7/25/201819996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11626정성태7/25/201818382오류 유형: 471. .C++ 함수를 const로 바꾼 경우 C2440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11625정성태7/24/201817564Math: 49. GeoGebra 기하 (25) - 타원의 중심점 찾기파일 다운로드1
11624정성태7/24/201821962개발 환경 구성: 389. C# - 재현 가능한 빌드(reproducible builds) == Deterministic builds [4]
11623정성태7/24/201821409Math: 48. C# - 가우시안 함수의 이산형(discrete) 커널 값 생성파일 다운로드1
11622정성태7/23/201821579개발 환경 구성: 388. Windows 환경에서 Octave 패키지 설치하는 방법
11621정성태7/23/201819202VC++: 127.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외부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20정성태7/22/201822455Graphics: 11.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7) - Blur (평균값, 가우스, 중간값) 필터 [1]파일 다운로드1
11619정성태7/21/201821496Graphics: 10.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6) - Mosaic Shading
11618정성태7/20/201818556개발 환경 구성: 387. 삼성 오디세이(Odyssey)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11617정성태7/20/201819348Team Foundation Server: 50.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5) - "Rollback", "Rollback Entire Changeset"
11616정성태7/17/201818723Graphics: 9.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11615정성태7/17/201823074.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14정성태7/17/201825253Graphics: 8. Unity Shader - Texture의 UV 좌표에 대응하는 Pixel 좌표
11613정성태7/16/201821574Graphics: 7.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5) - Flat Shading
11612정성태7/16/201820572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11611정성태7/15/201820795Graphics: 6.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4) - 퐁 셰이딩(phong shading)
11610정성태7/15/201817319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11609정성태7/15/201820238Graphics: 4.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2)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11608정성태7/15/201824880Graphics: 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 컬러 반전 및 상하/좌우 뒤집기
11607정성태7/14/201825211Graphics: 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